흘러가는

사심 없는 산행!! 지역 역사와 문화를 찾아서!!!! 김진영

오수면 지명지도

향토사 박물관/고도서 175

전라우도신묘식감시초시(정읍현),동당초시(옥구현)방목 및 우수시권성책

자 료 명전라우도정읍현도회신묘식감시초시입격유생성명방목성책 全羅右道井邑縣都會辛卯式監試初試入格儒生姓名榜目成冊전라우도옥구현도회신묘식문과동당초시입격유생방목성책全羅右道沃溝縣都會辛卯式文科東堂初試入格儒生榜目成冊 연대/시기도광11년 /  순조31/1831년 / 조선후기 발간/저자전라감영  책수/규격1책/ 40.0×25.5cm/ 속지32매 / 겉표지2매/ 도련지搗鍊紙 소 장 자흘러가는내 용【도광11년(순조31, 1831)】 ○道光十一年二月日全羅右道井邑縣都會辛卯式監試初試入格儒生姓名年歲本貫居住父職名榜目成冊(도광11년2월일전라우도정읍현도회신묘식감시초시입격유생성명연세본관거주부직명방목성책) - 진사시 입격자 45인(1등3인, 2등7인, 3등35인)명부생원시 입격자 45인(1등3인, 2등7인, 3등35인)명부-全羅右道井邑縣都會辛卯..

유헌선생별집 (游軒先生別集)

자 료 명유헌선생별집 (游軒先生別集) 연대/시기미상 발간/저자미상 책수/규격 2권 1책/ 30.5×20.0cm 소 장 자흘러가는 ○ 유헌 정황(游軒丁熿)선생의 부와 시 등을 모은 시문집 이다. 표지에 유헌집(游軒集)이라 쓰고 2권1책 활자본으로 발간하였다. 판심은 유헌별집이라 쓰여있고, 권지1 책머리에 목록, 부와 시 권지2에 서, 제문이 실려 있다. ○정황(1512~1560)은 조선전기 문신으로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계회(季晦), 호는 유헌(遊軒)이며 장수군 산서면(당시 남원부 진전방)출신이다. 1536년(중종 31)문과에 급제, 승문원부정자를 거쳐 지평·병조정랑·형조정랑 등을 지냈다. 1546년(명종 1) 을사사화때 파직되어, 남원고향으로 돌아온후 1547년 양재역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에 연루..

백촌선생유사 (白村先生遺事)

자 료 명백촌선생유사 (白村先生遺事) 연대/시기조선시대/ 1805년 발간/저자박승현 서문/ 김도형,김치현 발문 책수/규격2책 2권/  22.5×32.0cm 소 장 자흘러가는 ○ 백촌 김문기의 백촌김선생유사이다. 표지는 백촌선생유사라 쓰고 2권2책 목판본으로 만들었다. 인출시 먹의 농도가 균일하지 않아 번짐이 여러 곳에 보인다. 판심은 권두에 백촌유사서와 백촌유사중간서, 그 외에는 백촌김선생유사라 새겨져 있다. 1책 1권 책머리에 숭정 3기미년(1799)에 쓴 황승원(黃昇源)의 백촌김상서유사서(叙), 장지면(長至冕)의 서(書)와 박승현(朴升鉉) 중간백촌유사서(序)문이 실려있고, 2책 2권 권말에 숭정 3을축년(1805) 후손 김도형(金道亨)이 쓴 선조충의공중간발문과 후손 김치현(金致鉉)의 선조충의공유사발문..

