흘러가는

사심 없는 산행!! 지역 역사와 문화를 찾아서!!!! 김진영

덕유능선

지역이야기/운수지(을묘본)따라가기 23

운수(雲水)

【군명(郡名)】 ~임실 운수지(雲水誌1675) 운수(雲水)이다. 용요산(龍繞山) “서쪽 산 정상에 차고 맑은 샘이 있는데 큰 가뭄에도 마르지 않았다. 그러므로 이름하여 운수(雲水)라고 하였다.(운수지1675) *답사결과- 운수(雲水)- 위치: 임실읍 두곡리 산91-3임실읍 소재 용요산 운수봉(490m) 8부능선(390m) 절골 상부 천연암반 아래 바위틈 사이에서 흘러나오는 석정(石井)이 있는데 아직도 완연하다. 80~90년대에 샘터 주변에 조성한 철봉 등 운동시설이 아직도 남아있다. 샘의 크기는 높이150cm, 너비90cm, 샘 깊이 30cm 정도이다. *관련자료-운수산(雲水山) 임실 이도리와 성가리 경계에 있는 산. 운수정이란 이름난 샘이 있다.(한국지명총람 12편 전북편 하권, 임실군편, 한글학회..

운수지(雲水誌) 면리 현황(1675)

1675 운수지 면리 비교 현황  ~임실 운수지(雲水誌1675) (2023.9.) 김진영운수지(1675)면리 속리 현황현 면리 행정구역 비교 현황면명속리명호구수경지면적읍면명법정리행정리자연지명전래 및 유래되는 지명일도一道속리 7성가리城街里호구232호전결179결 13짐 7속임실읍성가리상성하성 남성중동내리中洞內里이도리중동  이도리二道里이도리이도 이도말빙고리氷庫里    두곡리斗谷里두곡리두곡안두실내두실, 외두실갈마동리渴馬洞里갈마리갈마갈마동갈마골방동리防洞里성가리하성앞골아동(衙洞)1914년 행정구역개편전 마을이인면里仁面속리 6외정오리外貞午里호구 90호전결81결41짐 8속임실읍정월리고산외정고산니내정오리內貞午里정월리정월내정정울두만리斗澫里두만리두만두만이느랑굴,동산이신리新里정월리정월새터*오정리 신촌(새모실)망정리望亭里이인리..

웅치(雄峙)

○웅치(熊峙) 현의 서쪽 55리 신덕면 양발리(梁鉢里) 서북쪽에 있고 완산경계와 접한다. 대화치(큰불재)에서 뻗어왔고 완산과 임실로 넘나드는 재(嶺)이다. *답사결과 - 위치: 임실군 신덕면 삼길리 내량마을 - 웅치(322m)는 일명 곰재, 또는 염암치(鹽巖峙) 즉 소금바위재라 불리며 호남정맥 박주지산(518m) 남쪽에 있는 재이다. 임실군 신덕면 삼길리 내량마을과 완주군 구이면 계곡리 염암마을을 연결해 주던 고개인데 지금은 묵혀서 그 흔적만 남아있다. 웅치는 임실, 순창 등 전라도 남부지방 여러 고을에서 전라감영이 있는 전주와 한양으로 가기 위해 넘나들었던 전라좌우도의 중간 길목이다. 곰재의 지명은 곰터골과 곰독골이 있어 지명을 얻었다고 하며, 곰재를 사이에 두고 신덕면 내량마을 하천가에 양발리시장(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