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 료 명 | 전라우도정읍현도회신묘식감시초시입격유생성명방목성책 全羅右道井邑縣都會辛卯式監試初試入格儒生姓名榜目成冊 전라우도옥구현도회신묘식문과동당초시입격유생방목성책 全羅右道沃溝縣都會辛卯式文科東堂初試入格儒生榜目成冊 |
연대/시기 | 도광11년 / 순조31/1831년 / 조선후기 |
발간/저자 | 전라감영 |
책수/규격 | 1책/ 40.0×25.5cm/ 속지32매 / 겉표지2매/ 도련지搗鍊紙 |
소 장 자 | 흘러가는 |
내 용 | 【도광11년(순조31, 1831)】 ○道光十一年二月日全羅右道井邑縣都會辛卯式監試初試入格儒生姓名年歲本貫居住父職名榜目成冊 (도광11년2월일전라우도정읍현도회신묘식감시초시입격유생성명연세본관거주부직명방목성책) - 진사시 입격자 45인(1등3인, 2등7인, 3등35인)명부 생원시 입격자 45인(1등3인, 2등7인, 3등35인)명부 -全羅右道井邑縣都會辛卯式監試初試入格儒生優等試券成冊 (전라우도정읍현도회신묘식감시초시입격유생우등시권성책) - 유학 최기오(28세) 김제출신 진사 1등 1위 시권 - 유학 신승구(22세) 장성출신 진사 1등 2위 시권 - 유학 조현근(43세) 장수출신 생원 1등 1위 시권 - 유학 서석록(45세) 고산출신 생원 1등 2위 시권 ○道光十一年三月日全羅右道沃溝縣都會辛卯式文科東堂初試入格儒生姓名年歲本貫居住父職名榜目成冊 (도광11년3월일전라우도옥구현도회신묘식문과동당초시입격유생성명연세본관거주부직명방목성책 - 문과동당초시 입격자 12인(1등1인, 2등3인, 3등8인)명부 - 道光十一年三月日 全羅右道沃溝縣都會辛卯式文科東堂初試入格儒生優等試券成冊 (도광11년3월일전라우도옥구현도회신묘식문과동당초시입격유생우등시권성책) - 유학 한진경(34세) 흥덕출신 1등 1인 시권 - 유학 이재오(29세) 흥덕출신 2등 1인 시권 |
道光十一年二月日全羅右道井邑縣都會辛卯式監試初試入格儒生姓名年歲本貫居住父職名榜目成冊(도광11년2월일전라우도정읍현도회신묘식감시초시입격유생성명연세본관거주부직명방목성책) 【도광11년(순조31, 1831)】
진사시 進士試 1등 3인, 2등 7인, 3등 35인 | |||||||
등수 | 입격 유생 | 부 | |||||
직 | 성명 | 연령 | 본관 | 거주지 | 직명 | 성명 | |
1등 3인 | 유학 | 최기오 崔基五 | 28 | 전주 | 김제 | 학생 | 익엽 翼燁 |
유학 | 신승구 申升求 | 22 | 고령 | 장성 | 진사 | 우모 禹模 | |
유학 | 안욱 安頊 | 23 | 순흥 | 김제 | 학생 | 영철 榮哲 | |
2등 7인 | 유학 | 황석규 黃錫圭 | 54 | 우주 | 고부 | 학생 | 치후 致垕 |
유학 | 서상숙 徐相肅 | 20 | 대구 | 태인 | 학생 생부 유학 |
경순 敬淳 치순 穉淳 |
|
유학 | 이유탁 李儒鐸 | 35 | 함평 | 흥덕 | 학생 | 익오 益五 | |
유학 | 박진혁 朴鎭奕 | 39 | 밀양 | 부안 | 첨지 | 성순 性淳 | |
유학 | 조석중 趙碩重 | 48 | 김제 | 김제 | 학생 | 정순 廷淳 | |
유학 | 김성욱 金性旭 | 15 | 부령 | 부안 | 학생 | 규갑 奎甲 | |
