흘러가는

사심 없는 산행!! 지역 역사와 문화를 찾아서!!!! 김진영

오수면 지명지도

지역이야기 98

임실군 오수면 용정리 지명지도

◎ 지도위치: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오수면 용정리 마을 일원◎ 각 마을에 대대로 자연스럽게 전래되어 오는 각종 지명들이 산업사회 변화에 편승해 서서히 사라지고 있다.특히, 농촌인구감소와 노령화, 농지정리에 따른 지형변화, 수리시설 개선, 농경작로 현대화, 생산운반수단 발달 등 농촌산업사회 구조가 빠르게 변화 하면서 그 동안 누대에 걸쳐 구전으로 간간히 전해져 내려오던 전래 지명들이 자연스럽게 후세에 전해지지 못하고 단절되거나 서서히 사라지고 있기에 이를 안타깝게 여기는 마음에서 임실군 오수면 관내 14리 33마을의 자료를 수집하고 마을주민들의 고증과 협조를 얻어 지도에 지명 하나하나를 찾아 표기하였다. 이는 개인적인 자료수집이기에 다른 이견이 있을 수 있음을 밝혀둔다. 아울러 자료조사와 고증에 협조해..

임실군 오수면 주천리 지명지도

◎ 지도위치: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오수면 주천리 마을일원)◎ 각 마을에 대대로 자연스럽게 전래되어 오는 각종 지명들이 산업사회 변화에 편승해 서서히 사라지고 있다.특히, 농촌인구감소와 노령화, 농지정리에 따른 지형변화, 수리시설 개선, 농경작로 현대화, 생산운반수단 발달 등 농촌산업사회 구조가 빠르게 변화 하면서 그 동안 누대에 걸쳐 구전으로 간간히 전해져 내려오던 전래 지명들이 자연스럽게 후세에 전해지지 못하고 단절되거나 서서히 사라지고 있기에 이를 안타깝게 여기는 마음에서 임실군 오수면 관내 14리 33마을의 자료를 수집하고 마을주민들의 고증과 협조를 얻어 지도에 지명 하나하나를 찾아 표기하였다. 이는 개인적인 자료수집이기에 다른 이견이 있을 수 있음을 밝혀둔다. 아울러 자료조사와 고증에 협조해..

임실군 오수면 용두리 지명지도

◎ 지도위치: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오수면 용두리 (구장, 운교마을 일원)◎ 각 마을에 대대로 자연스럽게 전래되어 오는 각종 지명들이 산업사회 변화에 편승해 서서히 사라지고 있다.특히, 농촌인구감소와 노령화, 농지정리에 따른 지형변화, 수리시설 개선, 농경작로 현대화, 생산운반수단 발달 등 농촌산업사회 구조가 빠르게 변화 하면서 그 동안 누대에 걸쳐 구전으로 간간히 전해져 내려오던 전래 지명들이 자연스럽게 후세에 전해지지 못하고 단절되거나 서서히 사라지고 있기에 이를 안타깝게 여기는 마음에서 임실군 오수면 관내 14리 33마을의 자료를 수집하고 마을주민들의 고증과 협조를 얻어 지도에 지명 하나하나를 찾아 표기하였다. 이는 개인적인 자료수집이기에 다른 이견이 있을 수 있음을 밝혀둔다. 아울러 자료조사와..

임실군 오수면 오암리 지명지도

◎ 지도위치: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오수면 오암리 (한암, 오촌마을일원)◎ 각 마을에 대대로 자연스럽게 전래되어 오는 각종 지명들이 산업사회 변화에 편승해 서서히 사라지고 있다.특히, 농촌인구감소와 노령화, 농지정리에 따른 지형변화, 수리시설 개선, 농경작로 현대화, 생산운반수단 발달 등 농촌산업사회 구조가 빠르게 변화 하면서 그 동안 누대에 걸쳐 구전으로 간간히 전해져 내려오던 전래 지명들이 자연스럽게 후세에 전해지지 못하고 단절되거나 서서히 사라지고 있기에 이를 안타깝게 여기는 마음에서 임실군 오수면 관내 14리 33마을의 자료를 수집하고 마을주민들의 고증과 협조를 얻어 지도에 지명 하나하나를 찾아 표기하였다. 이는 개인적인 자료수집이기에 다른 이견이 있을 수 있음을 밝혀둔다. 아울러 자료조사와 ..

