흘러가는

사심 없는 산행!! 지역 역사와 문화를 찾아서!!!! 김진영

비산비야 非山非野!!

향토사 박물관 423

호남병자창의록

○호남병자창의록 1932년 자 료 명 호남병자창의록(湖南丙子倡義錄) 연대/시기 현익군탄(玄黓涒灘)임신년/1932년(소화7년)/ 발간/저자 남원 사매면 대율리 명성재(明誠齋) 중간 /보절면 도룡리 이병민(李秉岷) 발행 책수/규격 3책(권지4)/ 목활자본/ 27.0×30.0cm 소 장 자 흘러가는 ○ 4권 3책 목활자본으로 1932년(임신년)에 중간한 호남병자창의록이다. 1762년 김원행(金元行),1798년 송환기(宋煥箕)의 구서(舊序)와 1932년 전주인 이승의(李升儀)의 발문을 붙여 남원 사매면 대율리 명성재(明誠齋)에서 중간했다. ○병자호란(1636년,인조14)이 일어나 인조가 남한산성으로 피난을 가자 옥과현감 이흥발 등 5인이 병란에 참전하려 여산에서 조수성(曺守誠)등과 만나 전참의 정홍명(鄭弘溟)을..

호작도, 호죽도 벽화

○ 호작도(虎鵲圖) 까치 호랑이 연중 잡귀와 액운을 막아주고 좋은 소식을 불러들이고자 하는 사람들의 바램을 담아 일정한 곳에 호랑이와 까치 그리고 소나무를 그린 그림으로 벽사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 - 호랑이는 잡귀와 사악함을 막아주는 영물이고, - 까치는 좋은 소식을 전해주는 길조이고, - 소나무는 새해가 시작되는 정월을 나타내며 늘 푸르름으로 변함이 없음을 의미한다. ○ 호죽도(虎竹圖) 대밭 호랑이 대나무와 함께 그려진 호랑이는 재난 즉 삼재(風,水,火)를 막아주는 벽사적인 의미를담고 있다. - 대나무는 불에 타면서 내는 큰 소리가 사악한 귀신을 쫓아 낸다고 하며 폭죽(爆竹)이라 일컬어 부른다. ◎ 오수리 한옥 박공에 그려진 호작도와 호죽도 벽화(1938년 무인년 호랑이해) ○ 상량문 : 歲在 戊寅三..

야암기(野巖記) - 송사 기우만

野庵記 走曾年一登浴川之東山。望見近野一區。竹樹籬落。斷續隱映。意者其閒有碩人㵎阿。而因悤無悤無。餘戀尙在心頭。今野菴徵記者。始知爲籬內書室主人朴君仁鈺。君行義於其閒。結茅儲書。以爲子姓族黨肄業之所。扁曰野菴。嗚呼。叔季文勝。幾幾乎滅質。聖人明言與史寧野。回淳反朴。質勝爲今日急務。使聖人聞之。大哉之嘆。必不在林放之後矣。君非今人而古人歟。古人云禮失而求諸野。菴中所儲之書。足以應禮失之求。則吾知菴中之士。不專於野而可馴致乎彬彬矣。願以是爲記。將命者君從姪文鏞。 幸州 奇宇万 ○

겨울공부① (국민학교 부독본)

겨울공부① (국민학교 부독본) 1953.12.1./ 단기4286,12.1 대한교육연합회 1점/ 19.0×25.5cm 흘러가는 ○ 1953년 한국전쟁 휴전후 그해 겨울에 간행된 1학년 국민학교 부독본 겨울공부 방학책이다. 대한교육연합회에서 단기4286년 12월 1일 펴냈으며 값은 30환이다. 표지에 색동한복을 입은 남녀 어린이가 태극기가 걸린 기와집 아래에서 공놀이를 하는 모습을 그렸다. 참 정다운 모습이 담긴 그림이다.