포산(현풍)곽씨세보(苞山郭氏世譜)

자 료 명 포산곽씨세보(苞山郭氏世譜) 연대/시기 조선후기/ 숭정기원후3계묘년(1783)/상지8년(정조8년) 발간/저자 포산곽씨합보/현풍 솔예촌 활자인출/ 책수/규격 10책10권(총12책 12권중 8책8권,12책12권 낙질) /22.0×35.4cm/ 능화꽃무늬 표지, 한지 소 장 자 흘러가는 내 용 ○ 포산곽씨 파보를 합보하여 중간하였다. 1책(권지1)머리에 서문과 발문, 범례가 실려 있다. 상지8년 계묘년(정조8년,1783) 후손 곽창도(郭昌度)의 중간서문과 후손 곽천근(郭天根),곽재승(郭再升),곽기(郭기)의 근식, 숭정기원후재계해9월(1743) 현풍현감 밀성 박치문(朴致文)의 구서문과 후손 곽안조(郭安朝)의 근식, 하성(창녕) 조선적(曹善廸)의 발문을 붙여 12책12권으로 현풍솔예촌에서 숭정기원후3계묘..

임실청금안 (任實靑襟案)

◎任實靑襟案(임실청금안) 자 료 명 임실청금안 (任實靑襟案) 연대/시기 근현대/ 단기4295/ 1962년 발간/저자 임실향교/ 오수석판인쇄소 출판 책수/규격 1책 단본/ 20.5cm×29.5 / 석판본, 능화문 청색표지 소 장 자 흘러가는 ○ 임실청금안은 연대별 향교 임직원 명단이다. 1962년 전교 강범희(典敎 姜凡熙), 전교 이관순(典敎 李瓘淳)의 중간서문과 찬문, 월성 이상하(月城 李相夏)의 발문을 붙여 구 청금안을 증보하여 3권1책으로 간행하였으며, 오수석판소에서 석판본으로 출판하였다. ○ 목록에 각 성씨별 명단 범례목록, 권지 1~3에 현종(顯宗)때부터 숙종(肅宗)조 연간을 거쳐 역대 장의(掌議),색장(色掌),재장(齋長),직원(直員),전교(典敎)의 명단을 연대별로 수록하였다.

광국장군 전동흘실기(光國將軍 全東屹實記)

◎광국장군전동흘실기(光國將軍全東屹實記) 자 료 명 광국장군 전동흘실기(光國將軍 全東屹實記) 연대/시기 1960년대/ 발간/저자 전일구(全一球) 책수/규격 1책 단본/ 석판본/국한문혼용/19.3×28.2cm 소 장 자 흘러가는 김진영 ○ 1960년대에 전동흘의 일대기를 한문혼용체로 전일구가 쓴 책으로 내용은 실기를 총 10회로 나누어 썼고 특히 장화와 홍련에 관한 이야기는 6회차~ 9회차에 자세하게 풀어서 적어 놓았으며 전해져 내려오는 장화홍련전의 모태가 된 책이다. ○ 전동흘은 전북 진안군 진안읍 가림리 출신으로 본관은 천안(天安). 자는 사탁(士卓), 호는 가재(嘉齋)이며 1651년(효종 2) 무과에 급제하고, 용맹을 인정받아 북벌을 기도하던 효종에 의하여 발탁되었다. 이상진(李尙眞)·소두산(蘇斗山)과..

임실군지 任實郡誌

◎ 임실군지(任實郡誌) 자 료 명 임실군지 任實郡誌 연대/시기 대한민국/ 단기4293년 경자년/1960년 발간/저자 임실향교/ 임실군지편찬위원회 책수/규격 4책(권지1~8 元,亨,利,貞) / 19.5×28.6/ 석인본 소 장 자 흘러가는 ○ 임실군지로 1책 머리에 현풍인 곽한영의 군지속간서문이 실려있고, 숙종원년(1675)에 임실현감 고령인 신계징의 구지 발문과 계해년(1923)군수 이기방, 심진표, 이광의 구지서문,박종헌, 한철교, 이기호, 한봉석의 구지발문이 실려있다. ○ 임실군(任實郡)의 지리, 역사, 인물 등을 수록한 책. 숙종대에 나온 것을 1923년에 증보하고 이를 다시 해방 후에 증보하여 펴냄. 8권 4책. 1960년 문양당(文梁堂)에서 발행한 석인본(石印本). 선장(線裝). 유계(有界). ..

