흘러가는

사심 없는 산행!! 지역 역사와 문화를 찾아서!!!! 김진영

덕유능선

산줄기,강줄기/임실군 산줄기 탐방

성수지맥(2013.3.31 성수산~도인리)

흘러 가는 2015. 10. 1. 23:34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위 개념도는 "행복한 산쟁이" 이무기님의 블로그에서 따옴 

성수지맥(산행거리61.2km)

백두대간 영취산에서 분기한 호남금남정맥 장안산(8대종산)을 거쳐 임실,진안,장수를 아우르며 솟구친 팔공산(1147.6m) 을 지나 마령재(861m)에서  남쪽으로 개동지맥, 서쪽으로 성수지맥이 분기한다.  임도 삼거리 마령재를 넘으면 백운면 반송리와 섬진강 발원지 데미샘아래 신원마을로 연결된다.   
-제1구간- 성수산(875.9m)을 지나 임실.진안경계인 대운치고개(임실-진안지방도)도로를 가로질러 490봉에서 구암고개를 치고 올라 삼봉산(529.4)못미쳐 우측으로 비켜 지나 서쪽으로 이어지다 고덕산(619m)팔봉정상 아래에서 지맥을 따라 성수면 도인리고개 (19.07km)까지

-제2구간- 도인고개 에서  국도17호선 임실 갈마리, 감성리, 대곡리능선끝 말치재를 넘어 임실군의 척추인 봉화산(467.6m). 응봉(608.5m). 임실 이인리 번화치고개를 지나(17.32km)

-제3구간-번화치고개에서  독산마을 뒷산 무제봉(558m)갈림길 에서 좌측능선으로 접어들어 배재(주치)를 지나면 좌측으로 죽계저수지가 보인다. 제비봉을 지나  지초봉(570m)을 거쳐 삼면봉, 조항치, 원통산(603.5m)에서 남쪽으로 원치고개를 지나(14.21km)

-제4구간-원치고개에서 시루봉(330m)을 지나 무명봉 우측으로 용궐산과 무량산이 한눈에 들어온다.합미성 봉우리 아래 삼거리 오른쪽으로 내려오면 동계 지방도가 나오면 길건너 무량산(586.4m). 구미고개 밤동산능선을 지나 오수천과 섬진강이 합수하는 곳 "어은정"아래 섬진강으로 지맥이 파고든다 

조선조(선조13년) 동계구미 남원양씨 입향조 양사형이 향음례를 즐기던 곳 어은정아래 섬진강과 오수천이 만나는 합수점에서 성수지맥(실거리 61.27km) 은 끝을 맺는다.

(11.5km)

1. 제1코스(성수산~도인고개) 나홀로 산행

 

성수산 전망바위아래 이정표

전망바위(암봉,보현봉)

 

대운치 방향 능선길

성수산과 멀리 팔공산

성수산 전경

구룡능선과 삼청동 상이암

전망대 암봉 지나 보현봉 아래 로프구간

 

 

국가기준점(삼각점)

 

능선아래 성남저수지(수철리)

이른 진달래

 

 

 

 봉우리 산성흔적

삼각점을 또지나고

이곳에서 독도 주의 알바구간

대운치고개, 멀리 고덕산(고달산), 삼봉산

대운치 위 봉우리 산성

대운치 고개

 

 

 

대운치지나 철망능선 아래 구암고개(임실~진안)

구암고개 옆 묘지(묘지를 지나 능선을 타고 올라야한다)독도주의

성수면 삼봉산(빽하여 오던길에서 고덕산 방향으로 우측으로 )독도주의

 

이곳에서 우측으로 가야 고덕산 방향(직진하면 삼봉산)

성수면 삼봉리에서 진안 구암리 넘던 구길 느티나무

고덕산 가기전 암릉구간

 

여기서부터 위험 오르막 암릉구간

 

 

고덕산 정상 봉우리

고덕산 아래 삼봉리 저수지

 

 

 

 

고덕산 정상 아래로

 

멀리 내동산도 보이고

정상아래 고덕마을 삼거리

삼거리지나 내려오면 묵은 묘지(능참봉 이공 규?)후손은 간데없고--- 한자리 했을 터인데

지나온 고덕산

도인리 삼각점

소머즈부부도 다녀간듯

1구간 끝 성수 도인고개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