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의병창의동맹단]
"정재 이석용 "의병의 길" 탐방
○ 탐방일자: 2019.12.7(토) 오전
○ 탐방지: 임실군 성수면, 진안 마이산 일원
○ 참여자: 임실사료연구회원 등 주민 20명
○ 탐방방법: 버스이동 전적지 참관, "의병의 길" 걷기 체험
○ 탐방코스: 임실군청 출발~마이산 이산묘~운현전적지~대왕마을(운현)~도화동~양암마을~황사현고개~이석용 생가
○ 걷기코스: 운현전적지~대왕마을~~도화동~양암마을 (3.1km)
격중가(激重歌) -이석용-
"가을바람 소슬하니 영웅이 득의하는 때로다.
장사가 없을소냐 구름같이 모여든다.
어화 우리 장사들아 격중가를 불러보세.
한양 성중 바라보니 원수놈이 왜놈이요 원수놈이 간신이라.
삼천리 우리 강산 500년 우리 종사 어찌할까.
아마도 의병을 일으켜 왜놈들 몰아내고 간신을 타살하여
우리 황제 받들고 우리 백성 보전하여
삼각산 숫돌되고 한강수가 띠 되도록 즐기고 놀아보세.
우리 대한 만만세"
◎이석용(李錫庸,1878~1914) 전라북도 임실 출신
1905년 을사늑약 체결에 이어 1907년 8월 강제로 군대해산을 당하는 등 날로 일본제국주의의 국권침탈이 심해지자 거의토적(擧義討賊)하여 국권을 회복하고 백성을 도탄에서 구해낼것을 결심하였다. 동지를 규합하고 병장기를 준비하여 1907년 9월 12일 진안 마이산 남쪽 기슭 용암(龍巖) 아래에서 거의하여 호남의병창의동맹단 의병대장으로 추대 되었다.
1907년 9월 13일 진안읍 왜진을 공격하여 주재소와 우편취급소 등 파괴를 시작으로 9.16일 용담 운장산, 장수 번암 지지리,임실 신덕 조월리, 순창 구림 화암, 성수 운현 등 호남 일대에서 크고 작은 수회의 전투를 벌여 많은 전과를 올렸으나 의병 또한 피해가 적지 않았다.
1908년 9월 임실전투에서 크게 패한 후 갈수록 국내 정세가 악화 일로에 서게되고 1만여 일본군으로 편성된 의병토벌대의 탄압이 시작되자 1909년 3월 의진을 자진 해산하고 1911년 옛 동지들을 규합하여 일본으로 건너가 일왕을 암살하려는 계획을 세웠으며, 1912년 "임자동밀맹단"을 조직하고 중국으로 건너가 독립운동 활동을 재개하고자 하였으나 같은해 10월 13일 밀고로 체포 되었다. 1913년 대구형무소로 이송되어 1914년 4월 14일 교수형으로 순국하였다.