천안전씨총보(天安全氏總譜)

◎천안전씨총보(天安全氏總譜) 자 료 명 천안전씨총보(天安全氏總譜) 연대/시기 1958/무술년 발간/저자 천안전씨총보발간위원회/ 책수/규격 5책(권지1~5)/ 21.0×33.5cm/ 4책(권4) 낙질 소 장 자 흘러가는 김진영 ○ 천안전씨총보로 1책에 서문, 분파도, 수보일람표, 시조파보, 분산도, 천안전씨문헌사적, 찬문과 발문, 총보소 유사록, 2책~5책(권지2~5)각 종파 세보가 실려 있다. 1958년에 후손 전기홍,전병휘,전성욱,전남진,전학순이 근서하여 5책(5권)으로 만들었다. ○ 특히, 1책(권지1)문헌사적조 4쪽에 대장공 전동흘(全東屹)의 사적과 13쪽에 항일의병장 해산공 전기홍의 사적에는 항일의병장 이석용이 쓴 제문이 실려있다.

천안전씨세보(天安全氏世譜)

◎천안전씨세보(天安全氏世譜) 자 료 명 천안전씨세보(天安全氏世譜) 연대/시기 1937/정축년/ 발간/저자 대호군 휘 극례(克禮)현손 수감(守瑊)파종중 가재공 후손 발간 책수/규격 2책(권지1~2)/ 21.6×32.0cm 소 장 자 흘러가는 김진영 ○ 천안전씨세보로 1책에 서문, 기사, 범례, 천안군 건치연혁, 구보서문, 유사, 대군록, 승상록, 서원록, 대장록, 포장과 시조 전섭(全聶), 세보시조 전종도(全宗道)와 손자 영산군 전홍술(全洪述)의 후손인 대호군 전극례(全克禮)현손 수감(守瑊)파 세보와 이어서 2책에도 그 후손들의 세보가 함께 실려 있다. 1936년에 후손 전덕호가 서문을 쓰고 1937(정축년)에 후손 전주근이 근기하여 전승근이 발문을 써서 2책 2권으로 만들었다. ○ 특히,가재공 전동흘(全..

천안전씨세보(天安全氏世譜)

◎천안전씨세보(天安全氏世譜) 자 료 명 천안전씨세보(天安全氏世譜) 연대/시기 1904/ 갑진년/ 발간/저자 진안 두미재각(鎭安斗尾齋閣)개간/ 책수/규격 2책(1~3권)/ 목활자본/ 20.6×31.9cm 소 장 자 흘러가는 김진영 ○ 천안전씨세보로 사적 1책과 함께 진안 두미재각에서 발간하였으며 후손 전기술이 발문을 쓰고 후손 전태은 근서하였다. 갑진년(1904)에 2책 3권으로 만들었다. ○ 1책 서두에 발문과 서문, 범례, 전씨 30대군록, 사적, 상서록, 증익록, 서원록, 세보와 대호군 휘 극례(克禮)현손 수감파(守瑊派)족보가 실려있으며, 이후 대장공 동흘(東屹)과 증손 순좌(舜佐)후손들을 기준으로 세보를 편찬하였다. ○ 대장공 전동흘의 직계 후손들에 의하여 전동흘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가승보 형식으..

천안전씨세보문헌사적(天安全氏世譜文獻事蹟)

◎천안전씨세보문헌사적(天安全氏世譜文獻事蹟) 자 료 명 천안전씨세보문헌사적(天安全氏世譜文獻事蹟) 연대/시기 1904/갑진년/ 발간/저자 진안 두미재각(鎭安 斗尾齋閣)개간/ 책수/규격 1책 단본/ 목활자본/ 20.6×31.9cm 소 장 자 흘러가는 김진영 내 용 ○ 천안전씨세보문헌사적으로 세보 2책과 함께 진안 두미재각에서 발간한 것으로 보인다. 책 서두에 시조 섭(聶)의 사적과 충건공 락(樂) 천안부원군의 사적 등이 실려 있고, 특히, 대장공 동흘(東屹)의 사적과 대장공 후손들의 사적을 위주로 책을 펴낸 것으로 보 이며, 사적과 역대 세보구서문(世譜舊書文)이 실려있다.

