흘러가는

사심 없는 산행!! 지역 역사와 문화를 찾아서!!!! 김진영

홍류동계곡!!!

역사문화 따라가기/오수도(獒樹道) 오수역참(獒樹驛站)

임실현,남원부 지방지도 풀이

흘러 가는 2015. 8. 26. 21:52

-지방지도 풀이- 해석에 있어 다소 견해차이가 있을수 있음(김진영)

1872년(고종9년) 지방지도(임실현지도) 18개면 166마을(해제)

임실현은 지금의 전북임실군 12면(임실읍,청웅면,운암,신평,신덕,오수,관촌,강진 삼계,관촌,덕치,지사면)에 해당하며 읍치는 성가리 일대에 있었다.

섬진강 상류유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북으로는 호남정맥을 넘어 전주와 연결되고 남으로는 섬진강을 따라 남원,순창과 이어진다.

고을의 별칭은 운수라고 하는데 武庫(무고)의 남쪽에 雲水井(운수정)이 있어서 유래한 것이다. 고을의 서남쪽 구고면은 고려시대 군이었는데 조선태조때

來屬(래속)되었다. 평지촌이 원래 군터 이지만 현이되면서 龍腰山(용요산)아래로 옮긴 것이다. 산지는 청색과 녹색을 사용하여 전체적으로 강열한 느낌을 주면서도

시점이 비교적 통일되어 안정 감을 주고 있다. 고을의 진산은 용요산으로 지도에서도 북쪽에서 용요산으로 뻗어오는 맥세가 잘 표현되어 있다.

고을을 감돌아 나가는 오원강에는 다리가 상세히 그려져있는데 일부의 다리는 겨울에만 사용되고 물이 불어나는 여름에는 나룻배를 이용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특히 홍선의 도로에는 고개에 있는 애구의 표시가 상세하다. (서울규장각 고지도 해제 이기봉)

 

당시 임실현의 호구수:7,505호 인구수 24,722명 전결: 3,130결 9부 4속 

 

 

 

 

 

 

임실현 건물배치도

-내아: 수령의 생활처소(서헌西軒) 살림채 동헌의 서편에 있다하여 서헌이라고도 함

-동헌: 수령이 일반행정업무와 재판을 행하는 장소

-흡창청: 현령의 명령을 전달 하는 곳, 곡식 및 각종 재물 등을 보관하는 창고

-관노청: 노비들을 관리하는 곳 ,관아 노비들의 대기소

-통인청: 고을 수령의 잔심부름을 맡이 하는 곳

-관청: 수령이 사무를 관장하는 곳

-작청: 육방의 집무실 질청과 같은 곳

-현사: 현의 역사를 기록하고 보관하는 곳 -사령청: 각 사령들의 집무실(당직실)

-현리청: 향리들이 모여 고을의 사무를 보좌하는 곳(좌수,별감)

-사창: 사창제의 곡물대여소,(곡식저장고) *사창제 환곡(還穀) 은 가난한 농민을 위해실시한 빈민구제책 임. 흉년, 춘궁기에 곡식을 대여하고 추수기에 약간의 이자를 쳐서 화수하는 제도였음. 삼정의 문란을 바로잡기위해 고종3년 1866년 흥선대원군이 실시 함,  현의 지도를보면 면마다 1개소씩 사창이 설치 된것을 알수 있다.

-장청: 군 장교 집무실

-훈련청: 병사들이 훈련하는곳, 훈련을 관장하는 집무실

-책실: 관아의 주요문서보관고, 수령의 자제들이 공부하는 곳(도서관)

-객사: 사신 및 공무수행자들의 유숙소, 궐패와 전패를 모셔두고 매월 초하루와 보름날 대궐을 향해 절을 올리며 망배하는 곳(임실객사:운수관)

-사정: 활쏘는 곳

-군기고: 전투장비 및 무기 보관고

-옥(형옥): 죄인을 가두는 곳

-점막: 주막, 일반백성과 지나는 길손들이 유숙하는 장소 *평교점막: 현 임실읍 감성리 평교마을(평다리)

-사직단: 사직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장소(토지신(社)과 곡식신(稷)에게 제사를 지내는 곳)

                    

 

=상북면(上北面)13동: 슬치,관촌,두지산,송촌,역촌,병암,주천,도봉,덕곡,화성,용방,비슬,금당,

현 관촌면: 두지산(관촌과 슬치사이 두집매뜸), 송촌(회봉리 송촌뜸), 역촌(역말,관촌), 용방(용산리), 비슬(성수면 당당리 비슬뜸), 금당(임실읍 중금리 금당뜸)

 

=신평면(8마을): 지장,토고,도곡,두류,하천,상천,대리,창인

 현 신평면: 지장(신덕면 지장리), 토고(신덕면 오궁리), 도곡(신덕면 금정리), 하천(신평면 원천리 소재지)

=상신덕면(7마을): 고치,창리,대치.마전,피암,상가,하가

현 신평면, 신덕면: 고치?, 창리?, 대치(신평면 죽치리), 마전(신평면 덕전리 마전마을), 피암(신평면), 상가(신평면), 하가(신평면) 

=하신덕면(8마을): 방길,내량,외량,빙채,조월,물염,애치,율치

현 신덕면: 빙채(수천리 소재지), 애치?

