흘러가는

사심 없는 산행!! 지역 역사와 문화를 찾아서!!!! 김진영

오수면 지명지도

분류 전체보기 1380

사선대(四仙臺)

○사선대(四仙臺) ~임실 운수지(雲水誌1675) 현의 북삼면 오원석교 위에 있다. 대천의 남애에 암석을 강속에 꽂은 것 같다. 그 위에 가히 8~9명이 앉을 수 있다. 혹자가 말하기를 사선(四仙)이 소요하던 곳이라 하여 이름하였다고 한다.  *위치: 관촌면 덕천리 786-18, 산36, 산39-1 등 일원, 섬진강 오원천 *답사결과 - 사선대는 1985년 12월28일 국민관광지으로 지정되었다. 남애의 암석을 일명 코바위(鼻巖)라 부른다. 진안에서 발원한 섬진강 물줄기가 이곳 코바위 부근에서 휘돌아 나가며 깊은 연못과 벼랑을 만들었는데 그 경치가 자못 빼어나서 자연발생 유원지가 되었고 진안 마이산의 두 신선과 임실 용요산의 두 신선이 놀았다고 해서 사선대(四仙臺)라는 이야기가 전해온다. 임실군에서 사선대..

소철대(沼撤臺)

○소철대(沼撤臺) ~임실 운수지(雲水誌1675) 남면 오동리 수구의 대천가에 있다. 대 아래로 못이 있다. *위치: 오수면 대명리 상신촌 마을 앞 둔남천변 *답사결과 - 소철대를 알고 있거나 전해오는 이야기는 따로 없다. - 소철대는 상신촌마을 앞에 있는데 오동마을에서 내려오는 소하천과 둔남천이 합수되는 곳에 있다. 둔남천이 이곳에서 동쪽으로 감입곡류로 흐르면서 산 아래 바위 벼랑을 만들고 대(臺)를 이루었다. 대 아래에 항상 깊은 물이 고여 연못을 이루고 있고 그 아래쪽에 둔전보(屯田洑)를 막아 오수신역 앞 둔전뜰에 농업용수를 공급하고 있다. 지역주민들은 둔전보를 일명 세철이보라 부르고 있는데 이는 소철대를 딴 이름이 세월이 흐르면서 소철이보→쇠철이보→세철이보로 자연스럽게 변해 온 듯하다. ..

평당천 송정(坪塘川松亭)

○평당천 송정(坪塘川松亭)   ~임실 운수지(雲水誌1675) 남면 평당리 시내가에 있다. 고(故)사인(士人) 김치개(金致開)가 평당에 터를 잡았을 때 부안 변산(扶安 邊山)의 소나무 종자를 얻어와 심은 것이다.  *위치: 오수면 군평리 평당마을 앞 들판 - 평당마을 들판 한 가운데에 송정이라 부르는 작은 동산에 한그루의 노송이 있었다고 한다.  80년대 말쯤 농지경지정리시 동산을 논으로 만들었다고 한다. - 둔남천쪽에서 평당마을로 들어오던 옛 진입로변 들판 가운데에 소나무가 심어진 송정이라 부른 작은 동산이 있었는데 80년대 말쯤 농지경지정리를 하면서 없앴다고 한다. 60년대 말에 찍은 사진에 그 흔적만 남아있다.

폭포대(瀑布臺)

○폭포대(瀑布臺) ~임실 운수지(雲水誌1675) 일명 영이대(泳而臺)라 한다. 남면 주천동 서쪽 노산의 양록 사이 물가에 대가 있다. 대의 아래에 폭포 수장이 떨어져서 맑은 못을 만든다. 양변에 반석은 가히 십여명이 앉을수 있다. 천석(泉石)에서 씻고 계속해서 피할 수 있다. 우거하던 한순(韓純)이 소요하던 곳이다.  *위치: 오수면 주천리 처자방죽 골짜기, 서당골[노산 임경대 魯山 臨鏡臺] 1730 운수지- 위치: 임실군 오수면 주천리(酒泉里) 서당골, 성적골- 임경대는 오수면 호산(芦山) 아래에 있으며 일명 영이대(詠而臺)라 한다. 위에는 반석이 있어 10여명이 앉을 수 있고, 아래엔 폭포가 있는데 10장(丈)은 됨직하다.- 노산(蘆山,魯山,芦山)은 임실 고을 남쪽 30리에 있는데 되재..

