흘러가는

사심 없는 산행!! 지역 역사와 문화를 찾아서!!!! 김진영

비산비야 非山非野!!

향토사 박물관 423

진산세고(晉山世稿), 진산세가(晉山世家)

자 료 명 진산세고(晉山世稿), 진산세가(晉山世家) 연대/시기 소화8년/1933년 발간/저자 강성규 발행/ 강회백,강석덕,강희안 책수/규격 2책(권1~2)/ 19.7×28.6cm 소 장 자 흘러가는 ○ 1476년(성종 7) 강회백의 손자 강희맹(姜希盟)이 편집·간행하였다. 책의 첫머리에는 신숙주(申叔舟)·최항(崔恒)·정창손(鄭昌孫)의 서문이 있으며, 권말에는 김종직(金宗直)·서거정(徐居正) 등의 5편의 발문이 실려 있다. 이들 서·발문에 의해 이 책의 편집과 개판(改版) 및 이판(移板)에 따른 경과를 알 수 있다. 김종직(金宗直)의 발문에 의하면, 강희맹이 1473년에 세고(世稿)를 편집하여 함양군수로 있는 김종직에게 부탁하여 함양에서 개판하였으며, 이듬해에 강희맹이 쓴 「양화소록서(養花小錄序)」가 추각..

조선유현연원도 (朝鮮儒賢淵源圖)

자 료 명 조선유현연원도 (朝鮮儒賢淵源圖) 연대/시기 일제강점기 소화16년/ 1941년 발간/저자 윤영선/ 장수 장계 동문당 발행 책수/규격 2책(상하)/ 20.0×29.6cm/ 소 장 자 흘러가는 ○ 2권 2책. 영인본. 1941년에 간행되었다. 이우만(李愚萬)·오승호(吳升鎬)·김상기(金相基)·윤영선의 서문과 양종호(梁鍾浩)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서두에 설총(薛聰)으로부터 최치원(崔致遠)·김양감(金良鑑)·최충(崔冲)·안유(安裕)·정몽주(鄭夢周)의 순으로 계통적으로 기술하였다. 조선조에서는 김종직(金宗直)·김굉필(金宏弼)·조광조(趙光祖)·김식(金軾)·송흠(宋欽)·이황(李滉)·이이(李珥)·송익필(宋翼弼)·조식(曺植)·장현광(張顯光)·박지계(朴知誡)·이단상(李端相)·이재(李縡)·이익(李..

사숙재선생문집(私淑齋先生文集)

자 료 명 사숙재선생문집 (私淑齋先生文集) 연대/시기 소화13년/ 1938년 발간/저자 강대철/ 강희맹(姜希孟)(1424~1483) 책수/규격 2책 상.하(권지1~3)/18.3×26.0cm 소 장 자 흘러가는 ○ 1805년 간행된 사숙재집을 1938년에 후손 강대철과 강집중이 2책(권1~3)상‧하권 연활자본으로 발행 인쇄하였다. ○ 사숙재 강희맹은 조선의 문신. 뛰어난 문장가이며 공정한 정치를 하여 세종과 성종 때 모두 총애를 받았다.

호남여수읍지(湖南麗水邑誌)

자 료 명 호남여수읍지(湖南麗水邑誌) 연대/시기 1985년/ 발간/저자 여수문화원 원장 박봉양 책수/규격 1책 94장/ 연활자본 국역본/ 19.5×29.0cm 소 장 자 흘러가는 ○ 호남여수읍지는 여수문화원(원장 박봉양)에서 1985년에 비매품으로 한문과 한글번역본을 실어 발행하였다. 읍지 내용에 건치연혁, 풍속 관원,산천,방리,토산,성곽,봉수,관우,향교,누대,역원,원사,비각,고적,부곡,장시,제언,인물,효행,우거,명신,기문 등이 실려있다.

사숙재집(강희맹 시문집)

자 료 명 사숙재집(私淑齋集) 연대/시기 조선후기/1805년(순조5)/ 발간/저자 강주선(姜柱善)/ 강희맹(姜希孟)(1424~1483) 책수/규격 총12권 5책 중4책 소장(3~5권 1책 낙질)/ 21.5×33.3cm 목활자본 소 장 자 흘러가는 ○ 12권 5책. 목활자본. 1805년(순조 5) 후손들에 의해 무장(茂長) 선운사(禪雲寺)에서 간행되었다. 권두에 서거정(徐居正)의 구서(舊序)와 권말에 10대손 주선(柱善)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국립중앙도서관·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4에 시, 권5는 사(辭)·부(賦)·잡저·가사(歌辭), 권6은 소·교서(敎書)·제문·계문(契文)·소문(疏文)·상량문·책(策), 권7은 서(書)·행장·비명·비음기(碑陰記)·전(傳), 권8은 기·서(序), 권9는 ..