○ 정재 이석용선생 활동 현황
- 1878. 11. 29 : 고종15년, 임실군 상동면 삼봉촌 대전마을 출생
- 1894. : 부령김씨와 혼인, 겸재 김관술의 딸
- 1907. 8. 26 : 의병 창의 준비 상이암, 황사현
- 1907. 9. 12 : 마이산 용암에서 호남의병창의동맹단 결성
- 1907.8.26.~1908.4.28. 정재 이석용 창의일록 기록
- 1908.10. : 호남의병토벌대편성, 의병토벌작전
- 1909. 3. 6 : 호남의병창의동맹단 해산
- 1910. 8. 29 : 순종황제 폐위
- 1911. 3. : 일본천황 암살계획 비밀조직 , 미실행
- 1912. 겨울 : “임자동밀맹단” 비밀결사대 조직 (단장 이석용 외 20명) 구례,하동,전주,임실,진안,곡성,남원 인사로 구성
- 1913. 10. 13 : 임실군 성수면 삼청리 천동 “정참봉”의 집에서 체포
- 1914. 1. 12 : 전주법원 사형선고
- 1914. 4. 4. 정오 : 대구형무소 교수형 순국
- 1914. 4. : 남원 성산에 장례(이원영 행장 기록)
- 1943. : 29년 뒤 전남 영암군 심호면 용단리 월출산 아래 가지동에 이장 (죽어서도 두 눈을 부릅뜨고 일본놈들을 주시하고 응징하고자 한다는 유언에 따라)
- 1962. : 대한민국건국공로훈장 추서
(월출산 아래 ~ 이석용 의병장 묘소)
소충사 등 묘소 건립 요지
○ 1957년 - 성수면 양지리 구·소충사 건립 (성수중학교 앞)
- 이원영(이석용의 자)이 의연금과 임실군청의 지원으로 소충사 건립 향사
- 사당을 짓고 “소충사”라 명명함, 이승만 대통령의 휘호로 “조의단”비와 28의사 기적비를 세움
- 순국의사 28수 천문비 건립
- 전주덕진공원내 “황극단”조성, 현 전주 어린이회관 입구 조성
○ 운현전투 순국 17위 묘역조성
장소: 성수면 태평리 지의동(지루골)
- 1908. 3. 21. 운현 전투
- 1908. 3. 22. 운현전투 피해상황 확인
- 1908. 3. 24. 매장 절차 검시, 나무를 깍아 표지를 함
- 1908. 4. 28. 운현 전투장소에 “조사단”을 만들고 합제(17위)
- 1908. 12. 9. 운현 전망자 제사
(지의동 17위 의사 묘역)
○ 유진지역전투 순국 11위 묘역조성
장소: 성수면 오봉리 동룡동(동령이)
- 의병창의 결성 이후 유진 지역전투 중 희생자 묘역 조성
- 1908. 4. 28. “조사단”합제(11위)
(동룡동 11위 의사 묘역)
○ 합동묘역 조성 (성수면 월평리 산1번지)
- 1988. 5. 18. 지의동 17의사와 오봉리 11의사 임시합장
(월평리 28의사 합동 묘역 터)
○ 현·소충사 건립(성수면 오봉리 산130-1)
- 1993년 임실군 지원사업 2,365백만원, 부지 20,300평
- 1995. 11. 이석용의병장 영암 월출산에서 이장 안장
월평리에서 28의사 이장 안장
- 2002. 8. 15. 구 소충사 “조의당 ” 28의사 위패 이전
○ 이석용 생가 복원
- 1997. 7. 18 전라북도 기념물 지정
○ “운현 전적의혼 추모비”공원 조성
- 2005. 9. 19 공원 조성
- 성수면 태평리 운현 외다리골
○ “호남의병창의동맹단” 총 28명
- 의병대장: 이석용
- 선봉: 박만화, 최덕일, 송판구 - 중군: 여주목, 김운서, 김성학
- 후군: 김사범, 윤명선, 전성학 - 참모: 전해산, 한사국, 이광삼
- 총지휘: 박갑쇠, 곽자의, 임종문 - 연락: 홍윤무, 박성무, 윤병준
- 도로부장: 김사원, 김공실, 김성율 - 보급: 하규정, 박금동, 박문국
- 운량: 오기열, 조영국, 김학문 - 기실: 전해산, 한사국
○ 28의사 기적비(28수 천문비) 북극: 이석용
- 동방칠수: 의장 박만화, 의사 한사국, 의졸 한득주, 최일권, 김치삼, 김춘화, 의동 김동관
