흘러가는

사심 없는 산행!! 지역 역사와 문화를 찾아서!!!! 김진영

비산비야 非山非野!!

전체 글 1357

사매 노적봉 巳梅 露積峰

◎ 산행일자: 2024.11.02.토 . 흘러가는 혼자서 ◎ 산행지: 풍악산 노적봉,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사매면 서도리 ◎ 산행코스: 혼불문학관(들머리)~고속도로 굴다리~마애불좌상(호성암터)~혼불전망대~삼계석문 삼거리능선~닭벼슬봉~질마재(큰골사거리)~오유끼고개(수동삼거리)~노적봉 정상(567.7m)~질마재~강실이숨터~수동임도~고속도로굴다리~혼불문학관(날머리), 원점회귀 ◎ 산행소요시간 및 거리: 2시간 18분, 6.13km, 산길샘 앱 ◎ 노적봉은 해발567.7m로 남원시 사매면 서도리와 계수리 경계에 있는 산으로 등산로 초입에 혼불문학관이 있어 유명세를 타고 있다. 노적봉은 산세가 노적가리를 쌓아 놓은듯 하다고 하여 지명에 생겨 났으며, 주로 노봉이라 부른다. 호남금남정맥 성수지맥에서 분기하는 천황지..

호성암 마애여래좌상 虎成巖 磨崖如來坐像

◎ 문화유산명칭: 남원 노적봉 마애여래좌상,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1999.7.9)◎ 위치: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사매면 서도리 산23-1◎ 남원시 사매면 서도리 혼불문학관 뒤  노적봉 닭벼슬봉우리 아래  커다란 바위에 도드러지게 조각한 높이 4.5m의 마애불상이다.  대체로 원형이 잘 남아있으며 마애불 좌측 아래에 샘이 있고 연중 맑은물이 솟아나오며 마애불앞 공터와 대숲에 호성암터가 남아 있다.  마애불상은 연꽃무늬를 새긴 대좌위에 앉아있는 모습으로 두손에 연꽃송이를  모아 받쳐들고 있고 양쪽 팔꿈치 쪽에도 꽃송이가 새겨져 있다. 꽃송이를 받쳐들고 있는 특이한 모습으로 미륵불을 표현한 것으로 생각된다. ◎ 호성암은 어느 도승이 호랑이에게 물려간 한 아이를 구해주고 그아이의 부모로 부터 시주를 받아..

해인사 만불보전 주련 海印寺 萬佛寶殿 柱聯

◎ 해인사 구광루九光樓는 전면  8칸 2층누각으로 해인사 중심부에 자리하고 있다. 1층부는 북카페로 이용되고 있고 2층은 만불보전이 자리하고 있다. 만불보전 8개 기둥에 새겨진 주련은 흥선대원군의 글씨라 한다.  - 구광루란 화엄경의 내용 중에 "부처님께서 설법을 하실때 眉間白毫미간백호에서 9번의 광명을 발하셨다"고 하는데서   얻은 이름이라 한다.

해인사 대적광전 주련 海印寺 大寂光殿 柱聯

◎ 해인사 대적광전 주련(6구절)   - 대적광전은 화엄경의 교주이신 비로자나불을 모신 전각이며, 전각 기둥에 새긴 주련 또한 화엄경의 구절이 새겨져 있는데 2구절은 고종이 보위에 오르기 전 13세때 쓴 글이고, 나머지 4구절은 흥선대원군이 쓴 글씨이다. 부자간의 글씨인데, 흥선대원군이 고종이 글씨를 허투로 쓴다고 핀잔하며  붓을 뺏어서 나머지 4구절을  마저 썼다고 한다.  주련을 자세히보면 오른쪽 주련 2구와 나머지 4구의 필체가 확연하게 다름을 알 수 있다.  - 주련 밑 동판에 글씨 설명문이 부착되어 있다.

합천 해인사 존상도 陜川 海印寺 尊像圖

◎합천 해인사 존상도  - 1457년(세조3) 세조는 해인사의 고려 팔만대장경 50부를 인출하면서 대장경을 봉안한 장경판전에 대한 중수를 명하였다. 어진 하단의 화기에 따르면 1458년(세조4) 영중추부사 윤사로와 승정원도승지 조석문이 세조의 어진을 조성하여 금탑전金塔殿에 봉안하였다고 한다.이 그림은 불교적인 특징이 두드러져 화승畵僧에 의해 비단에 그려진 것으로 보이며 조선전기 인경 및 중건 불사를 단행한 세조와의 관계와 해인사의 위상을 잘 보여준다. 경상남도 문화유사자료로 지정되었으며 해인사 성보박물관에 전시되고 있다.(해인사성보박물관) ◎세조 어진

