흘러가는

사심 없는 산행!! 지역 역사와 문화를 찾아서!!!! 김진영

오수면 지명지도

향토사 박물관/고도서 175

진산강씨족보 (晉山姜氏族譜)

자 료 명 진산강씨족보 (晉山姜氏族譜) 연대/시기 조선후기/ 1800년간/ 발간/저자 책수/규격 총4책(仁.義.禮.知)중 2책(義.禮)/ 목판본 /23.5×36.0cm 소 장 자 흘러가는 ○ 조선후기 1800년간에 만들어진 진주강씨 박사공파 족보이다. 2책(義)에 9대 장령공 송덕(掌令公 宋德)의 4째 아들 10대 사직공 검(司直公 儉)과 그 후손 19대까지, 3책(禮)에 대민공 석덕(戴敏公 碩德)의 큰 아들 인재공 희안(仁齋公 希顔)과 둘째 아들 문량공 희맹(文良公 希孟)의 후손 19대까지 수록되어 있다. 1책(仁)은 시조 강이식~8대까지, 4책(知)은 20대~24대 후손들이 실려있다.

진산강씨문집 (晉山姜氏文集)

자 료 명 진산강씨문집 (晉山姜氏文集) 연대/시기 조선후기/ 1800년대 발간/저자 강주영 책수/규격 2책(2권) 건.곤/ 목판본/ 22.0×34.5cm 소 장 자 흘러가는 ○ 진산강씨 공목공파 장갈문(狀碣文)을 엮은책으로 서문 을유년에 후손 주영(柱榮)이 쓰고, 발문은 후손 철환(澈煥)이 썼다. ○ 1권에 공목공 진산군 강시(恭穆公 姜蓍) 묘지명(좌찬성 양촌 권근 찬), 도순문사 통정공 강회백 행장, 지창영현사공 강우덕 비명, 대민공 완역재 강석덕 행장, 인재공 강희안 행장, 문양공 강희맹 신도비명(월성군 서거정 찬) 등 30명, 2권에 27명의 장갈문이 수록되어 있다.

진주소씨세적 략 (晉州蘇氏世蹟 略)

자 료 명 진주소씨세적 략 (晉州蘇氏世蹟 略) 연대/시기 단기4320년/ 1987년 발간/저자 진주소씨행정공파 책수/규격 1책 단본/ 19.1×26.2cm/ 활자 인쇄본 소 장 자 흘러가는 ○ 진주소씨행정공파에서 1987년 편찬한 책자로 가선대부병마절도사소공묘갈명, 도수거사진주소공증진묘비,무은선생행장,황명유일무은소선생지묘비문,처사소공묘갈명,영은거사진양소공진열지묘비문,영모재기가 수록되어 있다.

동감강목동간회원안(東鑑綱目同刊會員案)

자 료 명 동감강목동간회원안(東鑑綱目同刊會員案) 연대/시기 임자년/ 1972년 발간/저자 남원향교 책수/규격 1책/19.7×28.6cm/ 석판본 소 장 자 흘러가는 ○ 동감강목편찬회원명부로 이상의가 서문을 쓰고 송경섭이 발문을 써서 1972년 남원향교에서 간행하였다. ○ 1902년 연재 송병선에 의해 완성된 동감강목 필사본을 1970년 남원향교에서 활자본으로 간행하였다.

진안군지(鎭安郡誌)

자 료 명 진안군지(鎭安郡誌) 연대/시기 단기4292/ 1959년 발간/저자 진안향교/임실군 덕치면 회문리 문양당 인쇄 책수/규격 4책(元亨利貞 8권)/ 19.6×28.5cm 소 장 자 흘러가는 ○ 1925년 8권 4책으로 진안군에서 편찬한 것을 1959년 진안향교에서 석판본 8권 4책으로 재 발행한 책으로 임실군 덕치면 회문리 문양당에서 인쇄했다. 진안군수 안동인 김관묵과 허정석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전창현,오상동,임병도의 구지(舊誌)발문이 쓰여있다. 1책 권지머리에 목록,관내도,구지서,선생안,용담구본,용담선생안,권지1에 건치연혁과 군명,방리,산천,관우,불우 등이 실려있고 2책 권지2~3에 관안,군.면세,교통,제언 등이, 3책 권지4~6에 누대,묘각,삼림,묘갈명,묘표,신도비명 등이, 4책 권지7~8에..