=상운면(9마을): 월면,사량,기암,여산,광석,선거,구사,입석,도마

현 운암면: 여산(학암리), 구사(입석리 구사촌), 도마(지천리 도마뜸)

=하운면(17마을):원기,둔기,백암,내마.불암,기동,서지,교촌,벌정,봉치,박곡,거둔,금계,시즉,내고,외고,범오

현 운암면: 원기(기암리 원기암뜸), 둔기(마암리 둔기뜸), 백암(마암리 백암뜸), 내마(용운리 내마뜸), 불암(입석리 붕어섬(외얏날)), 기동?, 서지(신기리 서지뜸), 교촌(운암리 교촌뜸), 벌정(신기리 벌정뜸), 봉치?, 박곡(청운리 박실뜸)< 거둔(청운리 거둔뜸), 금계(금기리), 시즉(금기리 시랑고뜸), 내고(사양리 내사), 외고(사양리 외사), 범오(운정리 범호뜸)

=현내면(12마을): 교촌,이도,중동,중성,상성,신촌,남성,갈마,해평,굴치,내두,외두

현 임실읍: 교촌(향교리),신촌(이도리 상동 새터뜸), 남성(오정리 남성골), 굴치(해평리 두지뜸), 내두(두곡리 안두실뜸), 외두(두곡리 외두실뜸)

=신안면(8마을): 연화,오십치,현곡,정촌,낙천,장재,금적,신촌

현 임실읍: 오십치(쉰재),연화(연화실), 낙천(낙촌리), 금적(금동리 금적골), 신촌(신기리)

=현내면주변

=구고면(5마을): 두곡,암포,창리,원동,평지

현 청웅면: 두곡(두복리), 창리(구고리 창동뜸), 원동(양지리 원동뜸), 평지(구고리 평지)

=이인면(6마을): 외정,두만,내정,심동,독점,노전

현 임실읍: 외정(정월리 고산,구수골), 내정(정월리), 심동(이인리 깊은골), 독점(노전리 독점뜸),

=대곡면(4마을): 황지,감성,상리,하리

현 임실읍: 황지(대곡리), 상리,하리(대곡리)

=남면(12마을): 평당,군지,남악,오촌,한암,주천,오동,비아,국평,아잔,봉산,금산

현 오수면: 군지(군곡리 군지실), 비아(삼계면 오지리 화촌리 비아울뜸), 아잔(국평리 아쟁이뜰), 금산(오산리)  

=옥전면(8마을): 상중산,하중산,가전,조항,입석,발산,주치,석두

현 청웅면: 상중산(중산리 웃중산뜸), 가전(가라터,명동,행촌), 하중산(중산리 아랫중산뜸), 조항(주치리 조항뜸),

=덕치면(9마을): 암치,일구지,중주,고덕,물우,두지,사곡,가곡,천내

현 덕치면: 일구지(일중리),중주(일중리), 고덕(회문리 덕치의 옛이름-고덕치), 두지(상.하두마을), 천내(천담리)

=강진면(8마을): 수통,손곡,신촌,상중,하중,이목,가목,갈담

현 강진면: 수통?, 손곡?, 신촌(신기리), 상중(필봉리 상필 중뱅리골), 하중(필봉리 하필),

=덕치면(9마을): 암치.일구지,중주,고덕,물우,두지,사곡,가곡,천내

 

=하북면(10마을):월은,신정,방현,막동,벌림,상회,사하,방동,고덕,하회

현 관촌면: 신정(신전리), 벌림(복흥 금정리), 상회(회봉 하상리 상회뜸), 사하?(상월리), 하회(회봉 하상리 하회뜸)

 

=상동면((15마을):도인,신덕,삼봉,수철,층암,왕방,대운,양암,효촌,평지,원증,가정,상저,하저,부연

현 성수면: 도인(당당리 후촌뜸), 신덕(삼봉리 신덕뜸), 수철(성수리 수철뜸), 층암?, 대운(태평리 대운치), 원증(왕방리 원증뜸), 가정?,상저(성수면 양지리 상동뜸),하저(성수면 양지리 하동뜸),부연(성수면 양지리 부동뜸)

=하동면(7마을):천동,월굴,신촌,성저,계곡,오류,대판

현 성수면: 월굴(월평리 월굴뜸), 신촌(오류리 샛터뜸), 성저(월평리 성저뜸), 계곡?(계월리)

 

*읍전교: 임실읍 축협~ 터미널 임실교 *굴암교: 구 의료원 앞 갈마교 *도마교: 임실역 뒤 화성교, 창인리 앞 임실천교?