촛대

◎ 해인사 촛대  - 조선시대에 유기로 만들었다.  - 선조가 사명 유정 泗溟惟政(1544~1610)스님에게 하사한 것으로 전해지는 촛대 1쌍이다. 거북모양 촛대는 팔각형의 몸통에 연꽃과 비늘 문양을 새겨 장식하였다. 봉황 모양 촛대는 암수 한쌍의 봉황이 기암괴석 위에 서 있는 모습이다.  파란색과 금색, 분홍색 등으로 칠을 하여 화려함을 더하며 매우 수려한 모습으로 자태를 뽐낸다. 해인사성보박물관에 기획 전시 중이다. (해인사성보박물관) ◎ 촛대

금패 禁牌, 칙령패 勅令牌

◎ 금패  - 조선후기에 나무로 만들었다. - 명례궁明禮宮에서 해인사에 봉산封山을 수호할 권한을 부여하고 이를 위반하는 자를 사찰에서 직접 처벌할 수 있도록 하사한 금패이다. 해인사는 1897년 명례궁으로부터 *향탄봉산 香炭封山으로 지정되어 산을 제한하고 구획하여 무단으로 들어와 땔나무나 잡목 등을 벌채하는 것을 금지 하였다.   *향탄 香炭: 능, 원, 묘 등에서 제향에 사용되는 숯을 말함. ◎ 칙령패 - 조선후기 나무와 실로 만들었다. - 해인사가 왕실의 원찰願刹 역할을 하였다는 것과 왕실에서 고려대장경이 봉안되어있는 장경판전의 보존을 중요시 하라는 것을 알 수 있는 *칙령이 적힌 패이다.    *칙령: 어실을 수호하고 산을 막아 금호하며, 13도의 승풍을 바로잡기를 법종찰 도총섭에게 명함. 궁내부 ..

건칠 희랑대사좌상 乾漆希郞大師坐像

◎ 건칠 희랑대사좌상 신라 말~고려 초에 활동한 희랑스님의 조각상으로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유일한 고승의 초상조각이다. 희랑스님은 화엄학의 대가이자 북악파의 대표로 고려 태조 왕건을 도와 후삼국 통일과 고려 건국에 크게 기여하여 왕건의 국사國師(스승)로 모셔졌다. 조각상은 고려 10세기 전반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희랑스님이 생전에 스스로 조성했다 전해진다. 얼굴과 몸체 앞면은 건칠乾漆(삼베에 옻칠을 반복 하는 것) 기법을 사용하고 뒷면과 바닥은 나무로 조성하였다. 등신대와 가까운 크기로 극사실적인 모습으로 표현했는데 원래 까만 옻칠만 되어있던 것을 이후 후학들이 채색하였다. 특이하게 가슴에 작은 구멍이 있는데, 해인사에 모기가 많아 스님들의 수행에 방해가 되자 희랑스님께서 자기 가슴에 구멍(흉혈胸血)을..

원당암 다층석탑 및 석등(보물518호)

◎ 원당암: 경남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해인사길 141-22(치인리30) ◎ 대한불교조계종 제12교구 해인사 소속 암자로 방장 원각스님께서 주석하고 계시는 곳이다. 802년(애장왕3)에 창건하여 봉서사라 하였다가 신라왕실의 원찰이라하여 원당암이라 부르고 있다. ◎ 원당암 다층석탑 및 석등(보물518호) - 원당암 보광전 앞에 신라 말기에 조성한 11층으로된 다층석탑과 석등이 나란히 서있는데 9세기 후반 진성여왕시대의 작품이라 추정되고 있다 한다.

고운암(孤雲庵), 고운선생구저은일지지(孤雲先生構邸隱逸之地)

◎ 고운암(孤雲庵), 고운선생구저은일지지(孤雲先生構邸隱逸之地)◎ 고운암은 1974년 법모法模스님께서 중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고한다. 정면으로 가야산 상왕봉(1430m)이 올려다 보이고 그 아래 환적대를 중심으로 백련암과 지족암, 희랑대가 손에 잡힐 듯 정면으로 바라다 보인다.  단지봉(1028m)아래에 자리한 고운암은 해발860여m에 위치하고 있다. 해인사 암자 중 고불암(900m) 다음으로 높은 곳에 자리하고 있다.  한때 송운암(松雲庵)으로 불린 적도 있다고 한다.◎ "고운선생구저은일지지"는 "고운 최치원선생께서 이곳에  초가움집을 짓고 세상과 떨어져 은거하며 살았던  터" 라 는   뜻이며, 당초 절터에 있었던 비석을 고운암을 중창할 때 이곳으로 옮겼다고 한다.    - 해인사 119소방대 앞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