흘러가는

사심 없는 산행!! 지역 역사와 문화를 찾아서!!!! 김진영

오수면 지명지도

지역이야기/오수면 마을 지명 지도

임실군 오수면 금암리 지명지도

흘러 가는 2025. 4. 5. 18:56

◎ 지도위치: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오수면 금암리 (내동마을,남금암마을,북금암마을 일원)

◎ 각 마을에 대대로 자연스럽게 전래되어 오는 각종 지명들이 산업사회 변화에 편승해 서서히 사라지고 있다.

특히, 농촌인구감소와 노령화, 농지정리에 따른 지형변화, 수리시설 개선, 농경작로 현대화, 생산운반수단 발달 등 농촌산업사회 구조가 빠르게 변화 하면서 그 동안 누대에 걸쳐 구전으로 간간히 전해져 내려오던  전래 지명들이 자연스럽게 후세에 전해지지 못하고 단절되거나 서서히 사라지고 있기에 이를 안타깝게 여기는 마음에서 임실군 오수면 관내 14리 33마을의 자료를 수집하고 마을주민들의 고증과 협조를 얻어 지도에 지명 하나하나를 찾아 표기하였다. 이는 개인적인 자료수집이기에 다른 이견이 있을 수 있음을 밝혀둔다.  아울러 자료조사와 고증에 협조해주신 주민분들께 감사함을 전합니다.  (참고자료: 다음지도, 한국지명총람, 운수지 등)

 

▷임실군 오수면 금암리 내동, 남금암, 북금암마을 (오수면 중심지역 동쪽을 이루는 마을)

금암리: 본래 남원군 덕과면 지역인데 마을에 금바우가 있어 금암金巖으로 불리다가 내동內洞과 합하여 금암리가 되었으며 1983215일 오수면에 편입됨

금암리 내동마을 일원

(내동) 금암리 북쪽을 이루는 마을.

연부蓮芙[마을] 내동마을 동북쪽 남원시 덕과면 용산리 배산마을에 속한 마을.

황새바우[바위] 남산들 남쪽 황새들 가운데에 있는 커다란 바위, 황새바위 전설이 있음.

황새들[] 황새바위 둘레에 있는 들.

성적골[] 승적골. 황새바위 동쪽 골짜기.

여시바우[바위] 안골에서 황새바위 가는길 오른쪽 산 아래에 있는 바위.

당산[] 북금암 망북정이 있는 산. 반려누리센터부지로 편입된 산.

빨닥재[고개] 안골에서 황새들로 넘어가던 고개, 하천 제방길이 생겨 없어짐.

동메[] 내동 뒷산, 최근 산을 개발하여 택지를 만들었음.

방애들[] 내동 동쪽에 있는 골짜기 논, 아이스크림 공장부지로 활용.

징검다리[하천] 내동회관 앞 오수천에 있는 내동과 의견공원을 이어주는 돌다리.

내동회관[마을] 내동주민들이 모여 지내는 곳, 경로당.

내동철다리(의견교)[다리] 전라선 철교가 있던 곳으로 2004년 전라선이 이설되고 의견교를 만들었음.

내동(안골)[마을] 금암리 북쪽에 있는 마을.

웃뜸[마을] 내동 동쪽을 이루는 마을.

아랫뜸[마을] 내동 서쪽을 이루는 마을.

앞산[] 내동 앞산. 반려누리센터에 있는 산.

내동천[하천] 우당골 방죽에서 발원하여 오수천에 합수되는 하천.

망북정 望北亭(암각서)[정자,바위] 내동과 북금암 사이 당산에 있는 정자로 큰바위에 望北亭망북정이 새겨져 있음.

당산[] 내동과 북금암 사이에 있는 산.

반려누리센터[공원] 내동 앞에 만들어진 공원.

공바탕재[고개] 금암리에서 내동으로 넘어가던 고개로 반려누리센터가 생겨 없어졌음.

오수개육종장[시설] 내동마을 앞 반려누리센터 안에서 오수개를 복원하는 곳.

국제양궁장[시설] 내동마을 동남쪽에 있으며 전북특별자치도에서 관할하는 국제양궁장.

하그막재[고개] 금암리 삭실에서 내동으로 넘어가는 고개, 구 전라선 철도가 놓여 있던 곳.

.전라선철길[도로] 2004년 폐지된 구 철길. 도로가 개설되었음.

욱골[] 내동 동쪽에 있는 들인데 제2 오수농공단지부지에 편입되었음.

오수제2농공단지[시설] 내동 동쪽에 새로 생긴 농공단지.

연부재[고개] 내동에서 덕과면 추산(갈뫼)로 가는 고개.

우당골[] 내동 동쪽 골짜기로 농공단지에 편입됨.

우당골방죽[] 내동 우당골에 있는 방죽인데 농공단지에 편입되어 없어짐.

입석산(무제봉)[] 우당골 동쪽에 있는 산으로 정상에 선돌이 있고 기우제를 지냈던 곳이라고 함 .