기초공부① (겨울방학)

자료명 기초공부① (겨울방학) 연대/시기 1954.12.22./ 단기4287,12.22 발행/인쇄 전북교육주보사/ 동방출판사 책수/규격 1점/ 18.6×25.4cm 소장자 흘러가는 ○ 1954년 한국전쟁이후 간행된 1학년 국민학교 겨울방학 기초공부책이다. 전주시 중앙동 소재 전북교육주보사에서에서 단기4287년 12월 22일 펴냈으며 값은 60환이다. 색동저고리에 치마를 차려입은 여자어린이와 까지두루마기 위에 도령복(쾌자)을 걸쳐입고 복건을 쓴 남자어린이가 다정스레 손을 잡고 걸어가는 모습을 그린 표지 그림이 참으로 이채롭기 그지없다. 표지 상단중앙에 운봉국민학교 직인이 찍혀 있는 미사용 책이다.

파릉세고 (巴陵世稿)

자 료 명 파릉세고 (巴陵世稿) 연대/시기 조선/ 1935년 간행 발간/저자 양천허씨 대제학공파/용사 허극(龍沙 許極)발문 책수/규격 1책(권지5)/ 석인본/ 21.4×31.1cm 소 장 자 흘러가는 ○ 파릉세고는 임실군 삼계면 덕계리 중촌마을에 집성하는 양천허씨 대제학공파 문중의 시문집이다. 문중의 후손인 용사 허극 선생이 발문을 붙여 총 7권 7책으로 1935년에 간행하였다. 권지5 책에는 서호공파,공산공파,석호공파의 27세손 19인 후손들의 시문이 쓰여 있다. 권두에는 목록과 더불어 서호공 허징 7대손 허겸의 시문과 서호공유사가 수록되어 있다. ○ 서울 양천구를 본향으로 삼고 있는 양천허씨는 허선문(許宣文)을 시조로 하는 성씨로 옛 지명이 공암(孔巖), 파릉, 양평으로 불리웠다.

옥천사마안(玉川司馬案)

자 료 명 옥천사마안(玉川司馬案) 연대/시기 숭정병자월후오임술년/ 1922년 발간/저자 윤병홍 謹書/ 양여매謹識(1636)/ 양병시 跋 책수/규격 1책 단본/ 목활자본/ 20.0×32.0cm 소 장 자 흘러가는 ○ 전라도 순창 출신 인물들의 과거 급제 기록인 “옥천사마안(玉川司馬案)”은 목활자본 단책(單冊)으로 고려와 조선에 걸쳐 사마시(생원, 진사시) 입격자를 수록한“사마안”과 “문과안(文科案)”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마안에 려조(麗朝) 조홍규(趙弘圭), 양이시(楊以時)등, 본조(本朝) 양수생(楊首生), 김인후(金麟厚),고경명(高敬命),최온(崔薀)등이 실려있고, 문과안에 신말주(申末舟)신숙주(申景濬), 김인후, 신경준(申景濬) 등이 실려 있다. 권두에 숭정병자월후오임오(崇禎丙子越後五壬戌,1922년) 윤..

시경 탁본첩(詩經 拓本帖)

자 료 명 시경 탁본첩(詩經 拓本帖) 연대/시기 미상/ 발간/저자 책수/규격 1책 / 절첩본/ 18.5×32.5cm 소 장 자 흘러가는 ○ 시경(詩經)의 국풍(國風), 빈풍(豳風)을 조맹부체(趙孟頫體)로 쓴 칠월팔장장십일구(七月八章章十一句)를 절첩본으로 만든 탁본첩이다. ○ 칠월이면 화성이 흐르고, 팔월에는 갈대를 벤다네. 누에치는달 뽕나무 가지를 이도끼 저도끼를 가지고 길게 뻗은 가지를 자르고, 저 연한 뽕잎을 딴다네. 칠월에는 왜가리 울고, 팔월에는 길쌈을 하는데. 검정색 누렁색 물들여 제일 좋은 붉은색으로 공자님 바지를 만들어 드리네.

