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수망루 [임실 오수망루(任實 獒樹望樓)] - 소재지:오수면 오수리 348-6, 구 오수지서(지구대) - 문화재명: 대한민국 근대문화유산 등록문화재 188호(2005.5.18.) - 규모: 높이12m, 하부지름2.4m, 적벽돌 원통형 망루, 내부 3단 원형 목재발판 철재사다리 설치, 육각 함석양철지붕, 육각형 망대에 감시창문, .. 역사문화 따라가기/지역문화유적탐방 2019.07.19
체리암 암각서 [滯離巖(체리암)] 오수면 신기리 398-144번지, 신기마을 초입 오수천변 도로가에 있다. 현재 풍욕정 정자의 누대로 사용되고 있는 체리암은 제방 도로공사로 반 이상이 땅속에 묻혀 현재 체리암 암각서가 보이질 않는다. 체리암은 남원부 둔덕방과 오수도찰방역 사이에 위치하며 남원고을 .. 역사문화 따라가기/지역문화유적탐방 2019.07.13
호국 영웅 박노규장군 공적비 [박노규장군 공적비] 오수면 오수리 서후마을 국도변에 세워져 있다. 이 비는 사각 기단석에 호국영웅 박노규 준장이라 세기고 그 위에 흉상을 세우고, 바로 옆에 6.25동란 중에 쌓은 공적내용을 새긴 비를 같이 세웠다. 박노규 장군은 1918년생 오수면 출신으로 1950년 7월 이화령전투에서 .. 역사문화 따라가기/지역문화유적탐방 2019.07.13
의상정과 김개인 의견상 [의상정과 김개인 의견상] 오수면 오암리 오촌마을 국도변에 의상정(義想亭)앞에 같이 세워져 있다. 오수의견상은 화강암 초석으로 정방형 단을 만들어 기단석을 세우고 그 위에 김개인과 의견의 동상을 세웠다. 기단석 전면에는 “오수의견상(獒樹義犬像)”이라 새기고 그 아래에 오수.. 역사문화 따라가기/지역문화유적탐방 2019.07.13
오수 향토수호공적비 [향토수호공적비] 오수면 오수리 서후마을 국도변 둔남천 오수교 옆에 세워져 있다. 이 비는 기단위에 3층으로 되어있다. 전면에는 제일 위 상단 자연석에 향토수호공적비(鄕土守護功績碑)라 쓰여 있고, 그 아래에 사각의 오석에 소남 이규진 선생의 헌시가 새겨져 있다. 제일 아래에는 .. 역사문화 따라가기/지역문화유적탐방 2019.07.13
최성간(崔性侃) 묘비(추사 김정희 금석문) [추사 김정희 금석문] * 답사일: 2019.6.9(일) * 답사지: 최성간 묘비(전라북도 임실군 신덕면 수천리 산192, 율치) * 묘비: 비머리는 화강암을 팔작지붕 형태로 세밀하게 깍아 만들었고 비의 몸체는 오석이며 해남에서 구하여 옮긴 것이라한다. 최성간(崔性侃,1777~1850)은 전주최씨 만육공파 후.. 역사문화 따라가기/지역문화유적탐방 2019.06.30
죽산박씨 충현공파 종가(竹山朴氏 忠顯公派 宗家) [죽산박씨 충현공파 종가(竹山朴氏 忠顯公派 宗家)] - 남원시 수지면 호곡리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80호 - 주요시설: 문간채, 사랑채, 안채, 사당채 등 - 종손거주 관리 역사문화 따라가기/지역문화유적탐방 2019.05.11
몽심재(夢心齋) [몽심재(夢心齋)] 2019.5.7.화 - 위치: 남원시 수지면 호곡리 - 중요민속문화재 제149호 - 주요시설: 문간채, 사랑채, 안대문채, 안채, 고방채 등 - 남원의 숨은보석 10선 - 원불교재단 관리 (마을안내판) 호곡마을 고택 전경 몽심재와 종가고택과 일가고택 마을입구 우물터 죽산박씨 낙남(落南).. 역사문화 따라가기/지역문화유적탐방 2019.05.10
노산 임경대(魯山 臨鏡臺) [노산 임경대 魯山 臨鏡臺] - 위치: 임실군 오수면 주천리(酒泉里) 서당골, 성적골 - 임경대는 오수면 호산(芦山) 아래에 있으며 일명 영이대(詠而臺)라 한다. 위에는 반석이 있어 10여명이 앉을 수 있고, 아래엔 폭포가 있는데 10장(丈)은 됨직하다. - 노산(蘆山,魯山,芦山)은 임실 고을 남쪽 3.. 역사문화 따라가기/지역문화유적탐방 2019.01.30
