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도위치: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오수면 군평리 (종동마을,평당마을,군곡마을 일원)
◎ 각 마을에 대대로 자연스럽게 전래되어 오는 각종 지명들이 산업사회 변화에 편승해 서서히 사라지고 있다.
특히, 농촌인구감소와 노령화, 농지정리에 따른 지형변화, 수리시설 개선, 농경작로 현대화, 생산운반수단 발달 등 농촌산업사회 구조가 빠르게 변화 하면서 그 동안 누대에 걸쳐 구전으로 간간히 전해져 내려오던 전래 지명들이 자연스럽게 후세에 전해지지 못하고 단절되거나 서서히 사라지고 있기에 이를 안타깝게 여기는 마음에서 임실군 오수면 관내 14리 33마을의 자료를 수집하고 마을주민들의 고증과 협조를 얻어 지도에 지명 하나하나를 찾아 표기하였다. 이는 개인적인 자료수집이기에 다른 이견이 있을 수 있음을 밝혀둔다. 아울러 자료조사와 고증에 협조해주신 주민분들께 감사함을 전합니다. (참고자료: 다음지도, 한국지명총람, 운수지 등)
▷임실군 오수면 군평리 군곡, 평당, 종동마을 (오수면 북쪽지역을 이루는 마을)
군평리 : 평당리坪塘里 종동鐘洞 군곡리君谷里를 합하여 군곡과 평당의 이름을 따서 군평리君坪里 함
(평당마을) 군평리 서쪽을 이루는 마을.
석보(돌보)[보] 평당 북쪽 둔남천에 있는 보. 평당 앞들과 종동 앞들에 물을 공급해 줌.
임씨골(임생이골)[골] 평당 북쪽에 있는 골짜기.
동지매들[들] 평당 북쪽 석보와 원보 사이에 있는 작은 들, 전에 소나무 밭이었음.
원보[보] 평당마을 북쪽 둔남천 석보 아래쪽에 있는 보. 봉천리 앞들에 물을 공급해 줌.
둔남천(평당원천)[하천] 성수산에서 발원하여 흐르는 큰 하천.
딱골[골] 평당마을 북쪽에 있는 골짜기.
가평골[골] 평당 북쪽에 있는 골짜기.
큰골안[골] 평당 북쪽에 있는 골짜기.
큰골짝[골] 큰골안 위쪽 골짜기.
(상군곡) 군곡리 북쪽을 이루는 마을.
지랭이재[고개] 평당에서 성수면 오류리로 가는 고개.
수리봉[산] 수류봉. 상군곡 북쪽에 있는 산. 지랭이재와 질마재 사이에 있는 높이 420m 산.
질마재[고개] 상군곡에서 성수면 덕치로 가는 고개, 형상이 질마처럼 생겼다고 함.
덕재산[산] 지사면 금평리, 성수면 덕치 경계에 있는 높이 487.1m 산.
덕재단[산] 덕재산 남쪽 봉우리. 오수면,성수면,지사면 3개면 경계에 있는 산. 매년 1월 1일 지사면과 성수면에서 격년으로 해맞이 행사를 함.
호랭이굴[동굴] 상군곡 퉁적골 동북쪽 큰골에 있는 바위 동굴인데 호랑이가 살았다고 함. 동굴 안에 불을 지피면 마을 건너 주천리 노산 아래 곽씨산에서 연기가 피어올랐다고 함.
큰골[골] 상군곡 퉁적골 북동쪽 덕재단 아래 골짜기.
병목안골[골] 상군곡 북쪽 질마재로 올라가는 골짜기.
(군곡-상군곡) 군평리 동쪽을 이루는 마을.
지랭이재[고개] 평당에서 성수면 오류리로 가는 고개.
사막골재[고개] 평당에서 상군곡 질마재로 넘어가는 고개.
뒷평전[산] 상군곡 북쪽 무덤가 옆 평평한 공터. 예전에 소년들이 공차기 등을 하며 뛰어놀았다고 함.
상군곡上君谷[마을] 군곡리 윗쪽에 있는 마을. 웃군지실, 웃군의실이라 함.
외야들[들] 상군곡 가운데뜸 서쪽에 있는 들.
가운데뜸(군지실)[마을] 군신회조형(君臣會朝형) 명당이 있다고 함.
아랫방고개[고개] 상군곡 가운데뜸에서 평당으로 가는 고개.
웃방고개[고개] 상군곡에서 평당으로 가는 고개.
욱고내미[들] 군평저수지 서쪽 들.
웃구내미[골] 군평저수지 서남쪽 골짜기.
아랫고개[고개] 하군곡에서 종동으로 넘어가는 고개.
옥녀봉玉女峯(젖탈봉) 상군곡에 있는 산, 2개의 산봉우리가 여자의 짝짝이 젖가슴을 닮아 탈이 났다고 하여 이름 지어짐.
새논들[들] 저타리 동네 앞에 있는 들.
저타리[마을] 상군곡 젖탈봉 아래에 있는 마을.
젖탈들(저탈들)[들] 새논들과 같은 곳.
군평저수지,군평제君坪堤,[저수지] 하군곡 북쪽에 있는 방죽으로 군지실방죽이라 부르며 1944년에 만들었음.
방소나무(군지송)[나무] 군지실에 있는 큰 반송 소나무. 방솔정 정자가 있음. 류지곡의 탄신 기념으로 소나무를 심었으며 그 업적을 기리기 위해 제사를 지냈다고 함.