진산세고(晉山世稿), 진산세가(晉山世家)

자 료 명 진산세고(晉山世稿), 진산세가(晉山世家) 연대/시기 소화8년/1933년 발간/저자 강성규 발행/ 강회백,강석덕,강희안 책수/규격 2책(권1~2)/ 19.7×28.6cm 소 장 자 흘러가는 ○ 1476년(성종 7) 강회백의 손자 강희맹(姜希盟)이 편집·간행하였다. 책의 첫머리에는 신숙주(申叔舟)·최항(崔恒)·정창손(鄭昌孫)의 서문이 있으며, 권말에는 김종직(金宗直)·서거정(徐居正) 등의 5편의 발문이 실려 있다. 이들 서·발문에 의해 이 책의 편집과 개판(改版) 및 이판(移板)에 따른 경과를 알 수 있다. 김종직(金宗直)의 발문에 의하면, 강희맹이 1473년에 세고(世稿)를 편집하여 함양군수로 있는 김종직에게 부탁하여 함양에서 개판하였으며, 이듬해에 강희맹이 쓴 「양화소록서(養花小錄序)」가 추각..

조선유현연원도 (朝鮮儒賢淵源圖)

자 료 명 조선유현연원도 (朝鮮儒賢淵源圖) 연대/시기 일제강점기 소화16년/ 1941년 발간/저자 윤영선/ 장수 장계 동문당 발행 책수/규격 2책(상하)/ 20.0×29.6cm/ 소 장 자 흘러가는 ○ 2권 2책. 영인본. 1941년에 간행되었다. 이우만(李愚萬)·오승호(吳升鎬)·김상기(金相基)·윤영선의 서문과 양종호(梁鍾浩)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서두에 설총(薛聰)으로부터 최치원(崔致遠)·김양감(金良鑑)·최충(崔冲)·안유(安裕)·정몽주(鄭夢周)의 순으로 계통적으로 기술하였다. 조선조에서는 김종직(金宗直)·김굉필(金宏弼)·조광조(趙光祖)·김식(金軾)·송흠(宋欽)·이황(李滉)·이이(李珥)·송익필(宋翼弼)·조식(曺植)·장현광(張顯光)·박지계(朴知誡)·이단상(李端相)·이재(李縡)·이익(李..

사숙재선생문집(私淑齋先生文集)

자 료 명 사숙재선생문집 (私淑齋先生文集) 연대/시기 소화13년/ 1938년 발간/저자 강대철/ 강희맹(姜希孟)(1424~1483) 책수/규격 2책 상.하(권지1~3)/18.3×26.0cm 소 장 자 흘러가는 ○ 1805년 간행된 사숙재집을 1938년에 후손 강대철과 강집중이 2책(권1~3)상‧하권 연활자본으로 발행 인쇄하였다. ○ 사숙재 강희맹은 조선의 문신. 뛰어난 문장가이며 공정한 정치를 하여 세종과 성종 때 모두 총애를 받았다.

호남여수읍지(湖南麗水邑誌)

자 료 명 호남여수읍지(湖南麗水邑誌) 연대/시기 1985년/ 발간/저자 여수문화원 원장 박봉양 책수/규격 1책 94장/ 연활자본 국역본/ 19.5×29.0cm 소 장 자 흘러가는 ○ 호남여수읍지는 여수문화원(원장 박봉양)에서 1985년에 비매품으로 한문과 한글번역본을 실어 발행하였다. 읍지 내용에 건치연혁, 풍속 관원,산천,방리,토산,성곽,봉수,관우,향교,누대,역원,원사,비각,고적,부곡,장시,제언,인물,효행,우거,명신,기문 등이 실려있다.

사숙재집(강희맹 시문집)

자 료 명 사숙재집(私淑齋集) 연대/시기 조선후기/1805년(순조5)/ 발간/저자 강주선(姜柱善)/ 강희맹(姜希孟)(1424~1483) 책수/규격 총12권 5책 중4책 소장(3~5권 1책 낙질)/ 21.5×33.3cm 목활자본 소 장 자 흘러가는 ○ 12권 5책. 목활자본. 1805년(순조 5) 후손들에 의해 무장(茂長) 선운사(禪雲寺)에서 간행되었다. 권두에 서거정(徐居正)의 구서(舊序)와 권말에 10대손 주선(柱善)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국립중앙도서관·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4에 시, 권5는 사(辭)·부(賦)·잡저·가사(歌辭), 권6은 소·교서(敎書)·제문·계문(契文)·소문(疏文)·상량문·책(策), 권7은 서(書)·행장·비명·비음기(碑陰記)·전(傳), 권8은 기·서(序), 권9는 ..