유학 | 변의용 邊懿容 | 61 | 황주 | 장성 | 학생 생부 동지 |
상국 相國 상집 相集 |
|
3등 35인 | 유학 | 김창문 金昌文 | 22 | 천안 | 김제 | 유학 | 사욱 士郁 |
유학 | 김태중 金泰重 | 26 | 영광 | 흥덕 | 유학 | 필익 必翼 | |
유학 | 최인 崔寅 | 29 | 탐진 | 김제 | 학생 | 이직 以直 | |
유학 | 차계로 車啓路 | 34 | 연안 | 장성 | 유학 | 치수 致修 | |
유학 | 김기재 金基在 | 47 | 부안 | 용안 | 유학 | 안구 安耈 | |
유학 | 라열신 羅列臣 | 47 | 금성 | 영광 | 학생 | 원팔 元八 | |
유학 | 김석규 金錫圭 | 52 | 김해 | 정읍 | 학생 | 발 渤 | |
유학 | 김상순 金相淳 | 32 | 광산 | 태인 | 성균생원 | 명관 命寬 | |
유학 | 정재행 鄭在行 | 37 | 하동 | 영광 | 유학 | 인조 縯祖 | |
유학 | 손유정 孫有廷 | 28 | 밀양 | 무장 | 학생 | 행묵 行黙 | |
유학 | 이규헌 李奎憲 | 48 | 전주 | 전주 | 학생 | 민철 珉喆 | |
유학 | 채인공 蔡寅恭 | 54 | 평강 | 흥덕 | 학생 | 응관 膺寬 | |
유학 | 김기효 金基孝 | 54 | 부령 | 부안 | 통덕랑 | 이하 頥夏 | |
유학 | 소수구 蘇洙榘 | 58 | 진주 | 익산 | 학생 | 시훈 始運 | |
유학 | 이적 李墑 | 46 | 우봉 | 여산 | 성균생원 | 광우 光祐 |
진사시 進士試 | |||||||
등수 | 입격 유생 | 부 | |||||
직 | 성명 | 연령 | 본관 | 거주지 | 직명 | 성명 | |
3등 35인 | 유학 | 전학길 全學吉 | 23 | 천안 | 광주 | 유학 | 상운 尙運 |
유학 | 이재민 李在敏 | 32 | 전의 | 무장 | 학생 | 명회 命會 | |
유학 | 박태석 朴台錫 | 24 | 밀양 | 금산 | 학생 | 상철 尙喆 | |
유학 | 박인석 朴仁錫 | 26 | 밀성 | 나주 | 학생 | 형순 馨淳 | |
유학 | 황종원 黃宗源 | 49 | 우주 | 전주 | 학생 | 응유 應裕 | |
유학 | 채철하 蔡哲夏 | 43 | 평강 | 부안 | 학생 | 석헌 碩憲 | |
유학 | 이명혁 李明赫 | 35 | 전주 | 익산 | 유학 | 택경 宅敬 | |
유학 | 김대원 金大源 | 44 | 의성 | 장성 | 학생 | 기 琦 | |
유학 | 이필성 李弼星 | 23 | 전주 | 전주 | 유학 | 계응 繼膺 | |
유학 | 이인주 李寅冑 | 32 | 전주 | 흥덕 | 학생 생부 유학 |
문회 文晦 문기 文璣 |
|
유학 | 장지언 張志彦 | 81 | 인동 | 전주 | 학생 | 경용 景龍 | |
유학 | 임덕곤 林德坤 | 64 | 옥구 | 부안 | 학생 | 종구 宗溝 | |
유학 | 김양일 金養一 | 45 | 부령 | 부안 | 학생 | 득찬 得燦 | |
유학 | 김수징 金壽鼎 | 51 | 김해 | 전주 | 학생 | 응량 膺亮 | |
유학 | 한인달 韓仁達 | 65 | 청주 | 김제 | 학생 | 국주 國柱 | |