삼계동분교장 명판

자료명 삼계동분교장 명판 연대/시기 1988년~1997년 제작/ 삼계초등학교 개수/규격 1점/ 12.0×60.0cm 소장자 흘러가는 ○ 삼계초등학교 삼계동분교장 정문 기둥에 부착했던 명판으로 놋쇠 주물로 만들었다. ○ 학교명: 삼계초등학교 삼계동분교장 - 소재지: 임실군 삼계면 오지리 55번지 - 학교연혁 1967.11.24. 삼계국민학교 오은분교장 설립 1971. 3. 1. 삼계동국민학교 승격 1988. 3. 1. 삼계동분교장 격하(삼계초등학교 병합) 1997. 3. 1. 폐교

남원 이승우 소지 (南原 李承宇 所志)

자료명 남원 이승우 소지 (南原 李承宇 所志) 연대/시기 계사년/ 1833년, 1893년 추정 발간/저자 이승우(李承宇)/ 책수/규격 1매/ 60×93cm 소장자 흘러가는 이승우(李承宇)의 소지(所志) [해설] 이 문서는 ‘소지(所志)’라는 이름으로 불린 조선시대의 문서로, ‘소지(所志)’는 일반 백성이 관아에 억울한 사정을 호소하거나 어떤 사안의 시행을 요청할 때 사용하였다. 이 ‘소지(所志)’는 남원부(南原府) 오수(獒樹)에 사는 이승우(李承宇)가 올린 것으로, 문서에 번호를 매겨놓은 것처럼 그 내용을 세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작은 글씨의 해서(楷書)로 작성된 내용이 이승우가 본래 올린 소지이다. 오수에 원수평보(元水坪洑)와 한거리보(漢居里洑)라는 저수지가 있었는데, 그중 한거..

김제군지(金堤郡誌)

자 료 명 김제군지(金堤郡誌) 연대/시기 일제강점기/ 대정6년/ 1917년 발간/저자 저작자 조찬성/ 저작발행자 안종묵 책수/규격 1책/ 19.5×31.0cm 소 장 자 흘러가는 ○ 일제강점기에 간행된 김제군지이다. 김제경찰서장 이궁선장(二宮愃藏)이 서문을 쓰고, 군지 목록 뒤에 황선모, 최기철, 최태홍, 최기철, 강희순, 온관하의 서문과 함께 참봉 조성희가 발문을 붙이고 갑신년 구지 라기익의 서문을 붙여 1책으로 발행하였다.

예기(禮記)

자 료 명 예기(禮記) 연대/시기 조선후기/ 발간/저자 책수/규격 4책/ 20.0×29.1cm, 활자본 소 장 자 흘러가는 ○ 예기집설대전 4책 - 예기 권지 5 왕제 - 예기 권지 11~12 교특생 - 예기 권지 13~15 옥조 - 예기 권지 16~18 대전 ○오경(五經)의 하나로 일컬어진다. 예경(禮經)이라 하지 않고 ≪예기≫라고 한 것은 예(禮)에 대한 기록 또는 주석(註釋)의 뜻을 나타내고 있다.

예기(禮記)

자료명 예기(禮記) 연대/시기 조선후기/ 발간/저자 책수/규격 1책(권지8~10)/ 20.5×31.5cm, 활자본 소장자 흘러가는 ○ 예기집설대전 1책(권지8~10) - 예기 권지8편 ~ 문왕세자(文王世子) - 예기 권지9편 ~ 예운(禮運) - 예기 권지10편 ~ 예기(禮器) ○오경(五經)의 하나로 일컬어진다. 예경(禮經)이라 하지 않고 ≪예기≫라고 한 것은 예(禮)에 대한 기록 또는 주석(註釋)의 뜻을 나타내고 있다.

진사 과거시험지 (進士 科擧試驗紙)

자료명 진사 과거시험지 (進士 科擧試驗紙) 연대/시기 조선/ 미상 발간/저자 김기면(金箕冕)/ 미봉(尾峰)거주 책수/규격 1매/ 54.0×27.5cm 소장자 흘러가는 ○ 향시의 진사과에 응시한 김기면의 초시 시험지라 여겨진다. ○ 邑有流亡愧俸錢(읍유류망괴봉전) 시제에 따라 칠언절구 36행 글을 짓고 삼중(三中)평가를 받은 시험지이다. 삼중등급은 12등급 중 8등급 쯤 된다. ○ 생원시는 사서오경 유교경전에 대한 암기를 시험하였고, 진사시는 시(時),부(賦)로 문예 창작 능력을 시험하였다.

진사 과거시험지 (進士 科擧試驗紙)

자료명 진사 과거시험지 (進士 科擧試驗紙) 연대/시기 조선/ 미상 발간/저자 김기면(金箕冕)/ 미봉(尾峰)거주 책수/규격 1매/ 59.0×28.0cm 소장자 흘러가는 ○ 향시의 진사과에 응시한 김기면의 초시 시험지라 여겨진다. ○ 有聲自西南来(유성자서남래) 시제에 따라 칠언절구 36행 글을 짓고 삼상(三上)평가를 받은 시험지이다. 삼상등급은 12등급 중 7등급 쯤 된다. ○ 생원시는 사서오경 유교경전에 대한 암기를 시험하였고, 진사시는 시(時),부(賦)로 문예 창작 능력을 시험하였다.