임실군 오수면 오수리 지명지도

◎ 지도위치: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오수면 오수리 (후리,동후리,서후리,남후리,상리,관월,시장,남신동 마을일원)◎ 각 마을에 대대로 자연스럽게 전래되어 오는 각종 지명들이 산업사회 변화에 편승해 서서히 사라지고 있다.특히, 농촌인구감소와 노령화, 농지정리에 따른 지형변화, 수리시설 개선, 농경작로 현대화, 생산운반수단 발달 등 농촌산업사회 구조가 빠르게 변화 하면서 그 동안 누대에 걸쳐 구전으로 간간히 전해져 내려오던 전래 지명들이 자연스럽게 후세에 전해지지 못하고 단절되거나 서서히 사라지고 있기에 이를 안타깝게 여기는 마음에서 임실군 오수면 관내 14리 33마을의 자료를 수집하고 마을주민들의 고증과 협조를 얻어 지도에 지명 하나하나를 찾아 표기하였다. 이는 개인적인 자료수집이기에 다른 이견이 있을 수..

임실군 오수면 오산리 지명지도

◎ 지도위치: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오수면 오산리 (오산마을,오동마을 일원)◎ 각 마을에 대대로 자연스럽게 전래되어 오는 각종 지명들이 산업사회 변화에 편승해 서서히 사라지고 있다.특히, 농촌인구감소와 노령화, 농지정리에 따른 지형변화, 수리시설 개선, 농경작로 현대화, 생산운반수단 발달 등 농촌산업사회 구조가 빠르게 변화 하면서 그 동안 누대에 걸쳐 구전으로 간간히 전해져 내려오던 전래 지명들이 자연스럽게 후세에 전해지지 못하고 단절되거나 서서히 사라지고 있기에 이를 안타깝게 여기는 마음에서 임실군 오수면 관내 14리 33마을의 자료를 수집하고 마을주민들의 고증과 협조를 얻어 지도에 지명 하나하나를 찾아 표기하였다. 이는 개인적인 자료수집이기에 다른 이견이 있을 수 있음을 밝혀둔다. 아울러 자료조사..

임실군 오수면 신기리 지명지도

◎ 지도위치: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오수면 신기리 마을일원◎ 각 마을에 대대로 자연스럽게 전래되어 오는 각종 지명들이 산업사회 변화에 편승해 서서히 사라지고 있다.특히, 농촌인구감소와 노령화, 농지정리에 따른 지형변화, 수리시설 개선, 농경작로 현대화, 생산운반수단 발달 등 농촌산업사회 구조가 빠르게 변화 하면서 그 동안 누대에 걸쳐 구전으로 간간히 전해져 내려오던 전래 지명들이 자연스럽게 후세에 전해지지 못하고 단절되거나 서서히 사라지고 있기에 이를 안타깝게 여기는 마음에서 임실군 오수면 관내 14리 33마을의 자료를 수집하고 마을주민들의 고증과 협조를 얻어 지도에 지명 하나하나를 찾아 표기하였다. 이는 개인적인 자료수집이기에 다른 이견이 있을 수 있음을 밝혀둔다. 아울러 자료조사와 고증에 협조해주..

임실군 오수면 봉천리 지명지도

◎ 지도위치: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오수면 봉천리 (봉산, 냉천마을 일원)◎ 각 마을에 대대로 자연스럽게 전래되어 오는 각종 지명들이 산업사회 변화에 편승해 서서히 사라지고 있다.특히, 농촌인구감소와 노령화, 농지정리에 따른 지형변화, 수리시설 개선, 농경작로 현대화, 생산운반수단 발달 등 농촌산업사회 구조가 빠르게 변화 하면서 그 동안 누대에 걸쳐 구전으로 간간히 전해져 내려오던 전래 지명들이 자연스럽게 후세에 전해지지 못하고 단절되거나 서서히 사라지고 있기에 이를 안타깝게 여기는 마음에서 임실군 오수면 관내 14리 33마을의 자료를 수집하고 마을주민들의 고증과 협조를 얻어 지도에 지명 하나하나를 찾아 표기하였다. 이는 개인적인 자료수집이기에 다른 이견이 있을 수 있음을 밝혀둔다. 아울러 자료조사와..