동몽 | 김정민 金正民 | 26 | 광산 | 태인 | 학생 | 광택 光澤 | |
유학 | 이용규 李龍奎 | 34 | 전주 | 태인 | 학생 | 수일 壽一 | |
유학 | 김형휴 金瀅休 | 51 | 울산 | 장성 | 학생 | 방임 邦恁 | |
유학 | 고정관 高廷瓘 | 20 | 장택 | 순창 | 유학 | 일원 一源 | |
유학 | 김수열 金守說 | 32 | 천안 | 흥덕 | 학생 | 치일 致一 | |
생원시 生員試 1등 3인, 2등 7인, 3등 35인 | |||||||
등수 | 입격 유생 | 부 | |||||
직 | 성명 | 연령 | 본관 | 거주지 | 직명 | 성명 | |
1등 3인 | 유학 | 서석록 徐錫祿 | 45 | 부여 | 고산 | 유학 | 경유 敬裕 |
유학 | 조현근 趙顯根 | 43 | 백천 | 장수 | 유학 | 백원 百源 | |
유학 | 기주진 奇疇鎭 | 34 | 행주 | 장성 | 유학 | 재의 在懿 | |
2등 7인 | 유학 | 최기팔 崔基八 | 28 | 전주 | 김제 | 학생 생부 유학 |
원엽 元燁 상엽 祥燁 |
유학 | 기정진 奇正鎭 | 34 | 행주 | 장성 | 학생 | 재우 在祐 | |
유학 | 정원식 鄭源植 | 30 | 온양 | 고산 | 성균생원 | 민재 旻載 | |
유학 | 반행하 潘行夏 | 58 | 남평 | 장성 | 학생 | 희징 希澄 | |
유학 | 장종학 張宗學 | 24 | 인동 | 함평 | 유학 | 운성 運聖 |
생원시 生員試 | |||||||
등수 | 입격 유생 | 부 | |||||
직 | 성명 | 연령 | 본관 | 거주지 | 직명 | 성명 | |
2등 7인 | 유학 | 변우기 邊右基 | 38 | 황주 | 장성 | 학생 | 성용 聖容 |
유학 | 유영규 柳榮奎 | 37 | 흥양 | 나주 | 학생 | 경 璟 | |
3등 35인 | 유학 | 변직용 邊直容 | 61 | 황주 | 장성 | 성균생원 | 상선 相璇 |
유학 | 노석이 盧錫履 | 56 | 풍천 | 정읍 | 학생 | 일원 一遠 | |
유학 | 이방식 李芳植 | 31 | 전주 | 전주 | 학생 | 언수 彦秀 | |
유학 | 김정환 金正煥 | 40 | 울산 | 장성 | 유학 | 장휴 章休 | |
유학 | 고정규 高精奎 | 31 | 제주 | 고부 | 유학 | 택화 宅華 | |
유학 | 김정효 金廷孝 | 35 | 경주 | 태인 | 학생 생부 학생 |
희달 喜達 윤달 潤達 |
|
유학 | 김도환 金道煥 | 20 | 울산 | 태인 | 학생 | 철휴 喆休 | |
동몽 | 김국서 金國瑞 | 15 | 김해 | 부안 | 유학 | 치삼 致三 | |
유학 | 양영조 梁永祚 | 38 | 남원 | 태인 | 학생 | 경윤 慶潤 | |
유학 | 소수준 蘇洙準 | 42 | 진주 | 익산 | 학생 | 시운 始運 | |
유학 | 이동식 李東植 | 26 | 전주 | 전주 | 유학 | 언하 彦夏 | |
유학 | 이대영 李大榮 | 30 | 고부 | 부안 | 학생 | 선성 善性 | |
유학 | 기익진 奇益鎭 | 31 | 행주 | 장성 | 유학 | 재의 在懿 | |
유학 | 황현모 黃顯模 | 34 | 우주 | 임피 | 학생 | 시한 始漢 | |