수은 김충한선생 가장(樹隱 金沖漢先生 家狀)

자 료 명 수은선생가장(樹隱先生家狀) 연대/시기 정미년/ 1907년/ 조선후기 발간/저자 김재현(金載炫)/ 책수/규격 1책/ 수서본/ 28.0×31.5cm 소 장 자 흘러가는 ○ 수은선생가장은 정미년(1907년)에 선생의 16세손 김재현이 찬술한 수서본 이다. 같은 해 대한제국기 의정부 좌찬성을 지낸 이용원(李容元)선생이 수은 선생의 신도비문을 지었는데 내용 중에 후손 김재현이 자신에게 행장을 가져와 비문을 지어주기를 청하였다는 기록으로 보아 신도비문과 관련된 가장으로 여겨진다. ○김충한(金沖漢)은 고려 말기의 문신으로 자는 통경(通卿) 호는 수은(樹隱)이며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본래 경기도 광주(廣州) 사람이나 남원으로 내려 와서 살게 되었다. 관직은 봉익대부예의판서(奉翊大夫禮議判書)에 이르렀다. ..

기묘제현수필(己卯諸賢手筆)

자 료 명 己卯諸賢手筆 (기묘제현수필) 연대/시기 조선 전기(1518년)/ 숭정기원후4경인년(1830년)/ 발간/저자 사제당 안처순(1518)/ 조인영(1830) 책수/규격 1책 단본/ 목판본/ 19.7×29.3cm 소 장 자 흘러가는 ○ 이 문집은 전라감영에서 감사 조인영(趙寅永)이 1830년에 기묘명현들의 서첩을 판각하여 발행한 목판본 이다. ○ 원본 서첩은 보물 제1197호이다. 순흥안씨 사재(思齋) 안처순(安處順)이 1518년 홍문관 박사로 재직할 때 남원에 계신 모친을 위해 가까운 곳의 지방관을 자청, 구례 현감에 부임하게 되자, 유용근(柳庸謹), 조광조(趙光祖)를 비롯한 동료·친우들이 송별의 뜻에서 서(序)·시(詩) 등을 지어준 것이다. 아들 안전(安瑑)에 의해 제작된 것으로 모두 24명의 필..

상변축사류집 (常變祝辭類輯)

자 료 명 상변축사류집 (常變祝辭類輯) 연대/시기 중광작악, 신유년(1921년)/ 발간/저자 영송 김재홍/ 책수/규격 3책/ 목활자몬/ 25.0×31.3cm 소 장 자 흘러가는 ○상변축사류집은 남원 출신인 영송 (嶺松) 김재홍(金在洪)이 관혼상제 등에 관한 예법을 기록한 책으로 1921년 남원에서 간행하였다. 김재홍은 입헌(立軒) 김종가(金種嘉(1889 고종 26~1975)의 부친이다. ○ 남원지역에서 후학을 양성하고 덕행을 실천 했던 영송 김재홍과 입헌 김종가는 남원시 주천면 육모정 아래 용호서원에 배향된 인물이다.

동야기문(東野記聞)

○동야기문 자 료 명 동야기문(東野記聞) 연대/시기 조선 갑자년 /숙종10년(1684년)/ 발간/저자 한천병부 서(寒泉病夫 書) 책수/규격 2책/ 필사본/ 18.0×27.7cm 소 장 자 흘러가는 ○이 책의 머리글에 “갑자년 9월 중구일에 한천병부(寒天病夫)가 지었다.”라고만 적혀 있을 뿐, 언제 누가 필사 했는지 알 수가 없다. ○ 동야기문은 2책으로 필사된 책으로 권두 서문에 갑자년에 한천병부의 서문이 실려있고 첫머리 내용은 조선조 추존왕인 목조(穆祖)의 용비어천가 이야기가 수록되어 있고 이어 병자호란때 까지 조정의 사건 기사와 관련된 전기물이다. 목조의 공적, 태조의 흥왕사적, 왕자 이방석의 난, 계유정난, 무오사화 관련 인물열전, 중종반정, 남곤 심정의 음모와 조광조 피해, 을사사화 등을 실었고,..

