흘러가는

사심 없는 산행!! 지역 역사와 문화를 찾아서!!!! 김진영

덕유능선

가야산과 해인사/해인사 27

해인사 보현암, 금강굴 가을!!!

◎ 해인사 보현암普賢庵, 금강굴金剛窟    - 위치:  보현암~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길 73-34,   금강굴~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길 73-44    - 답사일: 2023.10.31 화    - 해인사 보현암은 1973년 혜춘慧春스님(1919~1998)이 비봉산 남록에 창건하여 비구니스님들의 수행처로 오늘에 이르고 있다.    - 해인사 금강굴은 1976년 불필不必스님께서 비봉산 남록 백련암이 바라다 보이는 곳에 창건하여 비구니스님들의 수행처로 오늘에 이르고 있다. 불필스님은 성철 큰스님이 세속에 계실때의 따님이시다.

해인사 삼선암 가을!!!!

◎ 해인사 삼선암三仙庵   - 위치: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길 81-24(우)50200   - 답사일: 2023.10.31 화   - 삼선암은 본래 학사대 북쪽에 있던 암자를 1893년 자홍慈洪스님이 현재의 자리에 옮겼 세웠으며 절 뒤에 삼선봉이 있다고하여 삼선암이라 이름지었다고 하며 1904년 보찬普讚과 智宗스님이 증축하고 1971년 혜안慧眼스님이 다시 중건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으며 비구니 스님들의 참선수행 도량처이다. 삼선봉을 사이에 두고 금선암과 삼선암이 자리하고 있다.

해인사 금선암 가을!!!

◎ 해인사 금선암金仙庵    - 위치: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길 127-15(우)50200    - 답사일자: 2023.10.31 화    - 해인사 금선암은 해인사 일주문 앞 삼선대 아래에 있는 비구니 수도처로 1945년 하담河淡스님이 창건했다고 전해온다.  해인사 본사찰과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가야산 잔대박골,관음골,토신골,극락골 등에서 내려오는 계곡물이 합수하여 흐르는 곳으로 연중 맑은물이 넘쳐 흐른다.높다란 위쪽에 부처님을 모시는 법당이 위치하며 그 아래에 스님들이 기거하는 도량과 처소가 있다.  아울러 일반대중들의 편안한 공부와 마음의 휴양을 위해 자유휴식형 템플스테이를 운영하고 있어 인기가 높다.

해인사 홍제암 가을!!!

◎해인사 홍제암弘濟庵   - 위치: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길154   - 답사일: 2023.10.31 화   - 홍제암은 사명대사가 1608년에 선조의 하사로 창건하여 수도정진 하다가 입적한 사찰로 표충사이다.  선조는 임진왜란시 승병장으로 큰 공적을 올린 대사를 자통홍제존자慈通弘濟尊者라 시호를 내려 홍제암이라 부르게되었다. 사명대사 사리를 봉안한 부도는 1610년에 만들어 졌으며 대사의 기록을 새긴 석장비는 1612년에 건립되었다.  일제투쟁기인 1943년 일본인들이 비를 동강을 내어 훼손하였던 것을 1958년 원래 대로 이어 붙여 복원한 것이다. 홍제암은 도 유형문화재에서 2000년 보물로 승격 지정되었다.

해인사 용탑선원 가을!!!

◎ 해인사 용탑선원龍塔禪院    - 위치: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길144-19    - 답사일: 2023.10.31(화)    - 용탑선원은 3.1독립운동 민족대표 백용성 조사(1864~1940)의 유덕과 유훈을 기리는 탑과 비를 수호 관리하기 위해 1945년 경성선사를 비롯 문도들이 세운 절이다.용성조사의 용龍자와 사리탑의 塔자를 취해서 용탑선원이라 하고 참선정진하는 도량으로 창건하였다. 용성선사 용탑과 비가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고, 보물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72권을 소장하고 있다. 칠불보궁전에는 용성스님과  12제자의 초상이 보전되고 있으며  석굴암인 미타굴이 있다. 주변에는 홍제암과 해인사를 연결 해주는 외나무 다리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