진안유안 (鎭安儒案)

◎진안유안 자 료 명 진안유안 (鎭安儒案) 연대/시기 1983년/단기4316 발간/저자/인쇄 진안향교/ 진안유안임원/진안신일인쇄소 책수/규격 1책 단본/ 석판본/ 19.0×27.5cm 소 장 자 흘러가는 김진영 내 용 ○ 1책 연활자본으로 1983년(단기4316)에 진안향교에서 발간한 “진안유안”이다. 1983년 송승환의 서문과 광산인 김재영(金在英),부령인 김형기(金炯麒),천안인 전인권(全麟權)의 구지서문을 붙이고 김태성의 발문을 붙여 1책 단권으로 진안유안 임원들이 간행하였다. ○ 책 내용은 대성전위차도, 석전진설도, 석전대제축문, 향약절목, 진안유안 등이 수록되어있다.

진안유안 (鎭安儒案)

◎ 진안유안(鎭安儒案) 자 료 명 진안유안 (鎭安儒案) 연대/시기 1954년(갑오년)/ 발간/저자 진안향교/ 진안유안임원 책수/규격 1책 단본/ 석판본/ 19.2×28.2cm 소 장 자 흘러가는 김진영 내 용 ○ 1책 석판본으로 1954년(갑오년)에 진안향교에서 발간한 “진안유안”이다. 1954년 갑오년 5월 상한 광산인 김재영(金在英),부령인 김형기(金炯麒),천안인 전인권(全麟權)의 서문과 천안인 전동권(全東權)의 발문을 붙여 1책 단권으로 진안유안 임원들이 간행하였다. ○ 책 내용은 향교문묘 위차도, 석전대제진설도, 축문, 향약절목, 진안유안 등이 수록되어있다.

가재사실록 (嘉齋事實錄)

자 료 명 가재사실록 (嘉齋事實錄) 연대/시기 조선후기/ 숭정후사을축년(고종2년)/1865년 발간/저자 8대손 전기락/ 가재 전동흘 책수/규격 1책 단본/ 목활자본/ 21.5×32.1cm 소 장 자 흘러가는 김진영 ○ 숭정후을축년(1865)에 전동흘의 8대손 전기락,전기홍이 근서하여 송래희와 정래협의 서문과 김응표의 발문을 붙여 1책 단권으로 간행되었다. 책에는 영국원종공신록권전지, 가재공 행장과 사실, 현판문 비문, 수조록, 방목, 세병관현판, 장화홍련전, 사실록발문 등을 수록하였다. 특히 전동흘이 철산부사시절에 두 자매의 원한을 풀어준 이야기를 6대손 전만택의 간청에 의해 1818년(순조18)에 박인수가 쓴 장화홍련전이 수록되어 있다. ○ 전동흘은 진안군 진안읍 가림리 출신으로 본관은 천안(天安). ..

광국장군 전동흘실기(光國將軍 全東屹實記)

자 료 명 광국장군 전동흘실기(光國將軍 全東屹實記) 연대/시기 1960년대/ 발간/저자 전일구(全一球) 책수/규격 1책 단본/ 석판본/국한문혼용/19.3×28.2cm 소 장 자 흘러가는 김진영 ○ 1960년대에 전동흘의 일대기를 한문혼용체로 전일구가 쓴 책으로 내용은 실기를 총 10회로 나누어 썼고 특히 장화와 홍련에 관한 이야기는 6회차~ 9회차에 자세하게 풀어서 적어 놓았으며 전해져 내려오는 장화홍련전의 모태가 된 책이다. ○ 전동흘은 전북 진안군 진안읍 가림리 출신으로 본관은 천안(天安). 자는 사탁(士卓), 호는 가재(嘉齋)이며 1651년(효종 2) 무과에 급제하고, 용맹을 인정받아 북벌을 기도하던 효종에 의하여 발탁되었다. 이상진(李尙眞)·소두산(蘇斗山)과 함께 3걸로 불렸다. 내외의 무관직을 ..

