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 료 명 |
탁영집 (濯瀴集) |
연대/시기 |
조선전기/ 미상 |
발간/저자 |
/ 탁영 김일손 |
책수/규격 |
2책 5권/ 20.0cm×31.4/ 목판본 |
소 장 자 |
흘러가는 |
|
○ 탁영 김일손(金馹孫 1464~1498)선생의 문집으로 우암 송시열이 서문(1668,현종9년)을 쓴 목판본이다. ○ 권두에 송시열(宋時烈)이 쓴 서문이 있으며, 권1은 부(賦)·잡저, 권2는 서(序), 권3은 기(記), 권4는 애사·제문·묘갈명·묘지명·명(銘), 권5는 책·녹·서(書)·시·사(詞)이고, 권6·7은 부록, 권8은 별부로 유시·발문 등이다. 속집 권1은 사(詞)·시·소(疏)·차(箚)이고, 속집 권2는 부록이다. ○ 연산군이 즉위하고 사림파의 중앙진출이 활발했을 때 언론 활동의 중심 역할을 했으나 훈구파가 일으킨 무오사화 때 죽임을 당했다. 그는 주로 언관으로 있으면서 유자광·이극돈 등 훈구파 학자들의 부패와 비행을 앞장서서 비판했고, 춘추관 기사관으로 있을 때는 세조찬위의 부당성을 풍자하여 스승 김종직이 지은 〈조의제문〉을 사초에 실었다. 1486년(성종 17) 진사가 되고, 같은 해 식년문과에 합격하여 권지부정자에 올랐다. 1491년 사가독서를 하고 주서·부수찬·장령·정언·이조좌랑·헌납·이조정랑 등을 두루 지냈다 |
728x90
'향토사 박물관 > 고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氏世譜 (백씨세보 ) (0) | 2020.11.26 |
---|---|
변무소 (辨誣䟽) (0) | 2020.11.26 |
상례비요 (喪禮備要) (0) | 2020.11.26 |
손재집 (損齋集) (0) | 2020.11.26 |
見山先生實紀 (견산선생실기) (0) | 2020.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