흘러가는

사심 없는 산행!! 지역 역사와 문화를 찾아서!!!! 김진영

덕유능선

길 걷기/진안고원길 종주

진안고원길 13~14구간(19.5.3.금)

흘러 가는 2019. 5. 4. 00:00



[진안고원길] 13 ~ 14구간 (28.28km, 6시간 42분)


- 13구간(천반산길) 동향면사무소~상전면사무소

- 거리:  16.0km (실거리 16.0km)

- 소요시간: 3시간 52분 정도

- 난이도: 상

* 코스: 동향면사무소(09:03)~동향중학교(09:07)~굴다리(09:21)~하향교(09:34)~하향마을(09:40)~천반산등산로5거리(10:02)~천반산 먹재(10:29)~하가막마을(11:10)~가막유원지(11:17)~큰재갈림길(11:28)~큰재(11:52)~후가막마을(12:10)~지사마을(12:25)~문화마을(12:44)~상전면사무소(12:49)

제13구간은 동향면사무소에서 출발하여 구량천을 걷다가 하향마을에서 천반산 먹재를 넘어 금강 본류가 흐르는 가막유원지에 다다른다. 경치가 빼어난 금강변 가막유원지에서 물길이 죽도로 급하게 꺽여 휘돌아 흐르는 갈림길에서 좌측 산길을 따라 한참을 오르다 대덕산 큰재를 넘어 상전면사무소에 이르는 고원길이다.



- 14구간(진안천 물길) 상전면사무소 ~ 진안만남쉼터

- 거리: 13.4km(실거리 12.28km)

- 소요시간:  2시간 50분

- 난이도: 하(중)

* 코스: 상전면사무소(12:49)~상전체련공원(12:53)~연지고개(13:30)~중기마을(13:49)~도치재(14:05)~상도치마을(14:33)~하도치마을(14:44)~도치교(14:49)~진안하수처리장(15:10)~징검다리(15:18)~우화정(15:34)~진안만남쉼터(15:44) 


제14구간은 상전면사무소에서 체련공원을 가로질러 작은도랑을 건너면 산아래 농로길이 이어지며 작은 능성이 연지고개를 넘어 포장도로를 따라가면 막다른 중기마을이다. 마을 우측으로 난 오래된 옛길을 따라 도치재를 넘어선다. 도치마을에서 하천을 따라 가다 진안천 물길을 따라 읍내까지 간다. 읍내시장과 우화정을 지나 14구간 종착지이자 1구간 시작점인 만남쉼터에서 고원길을 마무리 한다.







[13구간 천반산길] 동향면사무소~상전면사무소


동향면사무소 앞 구간알림판

동향소재지 ~ 사거리에서 홍재식당 쪽 우측으로

동향중학교

동향면 소재지 전경

교차로를 가로질러 굴다리로

구량천을 따라

학선대(鶴仙臺)

학선대 전경

학선대에서 바라본 구량천 넘어 백로 외가리 서식지

제방길로 가야~~

하향교 천변길

하향마을로

다리건너 범바위(용암)

구량천(대량천)

하향마을 노거수

노거수와 조탑


두꺼비 조탑 ~ 아마 이곳이 마을로 드나드는 옛길 였을겁니다.

하향마을 전경

소싯적 보았던 돼지우리가 남아 있고요!!

하향마을 뒤로 난 고원길 ~천반산 먹재 오르는 길

천반산을 넘어가는 고갯길 등산로



천반산(깃대봉)등산로 오거리

발길에 닳아 펑퍼짐 합니다.

앵초군락지

천반산(깃대봉)을 올려다 봅니다.

인백 정여립의 한많은 이야기가 서려 있는 곳이 아니겠는가요?

등로를 따라 갑니다.

등로변에 야생화가 지천입니다.




구술붕이

피나물

현호색

구술붕이


먹재 ~~ 천반산(깃대봉)등산로

먹재정상

먹재까지 오른만큼 내려가야합니다.




임도길을 만납니다.

임도에 지천으로 핀 개별꽃

노란 냉이도 꽃을 피웠고요!!

임도는 계곡을 끼고 있어 맑은 물소리가 연신 청량감을 더해줍니다.

돠돌아보니 개곡길을 따라 내려왔습니다.

천반산 산등성이를 경계로 장수군과 진안군이 갈라집니다.

지금걷는 이길은 장수군 천천면 연평리입니다.


8.1km 는 1시간 반정도 더 걸어야 합니다.

가막유원지가 보이고 앞산은 대덕산이고 ~산넘어가 목적지인 상전면사무소입니다.

장수군 천천면 연평리 신기마을  산신당집

금강 상류 가막천과 천반산능선을 경계로 장수군과 진안군으로 나뉩니다. 