임실군 오수면 둔덕리 지명지도

◎ 지도위치: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오수면 둔덕리 (동촌, 방축마을 일원)◎ 각 마을에 대대로 자연스럽게 전래되어 오는 각종 지명들이 산업사회 변화에 편승해 서서히 사라지고 있다.특히, 농촌인구감소와 노령화, 농지정리에 따른 지형변화, 수리시설 개선, 농경작로 현대화, 생산운반수단 발달 등 농촌산업사회 구조가 빠르게 변화 하면서 그 동안 누대에 걸쳐 구전으로 간간히 전해져 내려오던 전래 지명들이 자연스럽게 후세에 전해지지 못하고 단절되거나 서서히 사라지고 있기에 이를 안타깝게 여기는 마음에서 임실군 오수면 관내 14리 33마을의 자료를 수집하고 마을주민들의 고증과 협조를 얻어 지도에 지명 하나하나를 찾아 표기하였다. 이는 개인적인 자료수집이기에 다른 이견이 있을 수 있음을 밝혀둔다. 아울러 자료조사와..

임실군 오수면 둔기리 지명지도

◎ 지도위치: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오수면 둔기리 마을일원 ◎ 각 마을에 대대로 자연스럽게 전래되어 오는 각종 지명들이 산업사회 변화에 편승해 서서히 사라지고 있다.특히, 농촌인구감소와 노령화, 농지정리에 따른 지형변화, 수리시설 개선, 농경작로 현대화, 생산운반수단 발달 등 농촌산업사회 구조가 빠르게 변화 하면서 그 동안 누대에 걸쳐 구전으로 간간히 전해져 내려오던 전래 지명들이 자연스럽게 후세에 전해지지 못하고 단절되거나 서서히 사라지고 있기에 이를 안타깝게 여기는 마음에서 임실군 오수면 관내 14리 33마을의 자료를 수집하고 마을주민들의 고증과 협조를 얻어 지도에 지명 하나하나를 찾아 표기하였다. 이는 개인적인 자료수집이기에 다른 이견이 있을 수 있음을 밝혀둔다. 아울러 자료조사와 고증에 협조해..

임실군 오수면 대정리 지명지도

◎ 지도위치: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오수면 대정리 일원◎ 각 마을에 대대로 자연스럽게 전래되어 오는 각종 지명들이 산업사회 변화에 편승해 서서히 사라지고 있다.특히, 농촌인구감소와 노령화, 농지정리에 따른 지형변화, 수리시설 개선, 농경작로 현대화, 생산운반수단 발달 등 농촌산업사회 구조가 빠르게 변화 하면서 그 동안 누대에 걸쳐 구전으로 간간히 전해져 내려오던 전래 지명들이 자연스럽게 후세에 전해지지 못하고 단절되거나 서서히 사라지고 있기에 이를 안타깝게 여기는 마음에서 임실군 오수면 관내 14리 33마을의 자료를 수집하고 마을주민들의 고증과 협조를 얻어 지도에 지명 하나하나를 찾아 표기하였다. 이는 개인적인 자료수집이기에 다른 이견이 있을 수 있음을 밝혀둔다. 아울러 자료조사와 고증에 협조해주신 ..

임실군 오수면 대명리 지명지도

◎ 지도위치: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오수면 대명리 (국평마을, 남악마을, 상신촌마을, 임성동마을 일원)◎ 각 마을에 대대로 자연스럽게 전래되어 오는 각종 지명들이 산업사회 변화에 편승해 서서히 사라지고 있다.특히, 농촌인구감소와 노령화, 농지정리에 따른 지형변화, 수리시설 개선, 농경작로 현대화, 생산운반수단 발달 등 농촌산업사회 구조가 빠르게 변화 하면서 그 동안 누대에 걸쳐 구전으로 간간히 전해져 내려오던 전래 지명들이 자연스럽게 후세에 전해지지 못하고 단절되거나 서서히 사라지고 있기에 이를 안타깝게 여기는 마음에서 임실군 오수면 관내 14리 33마을의 자료를 수집하고 마을주민들의 고증과 협조를 얻어 지도에 지명 하나하나를 찾아 표기하였다. 이는 개인적인 자료수집이기에 다른 이견이 있을 수 있음을 ..