구암대(龜巖臺)

○구암대(龜巖臺) ~임실 운수지(雲水誌1675) 오촌 앞 들판 중간 앞부분에 조금 사이 동쪽으로 가까운 하천이 오암대와 더불어 위쪽으로 흐른다. 아래쪽으로 서로 바라볼 정도로 가까운 입암리에 옛 입암터가 있다. 소나무를 심고 그 위에 초당을 지어 소요하던 곳이다. 지금은 초당은 없다.  *위치: 오수면 오암리 오촌마을 독뫼(오암리 137,140 묘지) *조사결과 - 구암대를 알고 있거나 전해오는 이야기는 따로 없고 세월이 흐르면서 잊혀진 지명인 듯하다 - 운수지 면리조 남면 마을지명 중에 입암리(立巖里)가 있다. 입암리는 독뫼마을을 지칭한다. - 독뫼 마을에 사시는 박태규옹(97세) 께서는 이 마을에 예전에는 약15호 정도가 이 마을에 살고 있었으나 지금은 4~5호가 살고 있으며 오촌리에 속..

초대보(草大洑)

○초대보(草大洑) ~임실 운수지(雲水誌1675) 남면 오암대 아래에 있다.  *위치: 오수면 오암리 오촌마을(둔남천) *답사결과 - 초대보라는 지명은 현재 전해오거나 남아있지 않고 운수지 문헌과 현지 답사결과와 오촌마을주민 박태규(97세)씨의 증언으로 볼 때 냉들보라 부르는 이 곳이 맞을 것 같다. 냉들은 오수면 오촌리 독뫼마을 앞들을 말한다. - 오암대는 일명 용두정이 있는 용머리로 불리는 곳이며 용머리 물길이 합수되는 곳에 있는 냉들보가 위치상 초대보로 짐작된다.

대포마보(大浦馬洑)

○대포마보(大浦馬洑) ~임실 운수지(雲水誌1675) 신평면 마포리 앞에 있다. 전 고(古) 집의 최반(崔潘)이 만든 것이다.  *위치: 신평면 대리 농공단지 윗쪽 섬진강 오원천 *답사결과 - 일명 대리보(大里洑)라 부른다. 신평면 대리와 관촌면 병암리 시기마을 사이의 오원천을 가로 질러 막았으며 관개수로는 신평면 대리 농공단지를 가로질러 대리뜰로 연결되어 있다.

공수산(公須山)

○ 공수산(公須山) ~임실 운수지(雲水誌1675) 현의 북쪽 25리 25리 북삼면 역리 동북쪽 성산(城山)과 대천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고 있고 고개에 빼어나게 돌출되어 있는 것이 산이 마치 순필(荀筆)과 같다. *답사결과 - 위치: 임실군 관촌면 방현리 산24, 25-1, 35번지 일원 - 공수산(367.3m)은 방현리 마을 뒷산으로 섬진강 오원천을 사이에 두고 성미산과 마주 바라보고 있다. 등산로는 정비 되어 있지 아니하고 방고개에서 급경사지를 따라 오르거나 방현리 공덕마을 쪽에서 오를 수 있다. 정상에 산불 감시초소가 있다.

장수(長藪)

○ 장수(長藪) ~임실 운수지(雲水誌1675) 현의 북쪽 18리 신평면 마포평의 머리 북쪽이다. 예전에 목사 최반이 수해를 막기 위해 전장(田庄)에 숲을 길렀다. 길이가 1리쯤 된다. *답사결과 - 위치: 임실군 신평면 대리 섬진강변 대리보 쉼터 - 신평면 대리 농공단지 북쪽 천변 대리보와 접해있다. 지금은 숲은 없어지고 노목 몇 그루가 있고 사람들이 휴식할 공간과 정자가 있다. 60~80년대까지 섬진강 오원천변 유원지로써 전주 등 인근에서 많은 피서객들이 몰려와 각광을 받았으나 농공단지가 들어 서고 호안공사로 인해 그 옛 모습을 잃어버렸으며 겨우 쉼터로 명맥만 유지하고 있다.