유학 | 권철응 權喆應 | 69 | 안동 | 전주 | 학생 | 직성 直性 | |
유학 | 박영수 朴永壽 | 58 | 밀양 | 흥덕 | 학생 | 상기 祥基 | |
유학 | 김옥현 金鈺顯 | 54 | 광산 | 전주 | 학생 | 종한 宗漢 | |
유학 | 양덕룡 梁德龍 | 29 | 남원 | 태인 | 학생 | 득해 得海 | |
유학 | 최창룡 崔昌龍 | 41 | 낭주 | 부안 | 학생 | 상현 尙賢 | |
유학 | 김갑연 金甲淵 | 40 | 연안 | 창평 | 학생 생부 유학 |
정 鐤 규 鍷 |
|
유학 | 변상규 邊相圭 | 70 | 황주 | 장성 | 성균생원 | 득경 得景 | |
유학 | 유서양 柳瑞養 | 41 | 전주 | 전주 | 급제 及第 | 한종 漢宗 | |
유학 | 윤기설 尹基說 | 55 | 파평 | 나주 | 학생 | 재임 載任 | |
유학 | 김정신 金廷信 | 29 | 도강 | 태인 | 학생 | 성록 性錄 | |
유학 | 이시황 李時璜 | 46 | 전주 | 정읍 | 학생 | 달성 達性 | |
유학 | 김원 金瑗 | 32 | 도강 | 태인 | 학생 | 홍익 鴻翼 | |
유학 | 임진하 林鎭夏 | 38 | 평택 | 용안 | 유학 | 희원 禧遠 | |
유학 | 송택옥 宋宅玉 | 26 | 신평 | 나주 | 유학 | 지익 之翼 | |
유학 | 손면주 孫冕周 | 39 | 밀양 | 정읍 | 학생 | 형묵 亨黙 | |
유학 | 오익선 吳翼善 | 27 | 나주 | 창평 | 유학 | 준규 準圭 |
생원시 生員試 | |||||||
등수 | 입격 유생 | 부 | |||||
직 | 성명 | 연령 | 본관 | 거주지 | 직명 | 성명 | |
3등 35인 | 유학 | 유인영 柳仁永 | 76 | 전주 | 전주 | 학생 | 한위 漢緯 |
유학 | 한형권 韓炯權 | 32 | 청주 | 남원 | 유학 | 탁 濯 | |
유학 | 김용헌 金龍憲 | 36 | 언양 | 고부 | 유학 | 재영 栽瑛 | |
유학 | 라언효 羅彦孝 | 65 | 금성 | 나주 | 학생 | 정필 正弼 | |
유학 | 이학구 李學九 | 35 | 전주 | 고부 | 유학 | 흥기 興基 | |
全羅右道井邑縣都會辛卯式監試初試入格儒生優等試券成冊
(전라우도정읍현도회신묘식감시초시입격유생우등시권성책)
聖人之心見於書猶化工之妙著於物 詩
辛卯二月 日 全羅右道井邑縣都會辛卯式監試試官 都事 柳
신묘 2월 일 전라우도정읍현도회신묘식감시시관 도사 유
幼學 崔基五 三下 居金堤 年二十八 進 一等 一人
유학 최기오 삼하 거김제 28세 진사 1등 1위
聖人之之以中正仁義 賦
辛卯二月 日 全羅右道井邑縣都會辛卯式監試試官 都事 柳
신묘 2월 일 전라우도정읍현도회신묘식감시시관 도사 유
幼學 申升求 三下 居長城 年二十二 進 一等 二人
유학 신승구 삼하 거장성 22세 진사 1등 2위
上試官 都事 柳
상시관 도사 유
副試官 扶安縣監 兪
부시관 부안현감 유
參試官 靑嚴察訪 李
참시관 청엄찰방 이
易義 麗澤兌君子以朋友 講習
辛卯二月 日 全羅右道井邑縣都會辛卯式監試試官 都事 柳
신묘 2월 일 전라우도정읍현도회신묘식감시시관 도사 유
幼學 趙顯根 三下 居長水 年四十三 生 一等 一人
유학 조현근 삼하 거장수 43세 생원 1등 1위
辛卯二月 日 全羅右道井邑縣都會辛卯式監試試官 都事 柳