호남병자창의록

○호남병자창의록 1932년 자 료 명 호남병자창의록(湖南丙子倡義錄) 연대/시기 현익군탄(玄黓涒灘)임신년/1932년(소화7년)/ 발간/저자 남원 사매면 대율리 명성재(明誠齋) 중간 /보절면 도룡리 이병민(李秉岷) 발행 책수/규격 3책(권지4)/ 목활자본/ 27.0×30.0cm 소 장 자 흘러가는 ○ 4권 3책 목활자본으로 1932년(임신년)에 중간한 호남병자창의록이다. 1762년 김원행(金元行),1798년 송환기(宋煥箕)의 구서(舊序)와 1932년 전주인 이승의(李升儀)의 발문을 붙여 남원 사매면 대율리 명성재(明誠齋)에서 중간했다. ○병자호란(1636년,인조14)이 일어나 인조가 남한산성으로 피난을 가자 옥과현감 이흥발 등 5인이 병란에 참전하려 여산에서 조수성(曺守誠)등과 만나 전참의 정홍명(鄭弘溟)을..

파릉세고 (巴陵世稿)

자 료 명 파릉세고 (巴陵世稿) 연대/시기 조선/ 1935년 간행 발간/저자 양천허씨 대제학공파/용사 허극(龍沙 許極)발문 책수/규격 1책(권지5)/ 석인본/ 21.4×31.1cm 소 장 자 흘러가는 ○ 파릉세고는 임실군 삼계면 덕계리 중촌마을에 집성하는 양천허씨 대제학공파 문중의 시문집이다. 문중의 후손인 용사 허극 선생이 발문을 붙여 총 7권 7책으로 1935년에 간행하였다. 권지5 책에는 서호공파,공산공파,석호공파의 27세손 19인 후손들의 시문이 쓰여 있다. 권두에는 목록과 더불어 서호공 허징 7대손 허겸의 시문과 서호공유사가 수록되어 있다. ○ 서울 양천구를 본향으로 삼고 있는 양천허씨는 허선문(許宣文)을 시조로 하는 성씨로 옛 지명이 공암(孔巖), 파릉, 양평으로 불리웠다.

옥천사마안(玉川司馬案)

자 료 명 옥천사마안(玉川司馬案) 연대/시기 숭정병자월후오임술년/ 1922년 발간/저자 윤병홍 謹書/ 양여매謹識(1636)/ 양병시 跋 책수/규격 1책 단본/ 목활자본/ 20.0×32.0cm 소 장 자 흘러가는 ○ 전라도 순창 출신 인물들의 과거 급제 기록인 “옥천사마안(玉川司馬案)”은 목활자본 단책(單冊)으로 고려와 조선에 걸쳐 사마시(생원, 진사시) 입격자를 수록한“사마안”과 “문과안(文科案)”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마안에 려조(麗朝) 조홍규(趙弘圭), 양이시(楊以時)등, 본조(本朝) 양수생(楊首生), 김인후(金麟厚),고경명(高敬命),최온(崔薀)등이 실려있고, 문과안에 신말주(申末舟)신숙주(申景濬), 김인후, 신경준(申景濬) 등이 실려 있다. 권두에 숭정병자월후오임오(崇禎丙子越後五壬戌,1922년) 윤..

시경 탁본첩(詩經 拓本帖)

자 료 명 시경 탁본첩(詩經 拓本帖) 연대/시기 미상/ 발간/저자 책수/규격 1책 / 절첩본/ 18.5×32.5cm 소 장 자 흘러가는 ○ 시경(詩經)의 국풍(國風), 빈풍(豳風)을 조맹부체(趙孟頫體)로 쓴 칠월팔장장십일구(七月八章章十一句)를 절첩본으로 만든 탁본첩이다. ○ 칠월이면 화성이 흐르고, 팔월에는 갈대를 벤다네. 누에치는달 뽕나무 가지를 이도끼 저도끼를 가지고 길게 뻗은 가지를 자르고, 저 연한 뽕잎을 딴다네. 칠월에는 왜가리 울고, 팔월에는 길쌈을 하는데. 검정색 누렁색 물들여 제일 좋은 붉은색으로 공자님 바지를 만들어 드리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