임실군 오수면 금암리 지명지도

◎ 지도위치: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오수면 금암리 (내동마을,남금암마을,북금암마을 일원)◎ 각 마을에 대대로 자연스럽게 전래되어 오는 각종 지명들이 산업사회 변화에 편승해 서서히 사라지고 있다.특히, 농촌인구감소와 노령화, 농지정리에 따른 지형변화, 수리시설 개선, 농경작로 현대화, 생산운반수단 발달 등 농촌산업사회 구조가 빠르게 변화 하면서 그 동안 누대에 걸쳐 구전으로 간간히 전해져 내려오던 전래 지명들이 자연스럽게 후세에 전해지지 못하고 단절되거나 서서히 사라지고 있기에 이를 안타깝게 여기는 마음에서 임실군 오수면 관내 14리 33마을의 자료를 수집하고 마을주민들의 고증과 협조를 얻어 지도에 지명 하나하나를 찾아 표기하였다. 이는 개인적인 자료수집이기에 다른 이견이 있을 수 있음을 밝혀둔다. 아..

임실군 오수면 군평리 지명지도

◎ 지도위치: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오수면 군평리 (종동마을,평당마을,군곡마을 일원)◎ 각 마을에 대대로 자연스럽게 전래되어 오는 각종 지명들이 산업사회 변화에 편승해 서서히 사라지고 있다.특히, 농촌인구감소와 노령화, 농지정리에 따른 지형변화, 수리시설 개선, 농경작로 현대화, 생산운반수단 발달 등 농촌산업사회 구조가 빠르게 변화 하면서 그 동안 누대에 걸쳐 구전으로 간간히 전해져 내려오던 전래 지명들이 자연스럽게 후세에 전해지지 못하고 단절되거나 서서히 사라지고 있기에 이를 안타깝게 여기는 마음에서 임실군 오수면 관내 14리 33마을의 자료를 수집하고 마을주민들의 고증과 협조를 얻어 지도에 지명 하나하나를 찾아 표기하였다. 이는 개인적인 자료수집이기에 다른 이견이 있을 수 있음을 밝혀둔다. 아울러..

운수지(雲水誌) 문화유산 위치도

◎ 운수지 을묘본은 숙종 원년(1675)에 신계징(신계징, 1632~ )임실현감이 고을의 선비 한필상(韓必相,1634~1714)과 이시연(李時然, 1622~1697)과 함께 편찬한 사찬읍지이다. 운수(雲水)란 조선시대 임실현의 별칭으로 신증동국여지승람(1530)에 임실현의 군명으로 기록되어 있다. ◎  2024.10월 운수지 을묘본을 저본으로 하여  국역본이 출간되었다. ◎ 운수지 32개 각 항목에 열거 되어 있는 문화유산의 대략적인 위치를 찾아내어 지도에 표기하였다.(문화유산 위치도)

견훤대(甄萱臺)

【고적(古跡)】 ~ 1675 운수지○ 견훤대(甄萱臺) 현의 서쪽 45리 갈담교(葛覃橋) 위에 있다. 신라말 견훤(甄萱)이 반란을 일으켜 완산(完山)에 웅거하면서 여기에 대(臺)를 쌓고서 강무(講武)하는 곳으로 삼았 으므로 활[射侯]을 쏘는 곳이 있다. *답사결과 - 위치: 임실군 강진면 갈담리 550-1번지 일원 주민들은 일명 다래끼봉이라 부르는 곳으로, 임실읍지에 희마대(戱馬臺)라 소개하고 있기도 하다. 갈담천과 섬진강이 만나는 곳으로 승경이 빼어나고 갈담역과 순창을 연결해 주던 섬진강 나룻배 길목 이었던 곳으로 후삼국시대 견훤이 남북을 오갈 때에 이곳에 들러 강무하며 소요하던 곳이라 한다. 해발 200여m 낮은 산봉우리 정상부에 폭 2m정도 작은길이 고리처럼 빙 둘러져 있고 사각의 석축으로 대를 쌓..