신묘 2월 일 전라우도정읍현도회신묘식감시시관 도사 유
幼學 徐錫祿 三下 居高山 年四十五 生 一等 二人
유학 서석록 삼하 거고산 45세 생원 1등 2위
上試官 都事 柳
상시관 도사 유
副試官 靑嚴察訪 李
부시관 청엄찰방 이
參試官 三禮察訪 張
참시관 삼례찰방 장
道光十一年三月日全羅右道沃溝縣都會辛卯式文科東堂初試入格儒生姓名年歲本貫居住父職名榜目成冊(도광11년3월일전라우도옥구현도회신묘식문과동당초시입격유생성명연세본관거주부직명방목성책) 【도광11년(순조31, 1831)】
문과동당초시 1등 1인, 2등 3인, 3등 8인 | |||||||
등수 | 입격 유생 | 부 | |||||
직 | 성명 | 연령 | 본관 | 거주지 | 직명 | 성명 | |
1등 1인 | 유학 | 한진욱 韓震煜 | 34 | 청주 | 흥덕 | 유학 | 의두 義斗 |
2등 3인 | 유학 | 이재오 李在五 | 29 | 경주 | 영암 | 학생 | 경표 慶表 |
유학 | 김종행 金宗行 | 44 | 천안 | 영암 | 학생 | 익참 益參 | |
생원 | 박수량 朴壽良 | 67 | 밀성 | 흥덕 | 학생 | 정노 挺魯 | |
3등 8인 | 유학 | 한영국 韓榮國 | 25 | 청주 | 고부 | 肇慶廟令 조경묘령 |
철호 哲浩 |
유학 | 고병겸 高柄謙 | 31 | 장택 | 영광 | 유학 | 만로 萬老 | |
유학 | 정재욱 丁載旭 | 37 | 영광 | 고창 | 학생 | 습 熠 | |
유학 | 김정규 金正奎 | 22 | 광산 | 함평 | 유학 | 재권 在券 | |
유학 | 최전년 崔琠年 | 24 | 해주 | 영암 | 前 正言 전 정언 |
치헌 致憲 | |
유학 | 최찬수 崔纘洙 | 48 | 낭주 | 영암 | 학생 | 직현 直鉉 | |
유학 | 한명리 韓命履 | 24 | 서원 | 흥덕 | 유학 | 용홍 用洪 | |
유학 | 고매겸 高邁謙 | 27 | 장택 | 영광 | 유학 | 만기 萬璣 |
全羅右道沃溝縣都會辛卯式文科東堂初試入格儒生優等試券成冊(도광11년3월일전라우도옥구현도회신묘식문과동당초시입격유생우등시권성책)
曾子竟以魯得之 賦
辛卯三月 日 全羅右道沃溝縣都會辛卯式文科東堂試官 都事 柳
신묘 2월 일 전라우도옥구현도회신묘식문과동당시관 도사 유
幼學 韓震煜 三中 居興德 年三十四 一等 一人
유학 한진경 삼중 거흥덕 34세 1등 1인
上試官 都事 柳
상시관 도사 유
副試官 扶安縣監 兪
부시관 부안현감 유
參試官 靑嚴察訪 李
참시관 청엄찰방 이
擬唐羣臣賀曆象日月星辰敬授人時 表
辛卯三月 日 全羅右道沃溝縣都會辛卯式文科東堂試官 都事 柳
신묘 2월 일 전라우도옥구현도회신묘식문과동당시관 도사 유
幼學 李在五 三下 居靈巖 年二十九 二等 一人
유학 이재오 삼하 거흥덕 29세 2등 1인
上試官 都事 柳
상시관 도사 유
副試官 靑嚴察訪 李
부시관 청엄찰방 이
參試官 三禮察訪 張
참시관 삼례찰방 장
(분석)
○ 전라우도 신묘식 감시(사마시) 초시가 1831년 2월 19일(초장 진사시)과 2월20일(종장 생원시)에 정읍현에서 치루어졌다. 시관은 전라도사 유치명(柳致明)이고 진사시 부시관과 참시관은 부안현감과 청엄도찰방이 생원시 부시관과 참시관은 청엄도찰방과 삼례도찰방이 맡았다.
