흘러가는

사심 없는 산행!! 지역 역사와 문화를 찾아서!!!! 김진영

비산비야 非山非野!!

기록사진첩/지역축제

달집태우기(17.2.11.토)

흘러 가는 2017. 2. 11. 20:01

 (정월대보름 달집태우기)

- 2017.2.11. 토. 19:00

- 오수천 고수부지


-대보름

대보름은 음력 정월(1월) 보름날(15일)을 일컫는 말이다. 정월 대보름이라고도 한다. 우리 민족은 아주 오랜 옛날부터 음력 정월 보름날을 한 해의 첫 보름날이라 하여, 명절의 하나로 정해 놓고 즐기는 풍습이 있다. 그해의 농사가 잘되고 못됨을 점치기도 하고, 개인의 운수(길흉화복)를 점치기도 한다. 열나흗날에는 오곡밥을 지어 저녁을 일찍 먹는다. 이것은 모든 곡식에 풍년이 들기를 바라는 풍습이다. 민가에서는 이날 밤 복조리를 팔러 다니기도 한다.

대보름의 풍습으로는 새벽에 귀밝이술을 마시고 보름날 아침에는 잣 · 호두 · 밤 · 땅콩 따위의 부럼을 깨물며, 갖은 나물과 오곡밥을 해 먹는다. 부럼을 까먹고 껍데기를 버리면 1년 내내 부스럼이 나지 않는다고 전해온다. 낮에는 연날리기 · 윷놀이 · 널뛰기 따위의 즐거운 놀이를 하고, 밤에는 횃불을 태우며 달맞이를 하는데, 이것을 망월이라 한다. 그리고 지방에 따라서 놋다리밟기 · 횃불쌈 · 사자놀음 따위의 놀이를 즐기기도 한다. 옛사람들은 보름달이 떠오르면 절을 하며 그해의 풍년과 자기의 소원을 벌었다(학습그림백과)

-달집태우기

보름달이 떠오르기 전에 나무로 틀을 엮고 짚을 씌운 달집을 마을 동산의 적당한 기슭에 만들어 둔다. 달집의 위치는 마을에서 달맞이하기에 가장 좋은 곳에 자리잡는다. 형태는 지방에 따라 약간씩 다르나 대개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다. 한 쪽 면만을 터놓고 다른 두 면은 이엉으로 감싼다. 터놓은 쪽을 달이 떠오르는 동쪽으로 향하게 하고, 가운데 새끼줄로 달 모양을 만들어 매단다. 달이 솟아오르는 것을 처음 본 사람이 불을 당기고 달을 향해 절을 한다.

전라도 지방에서는 대나무 매듭을 태워 폭죽소리같이 '툭툭' 소리가 나도록 했다. 이는 잡귀와 액을 쫓기 위함이며, 달집에 수숫대·볏짚을 넣는 것은 풍요로운 생산을 위함이었다. 남자들은 온종일 거두어들인 연을 걸기도 하고, 아낙들은 소원을 적은 종이나 입고 있는 새옷의 동정을 떼어 달집을 태우면서 자신의 액이 소멸되기를 기원한다. 불꽃이 환하게 피어오르면 풍물을 신나게 울리며 한바탕 어울려 춤과 환성을 울리며 뛰어 논다. 달집이 타는 불에 콩을 구워 먹기도 했다.

지방에 따라서는 달에 절을 하면 여름에 더위를 타지 않는다 하며, 또 1년간 부스럼이 나지 않는다고 믿기도 했다. 한꺼번에 불이 잘 타오르면 풍년이 들고, 타다가 꺼지면 흉년이 든다는 속설이 전해졌으며 달집이 타서 넘어질 때 그 넘어지는 방향에 따라 그 해의 풍·흉을 점쳤다. 대보름의 만월을 바라보며 풍농과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는 점풍(占豊)의 의미를 지녔다(다음백과)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