치마산 봉수대(19.1.28.월) [치마산(馳馬山) 봉수대(烽燧臺)] - 위치: 임실군 신덕면 큰치마산 봉수대봉 봉수대봉~ 큰치마산 정상부 아래봉우리 서쪽 축대 봉수대 정상부 ~ 봉우리 지름 12m 타원형 석축 남쪽 석축 동쪽 석축 북쪽 석축 역사문화 따라가기/지역문화유적탐방 2019.01.30
회문산 개문(開門) [회문산 개문] - 가는길: 임실군 강진면 용수리 백운마을 가리점 먹구니 큰묵골 산능선(정읍시 산내면 종성리 산215) - 위치: 회문산 어깨봉 서북쪽 아래 큰묵골 능선 해발 약 700m 지점 - 찾아가기: 임실군 강진면 용수리 백운마을(가리점) 먹구니라 불리우는 곳에서 수곡산장을 지나 사직골 .. 역사문화 따라가기/지역문화유적탐방 2019.01.17
회문산 회문(回門) [회문산 회문(回門)] - 가는길: 임실군 강진면 용수리 백운마을 가리점 사직골 먹구니(정읍시 산내면 종성리 산215) - 위치: 회문산 장군봉(780m)봉우리 동북쪽 아래 사직골 해발 420m 지점 암릉에 위치 - 찾아가기: 임실군 강진면 용수리 백운마을(가리점) 먹구니라 불리우는 곳, 백운마을 위 .. 역사문화 따라가기/지역문화유적탐방 2019.01.14
산인동(散人洞) 암각서(18.12.01.토) [양배 양돈 형제 산인동(陽倍 陽墩 兄弟 散人洞)암각서] - 발굴답사: 2018.12.01.토 - 발굴장소: 순창군 적성면 석산리 강경마을 섬진강변 - 지난 3월 데미샘에서 광양 배알도까지 섬진강 따라 걷기 중 발견한 산인동 암각서!! 얼마나 가슴설레였던가? 낙엽지기를 기다리고 기다려 초겨울 이제.. 역사문화 따라가기/지역문화유적탐방 2018.12.01
산인동(散人洞) [산인동 암각서] 陽倍 陽墩 兄弟 散人洞(양배 양돈 형제 산인동) 암각서 세상일을 잊고 한가로이 자연을 즐기며 지내는 사람이 사는 곳!! (양배 양돈 형제) 양배(楊倍)는 순창군 구미(龜尾)에서 태어나 일찍부터 학문에 힘써서 지식이 고원(高遠)하였다. 연산군 때의 무오[1498년]·갑자[1504.. 역사문화 따라가기/지역문화유적탐방 2018.11.18
주암(舟巖 배 바위) 전북 임실군 지사면 방계리의 옛 지명은 주암촌(舟巖村)이다 덕재산에서 뻗어나온 산줄기가 오목한 분지를 만들며 영천(寧川,獒樹川)앞에 멈추어 섰는데 동통(東通),서색(西塞),남저(南低),북고(北高)의 병풍을 둘러친 행주형(行舟形)이다. 동네 터가 배 모양이고, 또한 동구밖 밭 한가운.. 역사문화 따라가기/지역문화유적탐방 2018.11.13
대정리 방죽(가을18.10.25.목) [대정 저수지] 대정저수지,대촌제,대말방죽,대몰방죽 등 여러이름으로 불리우는 곳이다. 남원용성지(영조8년,1752) 제언조에 "대야지방축"으로 소개되어 있기도 한 이 곳은 아람들이 노송과 왕버드나무가 군락을 이루고 있어 그 역사를 짐작케 한다. 올해도 어김없이 피어오른 가시연꽃, 동.. 역사문화 따라가기/지역문화유적탐방 2018.10.25
충숙공 이상길 정려 - 위치: 임실군 지사면 영천리 계촌마을 앞 하마비(大小人員皆下馬) 정려비 앞 반송나무 고자베기 (2010년 1월 정려각과 반송나무~오수고25회동창방 자료) 정려각 전경 額(액): 忠臣 贈 大匡輔國 崇祿大夫 議政府 左議政 兼 領經筵事監 春秋館事 行 資憲大夫 工曹判書 諡 忠肅 李尙吉 之閭 .. 역사문화 따라가기/지역문화유적탐방 2018.08.03
데미샘,마이산 답사(18.7.7.토) [데미샘, 마이산] 임실군립도서관 주관 "섬진강 인문학으로 유람하다." 세번째날이다. 백로 버스에 몸을 싣고 야외로 떠나는 차창밖 풍경이 어찌그리 맑고 깨끗한 날인지 황홀할 정도이다. 사방팔방 파아란 하늘에 흰구름 둥둥 두둥실~~~ 오늘은 문화사학자이신 신정일 선생님의 현장 도.. 역사문화 따라가기/지역문화유적탐방 2018.07.07
장군바위(18.7.4.수) [장군바위] - 위치: 임실군 지사면 관기리 산 265번지 이곳은 행정구역상 지사면 관기리 장군바위라 불리는 자연마을이다. 북쪽으로는 임실군 성수면과 동쪽으로는 장수군 산서면과 경계를 이루는 곳이다. 삼국시대 이일대는 거사물정(거사물현)에 속하여 그와 관계되는 많은 이야기와 유.. 역사문화 따라가기/지역문화유적탐방 2018.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