 

***남원부 관아지도******

 남원부지도(南原府地圖, 규 10484), 조선후기 지방지도, 서울대 규장각 한국한연구원 소장

남원부지도(南原府地圖, 규 10484), 조선후기 지방지도, 서울대 규장각 한국한연구원 소장(조선비즈 뉴스 게재물)

 

(남원부 관아 건물 배치도)

-여제단: 제사를 받지 못 하는 무주고혼과 역질 귀신에게 제사지내는 곳(역병예방)

-정유란순절팔충렬단: 정유재란 당시 남원성 전투시 최후까지 싸우다 순절한 8명의 제사를 모시는 곳(접반사 예조참판 정기원, 전라병사 이복남, 남원부사 임현, 전라방어사 김경로, 교룡산성별장 신호, 남원부판관 이덕회, 구례현감 이원훈, 사헌부 지평 오흥업 이상8명)

-객사: 사신 및 공무수행자들의 유숙소, 궐패와 전패를 모셔두고 매월 초하루와 보름날 대궐을 향해 절을 올리며 망배하는 곳 (남원객사: 용성관)

-관사: 수령이 집무를 하는 곳

-군기: 전투에 쓰이는 장비 무기고

-향청: 별감,좌수 등 수령 보좌 자치기구로 향임들이 사용 하는 곳

-작청: 육방 집무실(질청)

-진청: 아전이나 향리들의 녹봉을 나누어주는 곳

-장청: 장교의 집무실

-연호청: 3청의 하나로 부역담당 관리기관

-진상청: 3청의 하나로 공납 관리기관

-보민청: 3청의 하나로 지방민 구제기관

-방축: 방죽의 옛말로 광한루 연못

-장시: 지금의 재래시장(읍성내 1개소, 읍성외 1)

-장대: 장수가 군대를 지휘하는 곳

-부사(府司): 부의 사당, 남원의 역사를 기록하고 보관 관리하는 곳

-지창: 종이를 구분 보관 괸리 하는 곳

-지소: 종이를 만들어 공물로 바치는 곳 (제지소)

-종각: 시간을 알리기위해 종을 걸어 두는 곳 종루

-공수청: 회계사무를 관장하는 곳

-사창: 만북,서봉,통한사창 곡물대여창고(곡식 저장고), 방 마다 1개소 설치

-범차정고허(泛차亭古墟)

-동림: 남원부 동쪽 요천변 숲(남원주산인 백공산의 정기가 요천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기위해 조성된 숲)비보풍수

-읍방: 북(통한방),동(만북방),서(서봉방),남(장흥방) 남원읍내 동서남북으로 4개방을 설치하여 읍내 운영

 

 

=(남원부 48방 중 오수도 오수역 주변 방 마을현황)

=둔덕방:둔촌,동촌,우번,용정,신기

현 오수면: 둔촌(둔기리), 우번(방축리 우번이뜸)

=오지방:오지촌,신기(소기),망전,망정,어은

현 삼계면: 오지촌(신기리 옷갓뜸), 신기(신기리 신기뜸), 망전(임실읍 망전리), 망정(임실읍 신정리 망정뜸)

=사동방:인화,수동,화정,사동노봉

현 사매면

=말천방:해곡,목지,후동,목동

현 삼계면: 목지(삼은리 목기뜸), 후동(두월리), 목동(덕계리 중촌.음지리)

=석현방(돌고개방):과평,탑전,대판,홍곡

현 삼계면: 과평(괘평리), 탑전(삼계리), 대판(죽계리 대판뜸), 홍곡(홍곡 비홍리)

=아산방:후천,세심,사구,봉현,법촌

현 삼계면: 사구(학정리 사촌뜸), 봉현(숙호리 사오리), 법촌(세심 택승마을 법촌뜸)

=성남방:애산,유촌,이촌,애산

현 순창군 동계면

=매내방:관기,대산촌,신촌,풍촌

현 사매면

=지사방:지사촌,관기,영천,주암

현 지사면: 지사촌(사촌리), 주암(방계리)

=외진전방:고산,가촌,사창촌,월곡

현 장수군 산서면

 

=오수역관아(자관40리)

=덕고방:덕고촌,용동,수촌,금암,순우

현 오수면, 남원시 덕과면: 덕고촌(덕과면 덕동리), 용동(덕과면 용산리), 수촌(덕과면 수촌리),금암(오수면 금암리), 순우(메추라기 모퉁이隅)(오수면 상신마을-메추래기)

=보현방:사묘,사촌,도촌,성남

현 남원시 보절면

=고절방:회산,금계,갈촌,삼괴정

현 보절면

=적과방:도촌,제고,율촌,비촌

현  남원시 덕과면: 율촌(사매면 율촌리, 오수면 구장리 손율뜸)

 

조선시대 목판본 고지도

고을 이름과 산이름이 명기ㄷ된 간단한 고지도 목판본(오수 찰방역은 11개역을 관장하는 대로에 설치된 전라 좌도 수역이다)

삼례도,오수도(역도의 수역으로서 명기 되어있다)고을명칭과 주요 산을 표기한 목판본 지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