소화치(小火峙)

◎ 소화치(小火峙) ~임실 운수지(雲水誌1675) 현의 서북쪽으로 55리 신덕면 이사동리(耳寺洞里) 서북쪽에 있다. 완산계와 접한다. 대화치로부터 뻗어와서 완산과 임실로 넘나드는 고개이다.  *답사결과 - 위치: 임실군 신덕면 삼길리 방길마을 - 소화치(365m)는 일명 작은불재라 불리며 호남정맥 치마산 도솔봉 남쪽에 있는 고개이다. 임실군 신덕면 방길리와 완주군 구이면 동성마을을 연결해 주던 고개인데 지금은 묶어 그 흔적만 남아있다. 예전에는 임실 순창 등지에서 한양과 전주쪽으로 넘나들던 길손들의 주요한 길목이라 전해온다. 작은불재의 지명은 치마산 봉수대가 있어서 작은불재라는 지명을 얻었다고 하며, 큰불재(大火峙)는 경각산서남쪽 아래에 있는 고개 이름을 말한다.

사인암(蛇人巖)

○사인암(蛇人巖) ~임실 운수지(雲水誌1675) 현의 서북쪽 40리 신덕면 빙채점리(氷債店里) 수구와 더불어 노적봉과 대칭하여 있다. 석봉 1천여장이 마치 창끝과 같다. 사람들이 말하기를 예전에 상사병에 걸린 뱀의 요괴가 그 위에 허물을 벗었다고 한다.  *답사 결과 - 위치: 임실군 신덕면 신흥리 - 사인암(402.1m)은 호남정맥에서 뻗어나온 산줄기가 갈미봉을 거쳐 피재를 넘어 도지봉을 지나 제목천과 옥녀동천에 맞다아 있으며 노적봉과 서로 마주보고 있다. 지금은 상사봉(相思峰)이라 부르고 있다.

노적봉(露積峯)

○노적봉(露積峯) ~임실 운수지(雲水誌1675) 현의 서북쪽으로 45리 신덕면 독여미리(禿如未里) 수구 앞에 있고 노적가리와 같다고 하여 이름 붙였다.  *답사 결과 - 위치: 임실군 신덕면 삼길리와 신흥리 경계의 산 - 노적봉(405.3m)은 호남정맥 치마산에서 갈래 쳐 나온 줄기로 옥녀동천과 제목천이 만나는 곳에 맞다아 있으며 사인암(상사봉)과 서로 마주보고 있다.

용요산(龍繞山)

【산천(山川)】 ~임실 운수지(雲水誌1675) ○용요산(龍繞山) 현의 뒷 쪽 3리에 있다. 전하기를 예전에 대사요산(大蛇繞山)의 허리라고 하여 일명 사요산(蛇繞山)이라고 하였다고 한다. 서쪽 산 정상에 우물이 차고 맑은데 큰 가뭄에도 마르지 않았다. 그러므로 이름하여 운수(雲水)라고 하였다.  *답사결과 - 위치: 임실읍 두곡리 산91-3-용요산(龍繞山,龍腰山) 용요산은 임실읍의 산으로 봉우리가 두 개이며 두만산에서 뻗어 나왔다. 용요산은 읍내에서 바라볼때 정상표지석이 설치되어 있는 우측 봉우리(491.4m)와 측량삼각점과 헬기장과 산불감시초소가 설치되어 있는 좌측 봉우리(465m)로 크게 나뉘며 읍내의 주산인 봉황산(鳳凰山,305m)은 좌측 봉우리에서 뻗어 내려왔다. 사람들은 용요산이 ..