김제군지(金堤郡誌)

자 료 명 김제군지(金堤郡誌) 연대/시기 일제강점기/ 대정6년/ 1917년 발간/저자 저작자 조찬성/ 저작발행자 안종묵 책수/규격 1책/ 19.5×31.0cm 소 장 자 흘러가는 ○ 일제강점기에 간행된 김제군지이다. 김제경찰서장 이궁선장(二宮愃藏)이 서문을 쓰고, 군지 목록 뒤에 황선모, 최기철, 최태홍, 최기철, 강희순, 온관하의 서문과 함께 참봉 조성희가 발문을 붙이고 갑신년 구지 라기익의 서문을 붙여 1책으로 발행하였다.

예기(禮記)

자 료 명 예기(禮記) 연대/시기 조선후기/ 발간/저자 책수/규격 4책/ 20.0×29.1cm, 활자본 소 장 자 흘러가는 ○ 예기집설대전 4책 - 예기 권지 5 왕제 - 예기 권지 11~12 교특생 - 예기 권지 13~15 옥조 - 예기 권지 16~18 대전 ○오경(五經)의 하나로 일컬어진다. 예경(禮經)이라 하지 않고 ≪예기≫라고 한 것은 예(禮)에 대한 기록 또는 주석(註釋)의 뜻을 나타내고 있다.

예기(禮記)

자료명 예기(禮記) 연대/시기 조선후기/ 발간/저자 책수/규격 1책(권지8~10)/ 20.5×31.5cm, 활자본 소장자 흘러가는 ○ 예기집설대전 1책(권지8~10) - 예기 권지8편 ~ 문왕세자(文王世子) - 예기 권지9편 ~ 예운(禮運) - 예기 권지10편 ~ 예기(禮器) ○오경(五經)의 하나로 일컬어진다. 예경(禮經)이라 하지 않고 ≪예기≫라고 한 것은 예(禮)에 대한 기록 또는 주석(註釋)의 뜻을 나타내고 있다.

예기(禮記)

자료명 예기(禮記) 연대/시기 발간/저자 책수/규격 1책(권지8~10)/ 20.5×31.5cm 소장자 흘러가는 ○ 예기집설대전 5책(권지8~10) - 예기 권지8편 ~ 문왕세자(文王世子) - 예기 권지9편 ~ 예운(禮運) - 예기 권지10편 ~ 예기(禮器) ○오경(五經)의 하나로 일컬어진다. 예경(禮經)이라 하지 않고 ≪예기≫라고 한 것은 예(禮)에 대한 기록 또는 주석(註釋)의 뜻을 나타내고 있다.

경주김씨파보(慶州金氏派譜)

자료명 경주김씨파보(慶州金氏派譜) 연대/시기 광무기원후 신유년/ 1921년 발간/저자 경주김씨 대보공파 책수/규격 1책 단본/ 22.3×33.5cm 소장자 흘러가는 ○ 경주김씨 대보공 김알지를 시조로 하는 경순왕 후손의 파보이다. ○ 광무기원후 신유(光武紀元後 辛酉) 후손 전 참봉 창용(昌容), 전조 진사 재하(載夏)가 근서를 하였으며, 발문은 후손 도호(瓙鎬)가 썼다.

월사선생집 변무록(月沙先生集 辯誣錄)

자료명 월사선생집 변무록(月沙先生集 辯誣錄) 연대/시기 임술년 정월/ 1922년 발간/저자 월사 이정구/ 필사본 책수/규격 1책/ 15.2×22.4cm 소장자 흘러가는 ○ 월사 이정구가 지은 무술변무록을 필사한 책이다. ○ 월사 이정구(1564~1635)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성징(聖徵), 호는 월사(月沙)·보만당(保晩堂)·치암(癡菴)·추애(秋崖)·습정(習靜).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세조 때의 명신인 이석형(李石亨)의 현손이며 아버지는 현령 이계(李?)이고, 어머니는 김표(金彪)의 딸이다. 윤근수(尹根壽)의 문인이다. ○ 변무소: 1598년(선조 31)에 명나라의 병부주사 정응태(丁應泰)가 임진왜란이 조선에서 왜병을 끌어들여 중국을 침범하려고 했다는 무고한 사건을 일으켰다. 이정귀는 「무술변무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