도장골[골] 상군곡 가운데뜸 동쪽 골짜기.
퉁적골[골] 상군곡 동쪽에 있는 골짜기로 퉁수처럼 길다랗게 생겼으며 퉁수명당이 있다고 함.
퉁적골방죽[방죽] 상군곡 퉁적골에 있는 방죽.
비노치飛路峙(비늘치)[고개] 상군곡에서 지사면 금평리로 가는 고개, 돌비늘(운모雲母)이 많아 이름이 되었음.
비노방죽[방죽] 비노골에 있는 방죽.
비노골[골] 상군곡 동쪽에 있는 골짜기.
비노들[들] 비노골에 있는 들.
비노천[하천] 비노방죽에서 발원하여 흐르는 하천으로 하군곡에서 군평천과 합수됨.
(평당) 군평리 서쪽을 이루는 마을.
평당회관(시설) 평당 주민들이 모여 지내는 곳. 경로당.
회치목골[골] 평당 북쪽에 있는 골짜기.
북바위[바위] 평당 북쪽 마을 가까이에 있는 바위로 사람들이 모여 나무하러 가기 위해 모이는 장소라 함.
건너들[들] 평당 앞 둔남천 가까이에 있는 들.
팽나무들[들] 평당 앞들. 팽나무가 있었다고 함.
개정다리[들] 평당 앞 둔남천 가까이에 있는 들, 둔남천 냇가에 있던 다리로 평당마을 진입로 였었음.
평당坪塘(들댕이)[마을] 군평리 서북쪽을 이루는 마을.
(종동) 군평리 동남쪽을 이루는 마을.
종동회관[시설] 종동주민들이 모여 지내는 곳, 경로당.
자라바위[바위] 종동 정자나무 모정 동쪽에 있는 바위로 생김새가 자라를 닮았음.
종동鐘洞(북새터)[마을] 군평리의 한 마을, 마을안에 북바위가 있어 이름이 됨.
북바위[바위] 종동 남쪽 마을안 길가에 있는 바위로 북처럼 둥그렇게 생겼음.
치알바위[바위] 종동 남쪽 화전봉 아래에 있으며 마을 화전놀이터 임
청룡모퉁이[모롱이] 종동 남쪽에 있는 산모롱이로 대명리 국평 아쟁이들로 가는 모퉁이, 전라선 터널이 생김.
선돌(장군석)[바위] 종동 남쪽 청룡모퉁이 길가에 있는 선돌.
종동보(아장보)[보] 종동 앞 둔남천에 있는 보, 대명리 아쟁이들에 물을 공급해 줌.
고내들[들] 종동 마을앞 둔남천변에 있는 들.
개답보[보] 종동 앞 둔남천에 있는 보.
용머리보[보] 종동 앞 둔남천에 있는 보.
(군곡) 군평리 동쪽을 이루는 마을.
군곡회횐[시설] 군곡주민들이 모여 지내는 곳, 경로당.
외다랑골[골] 상군곡 비노들 동쪽 산 골짜기.
난적골[골] 하군곡 군평저수지 아래 골짜기.
단대동[골] 하군곡 난적골 남쪽 골짜기, 담배다골
서당동[골] 하군곡 동쪽 골짜기.
서당골고개[고개] 하군곡에서 지사면 옥산마을로 넘어가는 고개.
가는골[골] 하군곡 마을서쪽 골짜기.
가는골고개[고개] 하군곡에서 종동으로 넘어가는 고개.
아랫군곡,하군곡[마을] 군평리 남쪽을 이루는 마을.
경사재실(경주최씨)[재실] 하군곡 동쪽에 있음, 군곡에 세거하는 경주최씨의 재실.
덕원재실(전주이씨)[재실] 하군곡 마을서쪽 뒤에 있음, 군곡에 세거하는 전주이씨주계군파의 재실.
풋서넝골[골] 하군곡 남서쪽 우주골 안쪽 골짜기.
풋서넝골고개[고개] 하군곡에서 남악리 큰골로 가는 고개.
우주골[골] 하군곡 남쪽 골짜기.
용바위(용바우보)[보] 하군곡 군평천에 있는 보. 용바위 구멍으로 물이 흘러 들어가며 물고기가 많았다고 함.
용바우들[들] 하군곡 남쪽에 있는 들.
가오리재[고개] 하군곡에서 지사면 옥산리 의암으로 가는 고개.
군평천[하천] 군평저수지에서 발원하여 흐르는 하천으로 오수천에 합수 됨.
(종동) 군평리 서남쪽을 이루는 마을.
대명리들[들] 종동 남쪽에 있는 들. 장군석 선돌 주변의 논.
화전봉(화전터)[산,터] 종동 남쪽에 있는 산, 화전놀이터로 치알바위가 있음.
무지봉[산] 종동 남쪽 대명리 경계에 있는 산.
'지역이야기 > 오수면 마을 지명 지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실군 오수면 둔덕리 지명지도 (0) | 2025.04.05 |
---|---|
임실군 오수면 둔기리 지명지도 (0) | 2025.04.05 |
임실군 오수면 대정리 지명지도 (0) | 2025.04.05 |
임실군 오수면 대명리 지명지도 (0) | 2025.04.05 |
임실군 오수면 금암리 지명지도 (0) | 2025.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