운수(雲水)

【군명(郡名)】 ~임실 운수지(雲水誌1675) 운수(雲水)이다. 용요산(龍繞山) “서쪽 산 정상에 차고 맑은 샘이 있는데 큰 가뭄에도 마르지 않았다. 그러므로 이름하여 운수(雲水)라고 하였다.(운수지1675) *답사결과- 운수(雲水)- 위치: 임실읍 두곡리 산91-3임실읍 소재 용요산 운수봉(490m) 8부능선(390m) 절골 상부 천연암반 아래 바위틈 사이에서 흘러나오는 석정(石井)이 있는데 아직도 완연하다. 80~90년대에 샘터 주변에 조성한 철봉 등 운동시설이 아직도 남아있다. 샘의 크기는 높이150cm, 너비90cm, 샘 깊이 30cm 정도이다. *관련자료-운수산(雲水山) 임실 이도리와 성가리 경계에 있는 산. 운수정이란 이름난 샘이 있다.(한국지명총람 12편 전북편 하권, 임실군편, 한글학회..

운수지(雲水誌) 면리 현황(1675)

1675 운수지 면리 비교 현황  ~임실 운수지(雲水誌1675) (2023.9.) 김진영운수지(1675)면리 속리 현황현 면리 행정구역 비교 현황면명속리명호구수경지면적읍면명법정리행정리자연지명전래 및 유래되는 지명일도一道속리 7성가리城街里호구232호전결179결 13짐 7속임실읍성가리상성하성 남성중동내리中洞內里이도리중동  이도리二道里이도리이도 이도말빙고리氷庫里    두곡리斗谷里두곡리두곡안두실내두실, 외두실갈마동리渴馬洞里갈마리갈마갈마동갈마골방동리防洞里성가리하성앞골아동(衙洞)1914년 행정구역개편전 마을이인면里仁面속리 6외정오리外貞午里호구 90호전결81결41짐 8속임실읍정월리고산외정고산니내정오리內貞午里정월리정월내정정울두만리斗澫里두만리두만두만이느랑굴,동산이신리新里정월리정월새터*오정리 신촌(새모실)망정리望亭里이인리..

웅치(雄峙)

○웅치(熊峙) 현의 서쪽 55리 신덕면 양발리(梁鉢里) 서북쪽에 있고 완산경계와 접한다. 대화치(큰불재)에서 뻗어왔고 완산과 임실로 넘나드는 재(嶺)이다. *답사결과 - 위치: 임실군 신덕면 삼길리 내량마을 - 웅치(322m)는 일명 곰재, 또는 염암치(鹽巖峙) 즉 소금바위재라 불리며 호남정맥 박주지산(518m) 남쪽에 있는 재이다. 임실군 신덕면 삼길리 내량마을과 완주군 구이면 계곡리 염암마을을 연결해 주던 고개인데 지금은 묵혀서 그 흔적만 남아있다. 웅치는 임실, 순창 등 전라도 남부지방 여러 고을에서 전라감영이 있는 전주와 한양으로 가기 위해 넘나들었던 전라좌우도의 중간 길목이다. 곰재의 지명은 곰터골과 곰독골이 있어 지명을 얻었다고 하며, 곰재를 사이에 두고 신덕면 내량마을 하천가에 양발리시장(梁..

제3회 장수트레일레이스(20km)

◎ 대회명: 제3회 장수트레일레이스 대회 20km◎ 참가자: 흘러가는 김진영,  배번 2138◎ 일시: 2024.4.6(토) 종합경기장집결(09:00~09:50), 무룡고개 이동(09:30~09:50), START출발11:00~◎ 코스: 무룡고개(11:00, 0km)~장안산~지실가지(13:00, 6.8km)~신덕산마을(15:30, 14.6km)~논개활공장(15km)~장수동촌리고분군(17.8km)~장수종합경기장(17:00, 20.2km)◎ 기록코스: 무룡고개(920m,11:00)~장안산(1237m, 11:45)~지실가지(717m,12:33)~호남정맥마루금(884m,12:50)~범골봉(970m,13:00)~백운산(950m, 13:07)~밀재,신덕산마을(764m,14:03)~논개활공장(915m,14:17)~마..