흘러가는

사심 없는 산행!! 지역 역사와 문화를 찾아서!!!! 김진영

비산비야 非山非野!!

향토사 박물관 423

변무소 (辨誣䟽)

자 료 명 변무소 (辨誣䟽) 연대/시기 조선후기/ 발간/저자 /월사 이정구(1564~1635) 책수/규격 1책/ 19.2cm×22.7/ 필사본 소 장 자 흘러가는 ○ 월사 이정구가 지은 무술변무록을 필사한 책이다. ○ 월사 이정구(1564~1635)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성징(聖徵), 호는 월사(月沙)·보만당(保晩堂)·치암(癡菴)·추애(秋崖)·습정(習靜).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세조 때의 명신인 이석형(李石亨)의 현손이며 아버지는 현령 이계(李?)이고, 어머니는 김표(金彪)의 딸이다. 윤근수(尹根壽)의 문인이다. ○ 변무소: 1598년(선조 31)에 명나라의 병부주사 정응태(丁應泰)가 임진왜란이 조선에서 왜병을 끌어들여 중국을 침범하려고 했다는 무고한 사건을 일으켰다. 이정귀는 「무술변무주(戊戌..

탁영선생문집 (濯瀴先生文集)

자 료 명 탁영집 (濯瀴集) 연대/시기 조선전기/ 미상 발간/저자 / 탁영 김일손 책수/규격 2책 5권/ 20.0cm×31.4/ 목판본 소 장 자 흘러가는 ○ 탁영 김일손(金馹孫 1464~1498)선생의 문집으로 우암 송시열이 서문(1668,현종9년)을 쓴 목판본이다. ○ 권두에 송시열(宋時烈)이 쓴 서문이 있으며, 권1은 부(賦)·잡저, 권2는 서(序), 권3은 기(記), 권4는 애사·제문·묘갈명·묘지명·명(銘), 권5는 책·녹·서(書)·시·사(詞)이고, 권6·7은 부록, 권8은 별부로 유시·발문 등이다. 속집 권1은 사(詞)·시·소(疏)·차(箚)이고, 속집 권2는 부록이다. ○ 연산군이 즉위하고 사림파의 중앙진출이 활발했을 때 언론 활동의 중심 역할을 했으나 훈구파가 일으킨 무오사화 때 죽임을 당했다..

상례비요 (喪禮備要)

자 료 명 상례비요 (喪禮備要) 연대/시기 조선후기/ 미상 발간/저자 미상/ 김장생, 김집, 신의경 책수/규격 1책(상권)/ 24.0cm×37.5 *총 2책(상.하) 소 장 자 흘러가는 ○ 조선 후기의 학자 신의경(申義慶)이 지은 상례(喪禮)에 관한 초보 지침서이다. 『예경禮經』과 여러 학자의 해석을 참고로 하여 초상(初喪)에서 장제(葬祭)에 이르는 모든 예절을 알기 쉽게 정리해 놓았다. 의식 절차나 그림 설명 등에서 『가례(家禮)』와 큰 차이는 없지만 저자의 견해도 일부 덧붙였다. 원래는 1권 1책의 분량이었으나 친구인 김장생(金長生)이 1620년(광해군 12)에 여러 대목을 보충하고 당시의 예제도 덧붙여 이용하기에 편하도록 만들었다. 이 유물은 후에 김장생의 아들 김집(金集)이 이를 다시 교정하여 1..

손재집 (損齋集)

자 료 명 손재집 (損齋集) 연대/시기 조선후기/ 순조 때(추정) 발간/저자 미상/ 손재 조재호 책수/규격 5책(3.4.5.6.8책)/ 21.3cm×32.5/ 목판본 * 총 8책 15권 소 장 자 흘러가는 ○ 조선 후기의 문신 조재호(趙載浩 : 1702~62)의 시문집이다. 총 15권 8책 목판본이다. 서문과 발문이 없어 정확한 간행연도는 알 수 없고, 순조 때 간행된 것으로 추정된다. 권1~3은 시 약 450수, 권4~11은 소차·서, 권12는 잡저, 권13은 기·발·자사 등, 권14는 축문·제문·뇌·전, 권15는 묘지·묘갈·행장 등이다. 시는 서경시가 많다. 특히 〈만폭동 萬瀑洞〉·〈해금강 海金剛〉·〈삼일포 三日浦〉·〈양양도중 襄陽途中〉·〈소양정 昭陽亭〉 등 금강산과 관동일대의 명승고적을 여행하며 지..

見山先生實紀 (견산선생실기)

자 료 명 견산선생실기 (見山先生實紀) 연대/시기 근현대/ 1963년 발간/저자 / 충의공 정기원 책수/규격 1책 / 19.7cm×29.2/ 한지 석인본 * 2책 4권 소 장 자 흘러가는 ○ 견산선생실기로 4권 2책 중 2권 1책이다. ○ 정기원(鄭期遠) 1559(명종 14)∼1597(선조 30).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사중(士重), 호는 견산(見山)이다. 아버지는 별좌(別坐) 상신(象信)이며, 어머니는 전주이씨(全州李氏)로 부정 경(璟)의 딸이다. 정유재란 당시 명나라 부총병 양원의 접반사로 출전하여 남원성에서 순국하였다. 충의공 시호를 받고 남원 충열사 봉향되었다.