석쟁이골(석정이골)[,마을] 내동 동남쪽 오수펫추모공원이 들어선 골짜기로 전에 마을이 있었으나 지금은 없어짐.

금암천[하천] 금암리 동남쪽 석쟁이골에서 발원하여 흐르며 내동천과 합류하여 오수천에 합수됨.

오수교[다리] 내동 서북쪽 오수천에 놓인 춘향로(전주남원간도로) 다리.

 

오수면 남금암, 북금암 일원

(남금암, 북금암) 금암리 남쪽과 가운데를 이루는 마을.

당산[] 내동과 북금암 사이에 있는 산, 금암리 당산이었음.

공바탕재[고개] 금암리에서 내동으로 넘어가던 고개인데 반려누리센터가 생겨 없어졌음

관음사터[] 북금암 인접 북동쪽에 산에 있었는데 폐지되었음.

금바우(뒷춤바위)[바위] 북금암 하천변 길가에 있는 큰 바위로 뒷춤바우라 부르며 느티나무와 정자가 있음

북금암[마을] 금암리 북쪽을 이루는 마을.

뒷고샅[마을] 북금암 북쪽 골목 안 마을.

새논들보[] 금암리 서쪽 오수천에 있는 보.

모선재실[재실] 금암리 마을 안에 있는 김해김씨경파 재실.

가운데뜸[마을] 금암리 중심을 이루는 마을.

남금암[마을] 금암리 남쪽을 이루는 마을.

잿골[마을] 남금암 동쪽에 있는 마을.

국제양궁장[시설] 내동마을 동남쪽에 있으며 전북특별자치도에서 관할하는 국제양궁장.

오수농공단지[시설] 남금암 동쪽에 있으며 1980년대에 만들어짐.

하그막재[고개] 금암리 삭실에서 내동으로 넘어가는 고개로 구전라선 철도가 놓여 있던 곳.

.전라선철길[도로] 2004년 폐지된 구 철길인데 도로가 개설되었음.

굴다리[도로] 금암리에서 삭실로 가던 국도와 전라선 철길이 교차하던 곳인데 지금은 없어짐.

다리구멍들[] 굴다리 둘레에 있는 들.

삭실방죽[] 삭실 앞쪽에 있는 저수지. 관평제.

진등고개[고개] 금암리에서 덕과면 덕촌리 숲말(수촌)로 가는 산 능선에 있는 고개, 오수장터로 오고 가는 고개.

석정이골[] 내동 동남쪽 오수펫추모공원이 들어선 골짜기인데 전에 마을이 있었으나 지금은 없어짐.

망골[] 금암리 동쪽 진등고개 끝 덕과면 경계에 있는 골짜기.

지씨재실[시설] 금암리 동쪽 진등고개에 있는 충주지씨 재실.

삼형제바위[바위] 금암 동쪽 진등고개에 있는 바위로 덕과면과 경계지점에 있으며 내동, 금암, 수촌 사람들이 서로 만나고 헤어지던 자리라고 함.

망골[] 금암리 동쪽 진등고개 끝 덕과면 경계에 있는 골짜기.

삭실웃뜸[마을] 남금암 삭실 동쪽을 이루는 마을.

삭실아랫뜸[마을] 남금암 삭실 서쪽을 이루는 마을.

삭실朔實[마을] 금암리 동남쪽 삭실골에 있는 마을.

 

오수면 남금암 일부

(남금암-삭실) 금암리 남쪽을 이루는 마을.

진등고개[고개] 금암리에서 덕과면 덕촌리 숲말(수촌)로 가는 산 능선에 있는 고개, 오수장터로 오고 가는 고개.

삼형제바위[바위] 진등고개에 있는 바위. 내동,금암,수촌사람들이 서로 만나고 헤어지던 자리라고 함.

지씨재실[시설] 금암리 동쪽 진등고개에 있는 충주지씨 재실.

삭실웃뜸[마을] 남금암 삭실 동쪽을 이루는 마을.

삭실아랫뜸[마을] 남금암 삭실 서쪽을 이루는 마을.

관평천[하천] 삭실에서 발원하여 삭실방죽 서쪽 오수천과 합수하는 하천.

수운재실[재실] 삭실에 있는 찬원정씨 재실.

삭실[마을] 금암리 동남쪽 삭실골에 있는 마을.

원새미골[] 남금암 삭실 남쪽에 있는 골짜기.

고개[고개] 삭실에서 용정리로 넘어가는 고개.

삭산朔山[] 삭실동쪽에 있는 산. 생김새가 초생달을 닮았다고 함. 삵산狸山이라고도 함.

아리랑고개(아침재)[고개] 삭실 삭산 남쪽능선을 넘어 덕과면 신정리로 넘어가는 고개.

오수장례식장[시설] 남금암 남동쪽 삭실 춘향로변 있는 장례식장.

삭실방죽[] 삭실 앞쪽에 있는 저수지. 관평제.

관평천[하천] 금암리 삭실에서 발원하여 오수천과 합수함.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