진사시 1등 1위는 김제에 사는 최기오(28세), 2위는 장성에 사는 신승구(22세), 3위는 김제에 사는 안욱(23세)이 차지했고, 생원시 1등 1위는 장수에 사는 조현근(43세), 2위 고산에 사는 서석록(45세), 3위는 장성에 사는 기주진(34세) 차지하였다.
초시방목에는 서석록이 생원 1등 1위로 기록되어 있으나 우수시권 성책에는 조현근의 시권이 1등 1위로 수록되어 있다. 이는 방목 작성 당시 기록의 착오로 보이며 신묘식 사마시 입격자 방목에도 전라우도 종장 초시 장원에 조현근이 기록되어 있다.
진사시와 생원시 초시입격자는 각각 45명(1등 3인, 2등 7인, 3등 35인)이며 좌도와 우도를 합하면 90명이 초시에 입격 했음을 알 수 있고, 같은해 신묘식 사마시복시에 전라도 출신은 생원이 9인 진사가 5인으로 총 14인이 입격하였다.
1831년 신묘식 초시 입격자 중 생원시에서 장성 출신 기주진이 1등 3위에 오르고 기정진이 2등 2위에, 기익진이 3등 수위에 입격하였다. 같은해에 치룬 최종 사마시 복시에 기정진은 1등 2위에, 기윤진(기주진)과 기익진 형제는 3등 40위, 60위에 입격하였다.
기주진과 기윤진은 동일 인물로 보이는데 이는 초시에는 기주진으로 시험을 치루고 복시 시험은 기윤진으로 치험을 치루어 입격한 것으로 보인다. 기윤진과 기익진은 친형제이고, 기정진과는 6촌 형제간이다.
초시입격 최연장자는 81세로 진사시에 입격한 전주 출신 장지언(3등 26위)이고, 생원시 최연장자는 76세인 전주 출신 유인영(3등 31위)이다.
초시입격 최연소자는 15세로 진사시에 입격한 부안 출신 김성욱(2등 6위)이고, 생원시 최연소자는 동몽 15세 부안 출신 김국서(3등 8위)이다.
초시에 입격한 사람들을 기록한 초시방목은 총 4부를 작성해서 감영에 1부를 보관하고 예조,사헌부,사관에 1부씩 3부를 보내 복시에 대비하였다고 한다.
○ 전라우도 신묘식 문과 동당 초시가 1831년 3월에 옥구현에서 치루어졌다. 시관은 전라도사 유치명(柳致明)이고 부시관과 참시관은 부안현감과 청엄도찰방이 맡았다.
동당 초시 입격자는 12명(1등 1인, 2등 3인, 3등 8인)으로 흥덕출신 유학 한진경(34세)이 1등을 하였고 2등 1위는 이재오, 3등 1위는 한영국이 합격하였다.
'향토사 박물관 > 고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헌선생별집 (游軒先生別集) (0) | 2024.09.21 |
---|---|
백촌선생유사 (白村先生遺事) (0) | 2024.09.21 |
신편기묘유적(新編己卯遺蹟) (0) | 2024.02.21 |
포산(현풍)곽씨세보(苞山郭氏世譜) (0) | 2024.02.21 |
임실청금안 (任實靑襟案) (0) | 2023.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