흘러가는

사심 없는 산행!! 지역 역사와 문화를 찾아서!!!! 김진영

덕유능선

산줄기,강줄기/요천 탐방

섬진강 요천(백운천) 답사 1일차( 무룡고개주차장~번암면사무소)

흘러 가는 2023. 3. 4. 23:04

[섬진강 요천 답사]

○답사일자: 2023.3.4.토, 흘러가는 혼자서

○답사지: 장안산 무룡고개(10:03)~번암면사무소(14:11)요천 백운천합수지 

○답사코스: 장안산무룡고개(911m)~피정의집~삼거마을~광대동마을~원지지마을~동화리 상동,하동~동화호~동화댐~죽림정사~번암노단리~요천 백운천합수지 (백운천 발원지부터 요천 합수지 까지)

○소요시간 및 이동거리 : 총4시간 7분, 19.66km

○남원요천은 장수팔공산과 장안산, 영취산 무룡고개,백운산 등 백두대간과 호남금남정맥에서 발원한다. 팔공산에서 발원한 물줄기와 수분고개에서 발원한 교동천, 범연동과 가실지기에서 발원한 용림천이 합수하여 요천수라하고 무룡고개,영취산,백운산에서 발원한 물줄기가 지지계곡으로 흘러들어 백운천을 만든다. 요천수 상류에는 장남저수지와 덕산제가 있고 백운천 물을 모아 동화댐을 만들어졌다.

장수군 번암면 노단리에서  요천과 백운천의 큰 두줄기 하천이 서로 만나  비로소 남원요천수가 되어서 남원시내와 주생면,송동면,금지면을 거쳐 횡탄정에서 섬진강 본류와 만나 남해로 흘러 들어간다.(흘러가는 김진영)   

요천(蓼川)은진강의 지류들 중 하나로서 전라북도 장수군 장안산(1237m)과공산(1151m)에서 발원하여원시의 중앙부를 지나 남원시 금지면 하도리에서진강으로 흘러들어가는라북도의 강이다. 하천연장은 60.03km이며, 유역면적은 485.70㎢이다. 하천 주위에 여뀌꽃이 많이 핀다하여 蓼(여뀌 요)川이라 한다.(위키백과참고)

 

무룡고개 주차장
무룡고개 정상부
지지로 로변엔 아직도 잔설이 수북히 남아잇다.
아직도 동면중인 계곡수
무룡고개 최상단 민박집
바위목 피정의집
백운천 상류수
상류 폭포
삼거마을
삼거마을버스승강장
삼거 장안산 등로입구
서낭골
삼거마을경로당
삼거폭포
먹골
지지터널입구 ~ 좌측 구길을 따라 계곡을 따라 걷기
지지계곡
교각 아래로 옛길을 따라걷기 ~ 지지계곡
옛길 전경
광대동마을입구
광대동마을 전경
광대동 삽살개
광대동에서 바라본 상류쪽 전경
광대동전경
광대동사랑채
광대동마을 정자
광대동보호수 수령550년
1997~1998 번암 오봉간도로확포장공사비
원지지마을
원지지마을전경
원지지마을 옛 점포
원지지에서 바라본 속금산
동화리 상동마을 도로
동화리 상동마을회관 ~ 옛지명은 웃 고래
동화보건진료소
행복꿈터동화분교
동화분교와 속금산전경
동화분교 희만의다리 1987년 준공 ~ 다리에 관하여 숨은 이야기가 있을듯
동화분교 전경
제각
백운천 전경
동화리 하동마을 전경 ~ 옛 지명은 남고래
하동마을 전경
속금산전경
동화호 초입
천주교 동화예배당
동화호수 전경
맑은 동화호 전경 ~ 남원 장수 임실 등 상수원 공급수
동화댐 애향비
드렝이마을 애향비 ~ 장안산과 백운산골짜기 백운천 물길따라 너와 나의 뿌리내린 삶의터전 역사의 한올에 얽혀 어쩔수 없이 사라져간 정든 고향을 가슴에 묻고 뿔뿔이 헤어진 드렝이 사람들 이제 여기 고향 앞 감토봉 산자락에 실향의 가슴 저미는 망향의 정을 모아 돌에 새겨 남기노니 후손들이여 선대들의 순박한 자연의 혼 이어받아 만대에 영광과 번영 있으라 ~ 1999년11월 호수건너 보이는 상하평 망향의 동산 준공에 즈음하여 ~ 드렝이 마을 실향주민 일동 건립
상하평 망향의 동산 ~호수 건너편 쪽
동화댐 제당 전경
6.25참전용사명비
동화댐 물빛공원과 죽림정사 전경
동화호 전경
번암면 일대 전경
죽림정사 ~ 백용성조사 교육관
장안산 죽림정사
한천을 건너 진행
백운천과 요천 합수지 전경
합수지 번암교
번암교에서 바라본 요천과 백운천 합수지 전경
번암면 요천
합수지
번암면 소재지 전경
번암면 노단리 장재영 가옥
어서각 전경
번암면소재지 전경
번암면사무소 ~END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