- 북방칠수: 의장 여주목, 의사 이광삼, 김여진, 서상열, 서성일, 의동 김학도, 박철규
- 서방칠수: 의장 최덕일, 의사 허윤조, 박달천, 박운서, 정군삼, 성경삼, 의동 허천석
- 남방칠수: 의사 김사범, 의졸 윤정오, 양경삼, 박인환, 오명선, 의승 봉수, 덕흥
○ 운현전투 순국 지의동(지루골) 17의사 묘역
- 의장 최덕일,여주목
- 의사 한사국
- 의졸 윤정오,한득주,김춘화,정군삼,박운서,김치삼,박인완,김여집,서성일,박달천
- 의동 김동관,김학도
- 의승 봉수,덕흥
○ 유진지역전투 순국 동룡동(동령이) 11의사 묘역
- 용담 의장 박만화, 의동 박철규,허천석
- 순창 의졸 최일권
- 두봉 의사 이광삼
- 남원 의사 김사범, 의졸 서상열
- 장수 의사 허윤조, 의졸 성경삼,양경삼
- 졸리 의졸 오병선
○ "임자동밀맹단" 조직
- 단장 이석용
- 단원 구례 정찬석, 하동 최제학 이규진, 전주 최병심, 임실 김병주 최창열, 진안 정진희 최자운 이경하, 곡성 안자정 안영오 유인수 조영선 조우식, 남원 김경호 조성민 김인식 김학수 허간 허주 허업
- 이 조직은 이석용 의병장이 의병활동을 시작할 때부터 의진의 주 활동 범위내 각 지역에 구축된 거점 조직의 인사들이었다. 직접전투에는 참여하지 않았으나 모병과 무기와 군자금과 군수품 등을 보급해주고 의진에 정보를 제공하는 등 역할을 다하였다. 의병 해산 후 국내 정세가 불리하여 비밀결사대를 조직 중국으로 망명하고자 군자금을 마련하려다 밀고로 체포되어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의병의 길 걷기" 코스 ~ 3.1km
임실군청 학예사님의 사전 설명
멀리 서울에서 참여한 향우, 관내 주민과 학생, 임자동밀맹단원 김병주 후손, 공무원 등 이 자진 참여
진안 마이산 이산묘
"항일의병 등 국권회복을 위해 순국 한 인사"들을 배향하고 있다
"호남의병창의동맹단" 김대중 대통령 휘호
마이산 "용암"
마이산 용암 전경
임실군 성수면 태평리 운현전적지에 세운 "운현 전적 의혼추모비"
대운재 국도 30호선 도로변
운현 전적지 전경
참가자들의 의병의 길 걷기 모습 ~ 화살표식
대왕마을에서 도화동으로 이어지는 옛 운현 산길
"의병의 길" 걷기 시그널 리본
대왕(대운)마을 입구
대왕마을 회관
대왕마을 주민들이 세운 비
~ 비 뒷면에 태조 이성계의 발자취와 항일의병장 이석용의 운현전투에 관한 내용이 실려있다~
대왕령 촌비
대왕마을에서 도화동으로 오고가는 고개
~도화동 남원윤씨 재실~ 11월 가을 촬영
의병에 관한 내용을 소상하게 알고 있는 윤00 옹께서 살고 계심
이석용 의병장이 다니던 서당으로 "훈장 겸재 김관술"의 따님(부안김씨)과 혼인 하였다.
도화동: 도화낙지의 형국으로 명당 자리라 한다
삼봉산(540m) 아래 도화동 전경~ 11월 가을 촬영 모습
도화동 삼박골 상여바위
양암마을회관
뱀바우 마을
남향으로 마을이 형성되어~~~ 했볕이 잘 들어 양암이라 불리운다고 함
성수면 삼봉리 대밭마을 내 "이석용생가"
정재 이석용 생가 ~11월 촬영
삼봉리 대밭마을 전경
운현전투에서 순국한 의병 17위 의사가 안식했던
지의동(지루골) 전경 ~ 국도30호선 도로 우측 골짜기
유진지역 각 전투에서 순국한 의병 11위 의사가 안식했던
동룡동(동령이) 골 전경 ~ 성수면 오봉리 효촌마을
소충사 묘역 입구 숭의문
호남의병창의동맹단 28의장 부조형상물
좌측~"조의단 비" , 가운데~ "28의사기적비", 우측~"호남창의동맹단 비"
28 의사와 이석용 천문비
기념관
"소충사"
대한의병 28의사 합배묘
이석용 의병장 과 부안김씨 합배묘소
소충사 묘역에서 바라본 삼봉산과 고덕산 아래 삼봉촌 일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