잠시 장수군 천천면을 걸었습니다.

강건너가 진안군 진안읍 가막리

금강 상류 가막천~ 하천공사로 인해 옛모습이 많이 망가졌습니다. 

바위섬

금강 전경~ 진안군내 금강변은 여기만 남았습니다.

용담호반으로 모두 수몰되었구요!!!


장독바위가

 하늘에서 떨어진~ 천반낙도 형상의 바위 (복숭아 형상의  바위)

천반,지반,인반의 명당 중에 천반이 명당이 있어 천반산이라고도 한다네요?

천반산 에 천여평의 분지가 있는데 하늘에서 보면 마치 소반처럼 보여 천반산이라고도 ~~~


넓디 너른 깽본 였었는디 제방을 쌓아부러 베려 부렸네여!!

의암 병풍바위가 보이니다. 죽도로 휘돌아 내려가는 금강줄기입니다.

병풍바위 의암으로 불리우는 바위절벽

세찬 물길 때문에 움푹패인 바위절벽을 보니 자연의 힘을 느끼게 합니다.

저 징검다리 건너 죽도로 가는데 ~~~금강길 탐방때 건너보기로 합니다. 

병풍바위와 만나는 이곳에서 강을 버리고 큰재를 넘어야 하기 땜에 산길로 들어가야합니다.

큰재 입구




여울도 건너고 ~ 오래전엔 제법 우마차도 오르내리는 큰길 쯤으로



비가오면 통행에 큰불편이 있을 것으로~~~

길따라 가시철책을 둘러 놨는데 이유야 있겠지만  이해가 안됩니다.


큰재 오름길 된비알~~~입니다.

큰 구술봉이도 만납니다.


큰재 정상

장수와 진안을 이어주던 오랜 고갯길 정도로 인식됩니다.


지나온 큰재 능선

후가막마을 초입에 들어서면서

후가막마을

후가막마을 앞 비보림

하가막마을에서 큰재를 넘으면 후가막이라니

충분히 이유잇는 이야기가 전해내려올듯 합니다.

도로를 타고 내려와

이곳에서  지사 동네로 진입해야합니다.

지사마을 전경

지사마을회관

지사마을 당산나무


여느 농가 풍경 정성스레 돌탑을 쌓았네요!!

당산나무



오미자 밭

임도에서 좌측 산길로 접어들어야 ~~


상전면 문화마을 전경


용담호로 수몰된 실향민들을 위해 택지를 조성하여 조성한 마을입니다.


[14구간 진안천물길] 상전면사무소 ~ 진안만남쉼터


13구간 끝점이자 14구간 시작점인 상전면사무소 입니다.


상전면 문화마을이 소재지가 되었군요!!


상전면 체련공원


체련공원을 돌아 작은하천 징검다리를 건너야

산밑 농로를 따라 쭈욱 갑니다.

연지고개를 넘기위해 우측으로

연지고개 정상입니다.

휴경지가 되어 버린 둠벙입니다.

연지고개를 넘어와 아스팔트길을 한참 타고 내려오다가 중기마을로 가기위해 좌틀합니다.

중기마을 진입로

중기마을 앞에 산딸나무 꽃이 활짝피고 지고

중기마을이 보입니다.

중기마을회관 우측으로 돌아서 가야됨

우측으로 돌아 바라본 중기마을

도치재를 가기위해 한참을 올라야


도치재 오름길~~~


도치재 정상 ~ 상전면과 진안읍을 넘나들던 옛길 같습니다.


맑은하늘 이지만 이른 더위가 느껴지고

도치마을이 보이고

도치마을 입구

당산나무와 조탑

우측 도치마을 안동네로

상도치회관 ~ 도치 무시무시한 마을이름 입니다.

도로변 축사에서 눈이 마주친 젖소 서로 생소한듯 처다봅니다.

도로를 버리고 하천변길로

물오리인지??

하도치마을을 지나고

하도치교를 건너서

도로를 지나서

도치교를 지나 바로 진안천변길로 우틀해서 가야

도치교에서 바라본 마이산

진안천변길을 따라 종점까지

진안읍내 하수처리 시설 일환으로 조성중인 생태공원 습지

공사가 한창이고요!!

지나온 천변길

공사안내 표지판

문화마을 인듯

공원길을 따라

진안읍 하수처리장



징검다리를 건너 갑니다.

송사리가 보여 한컷~~

국가기관이 밀집되어 있습니다.


진안시장~~ 현대화 되었군요!!

데크길을 따라

고사리를 말리는 중

진안 번화가 전경

조공교 ~~우화정 오르기 전 이름모를 비석

우화정



우화정에서 바라본 시내

우화정 석각





진안 비림



진안만남쉼터

1구간 출발지~14구간 종점지 입니다. (END)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