흘러가는

사심 없는 산행!! 지역 역사와 문화를 찾아서!!!! 김진영

오수면 지명지도

지역이야기/오수면 마을 지명 지도

임실군 오수면 신기리 지명지도

흘러 가는 2025. 4. 5. 19:21

◎ 지도위치: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오수면 신기리 마을일원

◎ 각 마을에 대대로 자연스럽게 전래되어 오는 각종 지명들이 산업사회 변화에 편승해 서서히 사라지고 있다.

특히, 농촌인구감소와 노령화, 농지정리에 따른 지형변화, 수리시설 개선, 농경작로 현대화, 생산운반수단 발달 등 농촌산업사회 구조가 빠르게 변화 하면서 그 동안 누대에 걸쳐 구전으로 간간히 전해져 내려오던  전래 지명들이 자연스럽게 후세에 전해지지 못하고 단절되거나 서서히 사라지고 있기에 이를 안타깝게 여기는 마음에서 임실군 오수면 관내 14리 33마을의 자료를 수집하고 마을주민들의 고증과 협조를 얻어 지도에 지명 하나하나를 찾아 표기하였다. 이는 개인적인 자료수집이기에 다른 이견이 있을 수 있음을 밝혀둔다.  아울러 자료조사와 고증에 협조해주신 주민분들께 감사함을 전합니다.  (참고자료: 다음지도, 한국지명총람, 운수지 등)

 

▷임실군 오수면 신기리 마을 (오수면 남부지역 서쪽을 이루는 마을)

신기리: 탑동塔洞과 새터新村를 합하여 신기리新基里라 함

오수면 신기리 일부

(신기) 신기리 북쪽을 이루는 마을.

둔내산[] 신기 북서쪽에 있는 해발247.8m .

검억골재[고개] 신기 북서쪽에 있는 임도 고개.

임도[도로] 신기 북서쪽 까막재 마을에서 삼계면 삼은리로 가는 임도.

오노봉(五老峯)[] 신기 북서쪽에 있는 산, 다섯개의 봉우리가 있음.

노루목(獐項)[마을,고개] 신기 북쪽에 있었던 마을과 고개.

신기리고인돌[] 신기 북쪽 노루목에 있음.

노루목골[] 신기 북쪽에 있는 골짜기.

초암들[] 신기 북쪽 노루목 동쪽에 있는 들.

풍욕정[정자] 신기 북동쪽 오수천가 체리암에 있음

체리암[바위] 신기 북동쪽 오수천 도로가에 있음.

덤바우[바위] 신기 북동쪽 오수천 도로가에 있음.

마신당터[] 신기 북동쪽 산봉우리에 있었음.

수동고개[고개] 신기 북동쪽 오수장터로 가는 고개.

덕가암[바위] 신기 북동쪽 오수천 도로가 산 아래 덕가암이 새겨진 바위.

영춘대[바위] 신기 북동쪽 오수천 도로가 산 아래 영춘대가 새겨진 바위

평촌[마을] 신기 북동쪽 오수천 건너에 있었던 마을.

신기보(새보)[] 신기 북동쪽 오수천에 있는 보.

징검다리[다리] 신기 북동쪽 오수천에 있는 돌다리.

강사보[] 신기 북동쪽 오수천 안에 있는 보.

.전라선철길[도로] 신기 동쪽에 있는 도로, 전라선 폐철도부지.

매부리봉[] 신기 동북쪽 오수천 건너에 있는 산.

매부리들[] 신기 동북쪽 오수천 건너 매부리봉 북쪽에 있는 들.

맹진재들[] 신기 동쪽 오수천 건너 매부리봉 동쪽에 있는 들.

서내[마을] 신기 동쪽 오수천 건너에 있는 마을.

새보들[] 신기 동쪽에 있는 들.

웃방아실[마을,모정,노거수] 신기 동쪽에 있는 마을, 모정과 노거수가 있고 방앗간이 있었음.

신기리(새터)[마을] 신기 중심을 이루는 마을.

까막재[고개] 신기 북쪽에 있는 고개.

공골[] 신기 북쪽 까막재가 있는 골짜기.

밤동산[] 신기 북쪽 공골에 있는 밤나무산.

오치동(까막재)[마을] 신기 북쪽에 있는 오수리 경계의 마을.

장성들[] 신기 북쪽에 있는 까막재 앞 들.

오수면하수처리장[시설] 신기 북동쪽 오수천 건너에 있는 시설.

 

오수면 신기리 마을 일원

(새터, 탑동) 탑동 신기리 남쪽을 이루는 마을.

노루목[마을,고개] 신기 북쪽에 있었던 마을과 고개.

노루목골[] 신기 북쪽에 있는 골짜기.

수동고개[고개] 신기 북동쪽 오수장터로 가는 고개.

징검다리[다리] 신기 북동쪽 오수천 강사보 위에 있는 돌다리.

강사보[] 신기 북동쪽 오수천 안에 있는 보.

뽕나무들[] 신기 북동쪽에 있는 들, 뽕나무밭이 있었음.

밤나무밭[마을] 신기 북동쪽에 있는 마을, 밤나무가 있었음.

새보들[] 신기 동쪽에 있는 들

웃방아실[마을,모정,노거수] 신기 동쪽에 있는 마을, 모정과 노거수가 있고 방앗간이 있었음.

정자나무(나무) 신기 동쪽 웃방아실에 있음.

전라선[철도] 신기 동쪽에 있는 철도.

신기회관[시설] 마을주민들이 모이는 곳, 경로당.

탑동(탑골)[마을] 신기 남쪽을 이루는 마을.

석주(당간)[돌기둥] 신기 탑동 민가에 있음.

배암바우쏘[하천] 신기 탑동 동쪽 작은 하천에 있었음.

둔덕국교터[] 신기 탑동 남쪽에 있음. 폐교 터에 태양광발전시설이 있음.

삼형제바위[바위] 신기 탑동 남동쪽 마을입구에 있는 바위.

모정[정자] 신기 탑동 남동쪽 삼형제바위 아래에 있음.

도석금[하천] 신기 탑동 남쪽에 있는 작은 하천가에 있고 둔덕팔경의 배경이 됨.

신기교[다리] 신기 탑동 동남쪽 오수천에 있는 다리.

서내[마을] 신기 동쪽 오수천 건너에 있는 마을.

매부리봉[] 신기 동북쪽 오수천 건너에 있는 산.

매부리들[] 신기 동북쪽 오수천 건너 매부리봉 북쪽에 있는 들.

맹진재들[] 신기 동쪽 오수천 건너 매부리봉 동쪽에 있는 들.

오노봉[] 신기 북서쪽에 있는 산, 다섯개의 봉우리가 있음.

이승의애국지사묘[] 신기 서북쪽 오노봉 남쪽 산능선에 있음.

서당재(서당고개)[고개] 신기 탑동 서쪽에 있으며 삼계면 삼은리로 가는 고개.

서당골[] 신기 탑동 서쪽에 있는 골짜기.

저동방죽[방죽] 신기 탑동 서쪽 서당골에 있는 방죽.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