초시 진사과 시험지 (初試 進士科 試驗紙)

자료명 진사 과거시험지 (進士 科擧試驗紙) 연대/시기 조선/ 미상 발간/저자 김기면(金箕冕)/ 미봉(尾峰)거주 책수/규격 1매/ 59.0×27.5cm 소장자 흘러가는 ○ 향시의 진사과에 응시한 김기면의 초시 시험지라 여겨진다. ○ 民以事至邑者必告之以孝悌忠信(민이사지읍자필고지이효제충신) 시제에 따라 칠언절구 36행 글을 짓고 삼상(三上)평가를 받은 시험지이다. 삼상등급은 12등급 중 7등급 쯤 된다. ○ 생원시는 사서오경 유교경전에 대한 암기를 시험하였고, 진사시는 시(時),부(賦)로 문예 창작 능력을 시험하였다.

교지 (敎旨)

자료명 교지 (敎旨) 연대/시기 광서15년 정월/ 고종26년/ 1889년 발간/저자 책수/규격 1매/ 58.0×55.0cm 소장자 흘러가는 ○ 유인김씨를 숙부인에 임명하는 교지이다. 남편이 통정대부 행 승정원 좌승지의 교지를 받음으로써 그의 부인인 유인김씨가 종부직인 숙부인으로 임명된 고신이다. 종부직이란 남편의 직품에 따라 아내의 직위를 봉하는 것으로, 숙부인(淑夫人)은 정삼품 당상관 아내에게 주던 외명부 품계로 정부인과 숙인 사이의 봉작이다. ○ 교지는 국왕이 관직을 내리는 문서를 총칭하여 사용하는 문서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예기(禮記)

자료명 예기(禮記) 연대/시기 발간/저자 책수/규격 1책(권지8~10)/ 20.5×31.5cm 소장자 흘러가는 ○ 예기집설대전 5책(권지8~10) - 예기 권지8편 ~ 문왕세자(文王世子) - 예기 권지9편 ~ 예운(禮運) - 예기 권지10편 ~ 예기(禮器) ○오경(五經)의 하나로 일컬어진다. 예경(禮經)이라 하지 않고 ≪예기≫라고 한 것은 예(禮)에 대한 기록 또는 주석(註釋)의 뜻을 나타내고 있다.

경주김씨파보(慶州金氏派譜)

자료명 경주김씨파보(慶州金氏派譜) 연대/시기 광무기원후 신유년/ 1921년 발간/저자 경주김씨 대보공파 책수/규격 1책 단본/ 22.3×33.5cm 소장자 흘러가는 ○ 경주김씨 대보공 김알지를 시조로 하는 경순왕 후손의 파보이다. ○ 광무기원후 신유(光武紀元後 辛酉) 후손 전 참봉 창용(昌容), 전조 진사 재하(載夏)가 근서를 하였으며, 발문은 후손 도호(瓙鎬)가 썼다.

월사선생집 변무록(月沙先生集 辯誣錄)

자료명 월사선생집 변무록(月沙先生集 辯誣錄) 연대/시기 임술년 정월/ 1922년 발간/저자 월사 이정구/ 필사본 책수/규격 1책/ 15.2×22.4cm 소장자 흘러가는 ○ 월사 이정구가 지은 무술변무록을 필사한 책이다. ○ 월사 이정구(1564~1635)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성징(聖徵), 호는 월사(月沙)·보만당(保晩堂)·치암(癡菴)·추애(秋崖)·습정(習靜).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세조 때의 명신인 이석형(李石亨)의 현손이며 아버지는 현령 이계(李?)이고, 어머니는 김표(金彪)의 딸이다. 윤근수(尹根壽)의 문인이다. ○ 변무소: 1598년(선조 31)에 명나라의 병부주사 정응태(丁應泰)가 임진왜란이 조선에서 왜병을 끌어들여 중국을 침범하려고 했다는 무고한 사건을 일으켰다. 이정귀는 「무술변무주..

사성(四星)

자료명 사성(四星) 연대/시기 병자년(1936년) 발간/저자 책수/규격 1매/ 52.5×46.5cm, 피봉 46.5×11.2cm 소장자 흘러가는 ○납폐문(예장지) 초겨울 날씨에 존체만복 하신지요. 저의 종제 ○○가 성장하여 크게 사랑하심으로 귀중한 따님을 배필로 맞이하게 하여 주심에 이제 선인의 예에 따라 갖추지 못하였으나 삼가 납폐를 올리는 의식을 행하오니 살펴주시옵기에 삼가 서찰을 올립니다. ○전통 혼례는 혼인을 결정하는 의혼(議婚), 납채(納采), 납기(納期), 납폐(納幣), 대례(大禮), 우귀(于歸) 등의 과정으로 진행된다. 사성(四星)은 혼례 중에서 ‘납채’ 과정에 해당한다. 우리나라에서는 혼인이 단순히 개인들 간의 문제가 아닌 집안 간의 문제였기 때문에 전통 혼례에서는 집안 간에 혼인을 청(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