和村先生實記 (화촌선생실기)

자 료 명 화촌선생실기 (和村先生實記) 연대/시기 근대/ 1934년 발간/저자 / 화촌 이술원(1679~1728) 책수/규격 2책 完/ 20.5cm×30.2/ 한지 석판본 소 장 자 흘러가는 ○ 화촌선생실기 권1-3과 부록, 당산유고로 구성되어 있으며 권두에 김영한(金寗漢)의 중간서문이 있고, 권말에 송증헌(宋曾憲)의 중간발문이 있다. ○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선숙(善叔), 호는 화촌(和村). 거창 출신. 할아버지는 김해도호부사 이중길(李重吉)이다. ○ 1728년(영조 4) 이인좌(李麟佐)가 난을 일으켜 청주를 점령하고 서울로 북상할 때, 안의의 정희량(鄭希亮)도 이에 호응하여 난을 일으키니 현감 오수욱(吳遂郁)은 현을 버리고 도망가 버렸다. 이 때 이술원은 거창의 좌수(座首)로서, 현감 신정모(申..

孔夫子聖蹟圖續修五倫行實 (공부자성적도속수오륜행실)

자 료 명 공부자성적도속수오륜행실 (孔夫子聖蹟圖續修五倫行實) 연대/시기 조선후기/ 대정13년/ 1924년 발간/저자 / 정은채, 정성묵 책수/규격 1책 단권/ 19.9cm×29.6/ 신활자본 소 장 자 흘러가는 ○ 충(忠)·효(孝)·열(烈)에 모범이 된 인물을 수록한 책. 신식활자본. 충훈유현, 효부열녀 순으로 이름, 본관, 자(字), 호(號), 관력, 행적 등이 실림. 마지막 장에 도유사(鄭殷采), 교정 유사, 편집 유사, 약장(約長), 사무약장(事務約長) 등의 편찬자 명단과 발행연도 및 발행자, 인쇄소 등이 실림.

소미가숙점교부음통감절요 (少微家塾點校附音通鑑節要)

자 료 명 소미가숙점교부음통감절요 (少微家塾點校附音通鑑節要) 연대/시기 조선/ 미상 발간/저자 / 강지 책수/규격 1책 권 2 / 19.3cm×26.0 /목판본 소 장 자 흘러가는 ○ 소미가숙점교부음통감절요(少微家塾點校附音通鑑節要)는 줄여서 “통감절요”라 하며 중국 송나라 때 강지(江贄)라는 사람이 만든 역사서로“자치통감(資治通鑑)”이라는 방대한 역사책을 간추려서 편찬한 책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역사에 관한 필독서 중 하나였다고 한다. ‘소미(少微)’는 강지의 호이고, ‘가숙(家塾)’은 개인이 세운 글방을 말하는데, 여기서는 소미(강지)의 글방에서 만든 책이라는 뜻이다. ‘점교’는 일일이 대조해서 원문 확인을 했다는 뜻이고, ‘부음’은 어려운 한자에 음을 표시했다는 뜻이며 ‘절요’는 요약했다는 말이다.

洪春谷紀蹟碑詩稿 (홍춘곡기적비시고)

자 료 명 홍춘곡기적비시고 (洪春谷紀蹟碑詩稿) 연대/시기 근현대/ 1973년 발간/저자 곡성향교 책수/규격 1책/ 18.8cm×21.3/ 석인본 소 장 자 흘러가는 ○ 춘곡(春谷) 홍담(洪淡)선생의 선행과 공적을 기리는 기적비 제막식(1973.12.16.)을 축하하는 시문과 축사를 모아 간행한 시집으로 연창현이 서문을 쓰고 안태승이 발문을 써 간행하였다. ○ 홍담은 호가 춘곡, 본은 남양(南陽)으로 곡성군 출신이다. 타고난 효행과 선행으로 타의 모범이 되었으며 특히 향교 중수시 거금을 쾌척하여 지역의 교육발전이 이바지한 공으로 기적비를 건립하였다.

晦山遺稿 (회산유고)

자 료 명 회산유고 (晦山遺稿) 연대/시기 근현대/ 1965년 발간/저자 / 회산 안광호 책수/규격 1책 全/ 19.7cm×27.6/ 활자본 소 장 자 흘러가는 ○ 회산유고는 순흥인 안광호(安光鎬,1869~1945)의 문집으로 김형준, 안종호 근찬하여 안승학이 발문을 붙여 1976년 간행하였다. ○ 안광호의 자는 정일(貞一) 호는 회산(晦山)이다. 부친은 영진(英鎭)이고 모친은 광산김씨이다. 회산유고는 죽계세고(竹溪世稿) 권7에 실려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