성산(城山), 임실 월평리 산성

○성산(城山)  ~임실 운수지(雲水誌1675) 동면 성저리(城底里) 뒤에 있다. 봉우리 위에 고성(古城)이 있고 둘레가 불과 2리쯤 되며 높이는 *1장(丈)이고 가운데 옛 우물이 있다. 속담에 삼한시대에 창건한 것으로 곡물 등을 저장하던 곳이라고 한다.  *답사결과 - 위치: 성수면 월평리 산33번지 일원 - 성곽의 형태는 전체적으로 日자 형인데 가운데 능선을 사이에 두고 동쪽과 서쪽으로 좌우 계곡을 막아 남향으로 성곽을 2개소 쌓은 특이한 형태이며 동·서·북쪽의 성벽은 급경사 산사면 위에 *할석으로 석성을 쌓았다. 산성은 성저마을 북쪽 산봉우리에 있다. - 임실 월평리 산성은 월평리 성저마을 북쪽에 솟아있는 산 정상부에 위치한다. 이곳은 삼한시대 이래 동서로 이어지는 내륙교통로와 섬진강 본류를 따라 형..

죽림사(竹林寺)

【고적(古跡)】 1675년 임실 운수지(雲水誌) ○ 죽림사(竹林寺)  현의 서쪽 용요산의 남쪽에 있다. 지금은 폐지되었고 석불만 남아있다.  *답사결과 - 위치: 임실읍 성가리 525(임실읍 호반로79-53) - 임실의 주산인 용요산 중턱에 자리한 죽림암은 9세기 말엽 신라의 진감선사가 수도를 위하여 지었다고 한다. 죽림이란 예전에 이 부근에 큰 대나무 숲이 있었기 때문에 붙인 이름이다. 조선 연산군 10년(1504) 지엄스님이 새롭게 지었을 때는 본당과 수명을 관장하는 칠 여래상을 모신 칠성각, 산신을 호랑이와 노인으로 표현하여 모신 산신각 등이 있었으나 임진왜란(1592)과 한국전쟁(1950~1953)때 불에 탔고 지금 건물은 1981년에 다시 지은 것이다. 암자 옆 오래된 느티나무가 이..

율치(栗峙)

○ 율치(栗峙) ~임실 운수지(雲水誌1675) 현의 서북쪽 55리 강진면 신원동리(新院洞里) 북쪽 백련산 서록 7리쯤에 있다. 우도를 왕래할 때 이도로를 지나간다. *답사결과 - 위치: 임실군 강진면 학석리 율치마을, 운암면 운암리 모시울마을 - 율치는 일명 밤재로 불리운다. 강진면 율치마을과 운암면 운암리 모시울마을 이어주는 해발300m의 산 고개이다. 지금은 지방도 2차선도로인 강운로가 밤재를 넘어가고 있고,  27번 4차선 국도인 모악로가 밤재 터널을 통해 지나간다. - 전라도 임실, 화순, 옥과, 담양, 순창 등 우도(右道)지방 사람들이 전주부성과 한양을 오고 갈 때 주로 이용했던 길목으로 재 넘어 섬진강과 맞대고 있다.

신흥사(新興寺), 사자산(獅子山 565m)

【불우(佛宇)】 ~임실 운수지(雲水誌1675)  ○신흥사(新興寺) 사자산 내에 있다. *답사결과: 신흥사, 사자산(獅子山 565m) - 위치: 임실군 관촌면 상월로 889-19(관촌면 상월리) - 관촌면 상월리 사자산 남쪽 기슭에 있는 신흥사는 백제 성왕 7년(529)에 창건되었다고 전하는데, 「임실신흥사사적사인(任實 新興寺 事蹟詞引)」(1652)에 의하면 신라 진감국사가 점지한 곳이라고 하며, ‘산이 병풍처럼 둘러 봉황이 글을 물고 안개 속에서 일어나는 듯하고, 시내가 주위를 흘러 옥룡이 일렁이는 물결을 마시는 것 같았다. 황금으로 된 지상의 궁궐이 지어지지 않으면 옥으로 만든 천도(天都)가 될 터’였다고 한다. 1619년에 인화(印和), 청옥(淸玉) 두 스님이 중창하였고, 1652년에 두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