주서백선(朱書百選)

자 료 명 주서백선(朱書百選) 연대/시기 조선/ 1794(정조18) 발간/저자 정조대왕/ 필사자 미상 책수/규격 2책(乾,坤)/ 19.0×25.3cm 소 장 자 흘러가는 ○조선후기 제22대 정조대왕께서 주희의 편지 중에서 가장 요긴한 내용 100편을 뽑아 간행한 서간집으로 이를 필사한 책이다. 여기에 선정된 편지는 당시 성리학에서 문제가 되는 인생문제에 대해 깊이 있게 토론한 것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주서백선은 정조대왕께서 친히 편집하여 내각에서 활자본으로 간행하였다고 한다, 이책은 필사본이다.

동국문헌(東國文獻)

○동국문헌 자 료 명 동국문헌(東國文獻) 연대/시기 숭정기원후3갑자년/ 1804년/ 발간/저자 김성은 교정/ 정읍 충열사 책수/규격 4책(원형리정)/목판본/19.2×30.5cm 소 장 자 흘러가는 ○ 조선시대 태조 때부터 순조 때까지의 여러 명신과 명현들의 이름과 약력을 수록하여 간행한 인명록. 인물지이다. 4권 4책. 목판본. 편자 미상. 1804년(순조 4)에 김성은(金性溵)이 교정하고, 안방택(安邦宅) 등이 정읍의 충렬사(忠烈祠)에서 간행하였다. ○ 김성은(金性溵)의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성연(聖淵), 호는 인일정(引逸亭). 전라도 고창 출신. 아버지는 김윤중(金允重)이며, 어머니는 연안김씨로 김창문(金昌文)의 딸이다. 황윤석(黃胤錫)·이직보(李直輔)의 문인이다

양건당집(兩蹇堂集)

○양건당집 자 료 명 양건당집(兩蹇堂集) 연대/시기 조선후기/ 정유년(1897) 발간/저자 황대중(黃大中 1551~1597)/ 송사 기우만 찬/황영,황평,황영,황간,황철현 발문 책수/규격 1책 단본 / 목활자본/ 20.2×31.3cm 소 장 자 흘러가는 ○ 양건당 황대중(兩蹇堂 黃大中 1551~1597)의 유고집이다. 1894년 월성 최익현(月城 崔益鉉)의 양건당실기 서문과 일신재 정의림(日新齋 鄭義林)의 서문을 붙여 1896년 후손 황영,평,영,간,철현의 발문과 함께 1897년 송사 기우만(松沙 奇宇萬)이 쓴 유고집이다. 내용은 부(賦),시문,행장 등과 이순신장군의 조의문, 임진난 김육 창의록과 남원순의록,호남절의록,옥천동의록이 실려있다. ○ 서울 출신이었으나 영암군수로 부임하던 조부를 따라 강진으로 ..

전주 풍락헌(豊樂軒)

○구. 전주군청사진(풍락헌 )1935년 이전 - 1895년 고종때 전국23부제 시행, 전주부 산하에 전주군과 고산군 관할 - 1914년 고산군 전주군에 병합(20개 면으로 병합) - 1931년 전주군 전주면을 전주읍으로 승격 - 1935년 전주읍을 전주부로 승격, 전주군을 완주군으로 개칭 - 1949년 전주부를 전주시로 개칭 ○풍락헌 변천사(구, 전주시청- 팔달로) - 전주부 부윤집무실~전주부.군청사~전주유씨제각(구이면 덕천리 태실)~풍락헌 복원(전주향교 옆, 2007년 전주유씨 기증으로 2011년 복원)

해방조선우편엽서(오수우체국 1945년)

해방조선우편엽서 2매 -1945.8.15.광복 후 조선의 해방과 독립을 기념하기 위해 일본정부인쇄국에 주문하여 만든 최초의 기념엽서이다. -1945.11~12월경 조선에 주둔한미군정청에서 일본에 주둔한 맥아더사령관의 연합군 총사령부(GHQ)에 인쇄발주 의뢰하여 조달받아 사용하였다고 한다. -태극기를 들고 아이를 보듬은 젊은 부부를 디자인하여 5전의 기념엽서를 발행하였고 후에 임실군 오수우체국에서 45전 별납소인을 찍어 판매한 미사용 엽서이다. 9.1× 14.0c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